$\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증 치매노인을 위한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의 효과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Activity Integration Program Designed for the Aged with Mild Dementi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2, 2018년, pp.431 - 440  

고경애 (제주소망요양원) ,  김양이 (한일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증 치매노인들의 진행을 지연시키기 위한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것이다. 경증치매 노인을 12명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을 8주간 진행하여 MMSE-K와 ADL(일상생활기능), IADL(도구적 일상생활기능), CDR, GDS 척도로 사전, 1차 사후, 4주 후 2차 사후를 비교 관찰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지속여부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실천적 차원의 함의로서 단일영역의 인지활동 프로그램보다 융 복합적 영역의 통합프로그램의 효과성이 높다는 것이다. 둘째,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은 지속해서 제공되어야 효과가 유지된다는 점이다. 경증 치매노인의 특성상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으면 효과성을 보장할 수 없다. 셋째,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은 종결 후 마무리가 실천과정 만큼 중요하다는 점이다. 이 활동을 통하여 표현능력과 기억력을 유지하고 생활에 적용하도록 자극하며 성취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천적 제언으로 경증 치매노인에게 적용할 수 있는 융 복합적인 치료 기법이 반영된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정책적 제언으로는 지속적인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의 진행과 효과성의 유지 및 치매의 진전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전문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cognitive activity integration program to delay the progression of the mild demented elderl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for 12 cases of mild dementia, and the cognitive activity integration program was condu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증치매노인들에게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인지기능과 일상생활기능을 훈련함으로써 그 효과성과 지속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함의를 도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증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비동등 비교집단의 사전·사후조사 방법의 실험처치를 실시하여 경증 치매노인을 위한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의 효과성과 지속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치매노인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을 추진하는 목적은 경증 치매노인의 증상악화 지연과 기능호전을 통하여 지역사회에서 인격적인 존재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도록 돕기 위함이다. 고령사회에 진입한 우리사회는 치매노인들의 건강한 삶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그들의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기능의 유지와 향상에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증 치매노인들의 진행을 지연시키기 위한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의 효과성과 지속여부성은 무엇인가? 경증치매 노인을 12명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을 8주간 진행하여 MMSE-K와 ADL(일상생활기능), IADL(도구적 일상생활기능), CDR, GDS 척도로 사전, 1차 사후, 4주 후 2차 사후를 비교 관찰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지속여부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실천적 차원의 함의로서 단일영역의 인지활동 프로그램보다 융 복합적 영역의 통합프로그램의 효과성이 높다는 것이다. 둘째,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은 지속해서 제공되어야 효과가 유지된다는 점이다. 경증 치매노인의 특성상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으면 효과성을 보장할 수 없다. 셋째,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은 종결 후 마무리가 실천과정 만큼 중요하다는 점이다. 이 활동을 통하여 표현능력과 기억력을 유지하고 생활에 적용하도록 자극하며 성취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2011년부터는 경증 치매노인에게 무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가? 2011년부터는 경증 치매노인에게까지 장기요양서비스를 확대하여 재가급여는 물론 시설급여까지도 제공하고 있다. 장기요양 4등급과 5등급 수준의 경증 치매노인은 신체기능이 비교적 양호하지만 인지기능장애 및 문제행동으로 일상생활의 불편을 겪고 있으며, 부양가족과 시설의 요양보호사들도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치매가 시작함에 따라 생기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치매는 진행이 시작되면 노화와 병행되기 때문에 진행속도를 지연시키기가 매우 어렵다. 특히 초기에 약물이나 심리․사회적인 방법을 적용하지 않으면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한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2. Central Dementia Center, 2015 

  3.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6. 

  4. J. D. Kwon. (2016). Welfare for the Elderly, Seoul: Hakjisa Publishing. 

  5. S. H. Lee, (2013). Gender Difference in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Community.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12), 523-535. 

  6. J. D. Kwon, S. K. Bai, (2012), The Realization of the Elderly Welfare Program Development Seoul: Hakjisa Publishing. 

  7. M. R. Kim, W. K. Kim, (2013). Elderly welfare counseling, Seoul: Guy Community, 

  8. A. Y. Kim. H. J. Beak, (2007). Educational Psychology. Seoul: Bak HakjiSa 

  9. Y. E. Kim, (2013). Dementia elderly, family and play program., Hanil University Press. 

  10. Y. J. Kim, (1990). Consumer Behavior, Paju: Nanam Publishing, 

  11. M. W. Park. J. R. Kim. (2016), Dementia Special Education Textbook Program Manager Cours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Central Dementia Center-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12. O. B. Jung, (2001). Adult development and aging, Paju: Kwahaksa Publishing. 

  13. H. K. Choi,(2016). Elderly welfare", Seoul: hakjisa Publishing.. 

  14. J. Y. Hwang Y. E. Kim, (2014). Long term care institution demonstration project for dementia,,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Elderly research information center. 

  15. E. S. Kong. E. J. Kim, (2014). The Effects of Integrated Cognitive Training Program on Elderly Cognitive Func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Journal, 14(9), 332-342. 

  16. K. D. Suh. I. K. Choi, (2017). A Study on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Project of the Elderly with Moderate Memory Dementi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5), 517-522. 

  17. Y. R. Kim, (2014). The effects of recall treatment program on perception, daily life performance and depression of elderly with dementia. Ph. D.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18. J. K. Kim, H. S. Kim, B. H. Jung, (2008).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mall Group Physical Activity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Dementia Occupational Therapy Society, 2(2), 13-24. 

  19. J. P. Kim. (2015).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Moderate Dementia. Ph. D.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20. H. J. Kim. (2010). The Effects of Exercise Combin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Moderate Dementia, Ph. 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21. H. R. No, K. C. Whang, J. A. Kim, (2011). The effects of intentional snoezelen program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cognitive function of demented elderly, Special education rehabilitation science research, 3, 393-412. 

  22. M. S. Park, (2007). The Effects of Integrate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Ph. D. dissertation, Cheonnam National University. 

  23. Y. C. Kwon, J. H. Park,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 125-135. 

  24. J. S. Whang. J. S. Kim, S. H. Kim.(2009). The Effects of Exercise on Exercise on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6(1), 21-29. 

  25. Y. J. Lee, S. M. Kim.(2003)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riatric Research, 23(4), 17-31, 

  26. J. S. Jung.(2005). The Effects of Folk Play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aily Living Ability and Problem Behavior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Ph. 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27. H. R. Ji.(2003). The effects of dementi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daily life ability and social behavior of the elderly with minor dementia. Ph. D. dissertation, Cheonnam National University. 

  28. H. M. Ha, E. Y. Choi, J. K. Jun, (2012).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Korean Society of Art Therapy, 19(2), 405-421. 

  29. Y. H. Han.(2007).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Daily Living Ability and Neuro-psychological Behavior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Daycare Center, Ph. D.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30. I. D. Whang, J. S. Park. (2008). The Effects of Reading Therapy on the Awarenes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Moderate Dementia, Centering on the Clinical Case of the S Reading Therapy Association, 1 505-522. 

  31. C. D. Hall, A. L. Smith, S. W. Keele, (2001). The impact of aerobic activity on cogni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A new synthesis based on the concept of executive control, European Journal of cognitive Psychology, 13, 279-300, 

  32. M. F. Folstein, S. E. Folstein, P. R. McHugh, (1975). Mini 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2, 189-198. 

  33. B. Reisberg, J. Borenstein, S. P. Slob,(1987). Behavioral symptoms in Alzheimer's disease : Phenomenology and treatment.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48, 9-15. 

  34. B. H. Chong. (2013). The effect oif cognitive occupational therapy in community living elder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3), 317-32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