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증치매노인을 위한 뇌 활성화 중재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Brain activation Intervention Programs for Mild Dementi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5, 2018년, pp.312 - 322  

주경복 (경복대학교 간호학과) ,  임동영 (경복대학교 간호학과) ,  이명남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  정나나 (노원구치매지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뇌 활성화 중재프로그램을 경증치매노인에게 적용하여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행동심리적 증상, 우울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자는 실험군 20명과 대조군 20명으로 총 40명이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서울시 노원구에 소재한 치매지원센터에서 2016년 11월 1일부터 2017년 3월 31일까지 자료가 수집 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방법은 SPSS 23.0K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ANCOVA로 분석 하였다. 본 연구에서 경증치매노인을 대상으로 뇌 활성화 중재프로그램을 8주간의 강의 및 프로그램을 시행한 결과 대상자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우울감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치매노인에게 적용한 뇌 활성화 중재프로그램으로 인지기능의 향상으로 일상생활에도 도움을 줄 수 있고, 치매노인의 우울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차후에 지역사회 프로그램에 활용되도록 하는 기초자료로 지역사회에서 연계하는 프로그램으로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effects of behavioral psychosomatic symptoms, cognitive functions, ability to perform daily life, and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sample for this study comprised 40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in the contr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치매노인에게 적용한 뇌 활성화 중재프로그램이 인지기능의 향상으로 치매노인에게 주의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 치매노인의 우울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보여 진다. 따라서 지역사회 및 간호 실무 현장에서 연계하는 프로그램에 활용되도록 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이는 치매노인과 그 가족에게 중재 프로그램으로써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는 경증치매노인에게 제공하는 뇌 활성화 중재프로그램이 인지기능, 행동심리적 증상과 우울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8주간의 뇌 활성화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에서는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행동심리적 증상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인지기능과 관련 하여 놀이프로그램을 시행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다[20,21]. 뇌 활성화 중재프로그램에 포함 될 내용의 분량과 경증치매노인의 참여 가능 시간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은 총 16회 8회기, 2회/주, 10:30-11:30, 60분/1회기 동안 대상자 상태에 따라 월요일과 수요일 제공되었다.
  • 본 연구는 인지재활 프로그램으로 뇌 활성화 중재프로그램이 경증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행동심리증상과 우울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인지재활 프로그램인 뇌 활성화 중재프로그램이 경증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행동심리적 증상, 우울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 유사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뇌 활성화 중재프로그램을 경증치매노인에게 적용하여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행동심리적 증상, 우울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데 있다.
  •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뇌 활성화 중재프로그램으로 경증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인지기능과 행동심리적 증상, 우울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 되었다.
  •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치매전문 관련 의사 1인, 노인 관련 간호학과 교수 2인, 치매지원센터 팀장 2인, 5년 이상 치매지원센터 근무경력 간호사 1인으로 구성된 6명의 전문가에게 프로그램 내용의 타당성과 진행에 관한 자문을 구하였다. 프로그램 각 회기의 타당도 정도는 4점 Likert 척도(4=매우 타당하다, 3=타당하다, 2=타당하지 않다, 1=전혀 타당하지 않다)로 평가 받았다.
  • 초기 치매노인 간호중재프로그램은 치매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저하와 관련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인지기능 저하와는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지만 행동심리증상과 다양한 변수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며, 지역사회 거주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변수와 치매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뇌 활성화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행동심리증상, 우울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는 어떤 증상인가? 치매는 인지기능의 저하, 일상생활능력의 장애 및 행동심리 증상(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BPSD)을 보이며, 치매노인을 돌보는 사람에게 가장 큰 어려움이 되는 것은 치매노인이 나타내는 부적절한 문제행동 즉 행동심리증상이다[7]. 행동심리증상은 가족에게 정신적, 신체적 부양부담을 안겨주고 경제적인 문제도 가중시키게 되어 가족들의 삶의 질을 저하 시킬 뿐만 아니라 우울감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8.
행동심리증상이 치매 노인의 가족들에게 대단히 중요한 문제인 이유는? 행동심리증상은 치매를 앓고 있는 노인과 그 가족들에게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다. 치매 노인이 경험하는 인지기능 장애는 그 병의 진행 정도를 반영하는 문제이지만 행동심리증상은 치매노인과 가족을 고통스럽게 하고, 치매 노인의 행동심리적 증상의 빈도가 많을수록 간호제공자의 부담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7].
치매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Activities of Daily Living) 저하는 어떠한 문제와 관련이 있는가? 또한 치매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Activities of Daily Living) 저하는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부양 부담을 증가시키고 환자와 부양가족의 삶의 질 저하, 시설 입소 및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다. 이는 치매환자의 문제행동과 인지능력도 중요한 요인이겠지만 특히 사회적으로도 치매 환자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 증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DOI: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2. Statistics Korea. Elderly Statistics, 2012. [cited 2013 March 1]Available from http://www.kostat.go.kr.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urvey of the elderly and health care statistics for 2013", Seoul: Author; 2014, http://www.hira.or.kr, Statistics, Statistics of aging. 

  4. Korea Ministry of Health & Welfare. Press release for the Special Grade of Dementia [Internet]. 2014 May 2 [cited 2014 May 10] Availabl from http://www.mw.go.kr/front_new/al/sal0301vw.jsp 

  5. S. K. Jang, Dementia, Seoul:Shinwon Publishing, 2004. 

  6. S. H, Kim, S.H.Han, "Prevalence of Dementia among the South Korean Population", Journal of Korean Diabetes, vol. 13, pp. 124-128, 2012. DOI: https://doi.org/10.4093/jkd.2012.13.3.124 

  7. R. Mushtaq, C. Pinto, S. F. Tarfarosh et al., "A Comparisonof the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in Early-Onset and Late-Onset Alzheimer's Disease - A Study from South East Asia (Kashmir, India)," Cureus, vol. 8, 2016. DOI: https://doi.org/10.7759/cureus.625 

  8. K. Ornstein, J. E. Gaugler, "The problem with "problem behaviors": a systematic review of the association between individual patient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and caregiver depression and burden within the dementia patient-caregiver," dyad.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vol. 24, no. 10, pp. 1536-1552, 2012. DOI: https://doi.org/10.1017/S1041610212000737 

  9. K. A. Ornstein, J. E. Gaugler, D. P. Devanand, N. Scarmeas, C. W. Zhu, Y Stern, "Are there sensitive time periods for dementia caregivers? The occurrence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in the early stages of dementia", Int Psychogeriatr, vol. 25, no. 9, pp. 1453-1462, 2013. DOI: https://doi.org/10.1017/S1041610213000768 

  10. B. G. Yoo, E. G. Kim, J. W. Kim, T. Y. Kim, K. W. Park, S. M. Sung et al,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and Caregiver Burden",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vol. 7, no. 1, pp. 1-9, 2008. 

  11. S. Y. Kim,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vol. 3, no. 1, pp. 14-17, 2004. 

  12. National Health Insurance Srevice, "Before going to dementia, mild dementia, 4.3 times the number of patients in the last five years", 2015. [cited 2016 Jun 14] Available from http://www.nhis.or.kr/bbs7/boards/B0039/14982 

  13. A. Gustavsson, P. Brinck, N. Bergvall K. Kolasa, A. Wimo, B. Winblad, et al. "Predictors of costs of care in Alzheimer's disease: A multinational sample of 1222 patients", Alzheimer's Dementia, vol. 7,no. 3, pp. 318-27, 2011. DOI: https://doi.org/10.1016/j.jalz.2010.09.001 

  14. Korean Association for Geriatric Psychiatry, Geriatric Psychiatry. Seoul:Joongangcompany. 2004. 

  15. Korea Dementia Association, Dementia: Clinical approach. Seoul: Academy, 2006. 

  16. S. Y. Ahn, J. H. Kim, D. K. Kim, I. Y. Kim, "The Neuropsychological Function and Differentiation of Mild Dementia of Alzheimer Type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19, no. 1, pp., 131-150, 2000. 

  17. W. M. Jeong, D. Y. Lee, S. H. Ryu, Y. J. Hwang, I. H. Choo, S. G. Kim et al, "Focused effects of a Group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Mild Dementia Patients in a Community - Focu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cess Mode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16, no. 4, pp. 1-17, 2008. 

  18. O. N. Hwang, S. R. Yoon, H. Y. Hwang, K. S. Nam,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 Dementia Prevention Program and It's Effect Test", Journal of Korean Rehabilitation Nursing, vol. 5, no. 2, pp. 156-165. 2002. 

  19. H. R. Ji, S. H. Choi, M. S. Cho, R. A.Ju, "The Effects of the Continuous Dementi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in the Community ",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6, no. 2, pp. 216-227, 2004. 

  20. Y. Sakurai, "Efforts and Prevention of Nursing Care in Minami-cho, Focusing on Dementia", Local medical care, vol. 50, p.36, 2011. 

  21. M. Takabayashi, "Three-A Dementia prevention game"(N. Sasaki, Trans.), Seoul: Sisa Books Green Health, 2013. 

  22. Seoul University National Bundang Hospital, Standardization of Dementia Diagnostic Tool (11-1351000-000589-01), Seoul; Korea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9. 

  23. J. H. Park. H. C. Kim, J. H. Kim, "A New Brief Memory Screening Test Mini-Memory Test(MiMeT)",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43, no. 3, pp. 13-31, 1996. 

  24. K A. Kim, "Deveopment of an assessment tool of problematic behaviors for institutionalized old people with dementia",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2003, vol. 12, pp. 119-20, 2003. 

  25. J. Sheikh, J. Yesavage,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 version", Clinical Gerontologist, vol. 5, no. 12, pp. 165-173, 1986. 

  26. B. S. Kee,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35, no. 2, pp. 298-307.1989. 

  27. Korea Ministry of Health & Welfar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107, [notice], How to evaluate the degree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activities needed to support, 2011. 

  28. M. S. Jeon, 'Cognitive Functions Enhancement Program affects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the dementia"', The Korean Society of Welfare for the Aged Proceedings of the academic presentation, vol. 2016, no 1, pp. 505-614, 2016. 

  29. B. H. Oh, "Diagnosis and Treatment for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Journal of Korean Medication Association, vol. 52, no. 11, pp. 1048-1054, 2009. DOI: https://doi.org/10.5124/jkma.2009.52.11.1048 

  30. N. Herrmann,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The Canadian Journal of neurological sciences, Suppl 1, pp. 96-107. 2001. DOI: https://doi.org/10.1017/S0317167100001268 

  31. Y. K. Hong, Y. S. Kang, "Effects of a Music Programon Cognitive Function and Disturbing Behavior in Elders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11 no. 1, pp. 5-15, 2009. 

  32. S. W. Yun, S, A, Ryu, "Impact of Dementia Knowledge, Burden from Behavioral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and Empathy in the Caring Behavior of Certified Caregiver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17, no. 3, pp. 131-141, 2015. DOI: https://doi.org/10.17079/jkgn.2015.17.3.131 

  33. B. H. Lee, J. S. Park, N. R. Kim,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Physical Performance, Gait,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 Rehabitation Science, vol. 50 no. 2, pp. 307-328, 2011. 

  34. C. C. Kao, L. C. Lin, S. C. Wu, K. N. Lin, and C.K. Liu, "Effectiveness of different memory training programs on improving hyperphagic behaviors of residents with dementia: a longitudinal single-blind study", Clin Interv Aging, vol. 11, pp. 707-720, 2016. DOI: https://doi.org/10.2147/CIA.S102027 

  35. J. H Kim, D. Y. Lee, S. J. Lee, B. Y. Kim, N.C.Kim, "Predictive Relationships between BPSD, ADLs and IADLs of the Elders with Dementia in Seoul, Kore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17, no. 1, pp. 1-9, 2015. DOI: https://doi.org/10.17079/jkgn.2015.17.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