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위생과 학생의 구강건강행위 및 식이습관과 우식발생요인검사
Oral Health Behavior and Dietary Habits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Caries-Causing Factor Test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4 no.4, 2018년, pp.135 - 144  

김기은 (치위생과 대전과학기술대학교) ,  황지민 (치위생과 백석문화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강건강행위 및 식이습관과 우식발생요인검사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치아우식증 예방 계획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평균 자극성 타액 분비율은 8.35ml, 비자극성 타액 분비율은 2.41ml로 나타났으며, 타액 완충 능력은 평균 9.29점, 포도당 평균 잔류시간은 15.81분으로 조사되었다. Streptococcus mutans colony count 검사에서 저위험군인 <$10^5$은 80.5%, Lactobacillus colony count 검사에서 저위험군인 <$10^5$은 84.4%로 나타났다. 우식발생 요인검사 간 상관관계는 자극성 타액 분비율과 비자극성 타액 분비율, 타액 완충능은 양의 상관관계를, 비자극성 타액 분비율과 포도당 잔류시간, Lactobacillus균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극성 타액 분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견과류와 돼지고기, 비자극성 타액 분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알코올류로 나타났다. 치아우식증 예방을 위해서는 치아우식활성 검사와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하여 구강보건교육 시 적절한 식이조절 교육이 함께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 and dietary habits and caries occurrence test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prevention of dental caries. The average salivary salivary fraction was 8.35ml and the non - amorphous salivary fraction was...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구강건강행위 및 식이습관과 우식발생요 인검사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충청남도에 소재한 치위생과 학생 77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 작성과 우식발생요인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얻었다. 우식발생요인검사별 평균 지수는 자극성 타액 분비율의 경우 8.
  • 이에 본 연구는 일생의 건강을 결정짓는 시기에 속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강건강행위 및 식이습관과 우식발생요인 검사와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치아우식증 예방을 위한 방법을 추구하는 계획의 일환을 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아우식증 발생요인 검사의 장점은? 치아우식발생요인검사는 치아우식 예방을 위해 개개인의 우식활성도를 측정, 평가함으로써 개개인에 맞는 예방처치를 처방하거나 시행하는 것으로 다수를 대상으로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예방처치보다 비용․효과 적인 면에서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3〕고 알려져 있다. 주로 타액 점조도 검사, 타액 분비량 검사, 타액 완충능 검사, 구강 내 산 생성균 검사, 구강 내 포도당 잔류 시간 검사 등이 있으며 타액이 우식병소 형성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타액과 관련한 검사법이 널리사용되고 있다〔4〕.
치아우식증이란? 치아우식증은 구강 내 미생물에 의해 설탕과 같은 탄수화물이 분해되면서 발생한 유기산에 의해 치아가 탈회되는 다요인성 질환으로 적절한 구강관리가 수행되지 않을 경우 가속화된다〔1〕〔2〕. 치아우식증의 원인은 치아, 타액 등의 숙주요인, 치면세균막 관리, 식음수 불소이온농도, 음식습관 등의 환경요인, 뮤탄스 연쇄 상구균(Streptococcus mutans), 호산성 유산균 (Lactobacillus acidophillus) 등의 병원체요인〔1〕으로 구분하여 설명된다.
치아우식증의 원인은? 치아우식증은 구강 내 미생물에 의해 설탕과 같은 탄수화물이 분해되면서 발생한 유기산에 의해 치아가 탈회되는 다요인성 질환으로 적절한 구강관리가 수행되지 않을 경우 가속화된다〔1〕〔2〕. 치아우식증의 원인은 치아, 타액 등의 숙주요인, 치면세균막 관리, 식음수 불소이온농도, 음식습관 등의 환경요인, 뮤탄스 연쇄 상구균(Streptococcus mutans), 호산성 유산균 (Lactobacillus acidophillus) 등의 병원체요인〔1〕으로 구분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여러 가지 요소들이 동등하게 작용한다 하더라도 각 개인의 특성에 따라 치아우식 증이 발생 여부는 달라지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arris NO, Garcia-Godoy F: Primary Preventive Dentistry. Seoul, Daehannarae, 2006, 2-17. 

  2. Kim Hee-Eun. Chang of Paradigms in Caries-Associated Bacteria in the Caries Process: Ecological Perspectives. J Dent Hyg Sci 14(2): 87-93. 2014. 

  3. Shin Doo-Kyo, Kim Ji-Young, Song Keun-Bae, Nam Soon-Heyun. Relationship between Dentocult-SM Test, Microbial Analysis and Dental Caries in the Pre-School Children. J Korean Acad Pediatr Dent 30(2): 254-262, 2003. 

  4. Lim Soon-Hwan, Hwang Ji-Min. Relationship of Oral Health Management Behavior to Plaque Index Systems. J Dent Hyg Sci 15(2): 159-165, 2015. https://doi.org/10.17135/jdhs.2015.15.2.159 

  5. Kim JB, Paik DI, Moon HS, Choi YJ, Shin SC Kwon HG, et al. Clinical Preventive dentistry. Seoul, Komoonsa, 203-39, 2005. 

  6. Youn Chang-Sang, Lee Heung-Soo, Lee Kwang-Hee. A Crossectional Study on the Caries Predictive Ability of Modified Alban's Caries Activity Test. J Korean Acad Oral Heal 16(2): 360-373. 1992. 

  7. Cho Min-Jung, Kim Jin-Hee, Kim Eun-Mi, Lee Hyang-Nim. The Correlation between Dental Caries Experience and Improved Dental Caries Activity Tests for the Students of Dental Hygiene. J Korean Acad Dental Hygiene Education 3(2): 197-208. 2003. 

  8. Lee Suk-Woo, Song Je-Seon, Choi Byung-Jai, Choi Hyung-Jun, Lww Jae-Ho. Correlation of Caries Activity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with Cariogram and Evaluation of Caries Risk Factors. J Korean Acad Pediatr Dent 36(3):337-347, 2009. 

  9. Baek Hye-Jin, Na Chae-Hwan, Jeong Seong-Hwa, Ahn Sang-Hun, Choi Youn-Hee, Song Ken-Bae. Analysis of newly formed dental caries and food intake pattern among adolescence over three years. J Korean Acad Oral Health 35(3): 317-325, 2011. 

  10. Lee Youn-Kyoung, Kwon Ho-Jang. Correlations among Eating Habits, Behaviors for Dental Health and Dental Caries of Juveniles. J Korean Acad Dental Hygiene Education. 13(3): 419-424. 2013. DOI : 10.13065/jksdh.2013.13.3.419 

  11. Yu Hye-Jung. Eating Habits and Snacking in Relation to Residential Environment and Gender of College Students in Chungnam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012. 

  12. Yoon Mi-sook, Youn Hye-jeong. A Study on Dental Caries Activity Test Targeting Female Undergraduates in Their 20s. J Dent Hyg Sci 10(6): 465-472, 2010. 

  13. Kim Jae-Gon, Kim young-Shin, Baik Byeong-Ju, yang Yeon Mi. Relationship Between Salivary Caries-Related Tests and Dental Caries Experience in Korean Dental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Pediatr Dent 32(1): 67-74. 2005. 

  14. Kim Seol-Ak et al. Contemporary Preventive Dentistry. DaehanNarae Publishing. 2016. 

  15. Kim Min-Young, Lee hye-Jin.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aries Activity Test Result and Dental Caries Experience. J Kor. Soc. Hygiene Sciences 14(1): 131-137. 2008. 

  16. J Hicks, F Garcia-Godoy, C Flaitz. Biological Factors in Dental Caries: Role of Saliva and Dental Plaque in the Dynamic Process of Demineralization and Remineralization (part 1). J of Clinical Pediatric Dentistry 28(1): 47-52, 2004. 

  17. M Lenander-Lumikari, V Loimaranta, Saliva and Dental Caries. Advances in Dental Research 14(1): 40-47, 2000. 

  18. Kong man-Seok, Lee Heung-Soo, Kim Soo-Nam. Children's Dental Health Behavior in Relation to Their Mothers' Dental Health Knowledge Level, Attitude toward Dentist and Dental Health Behaviors. J Korean Acad Oral Heal 18(1): 84-94. 1994. 

  19. Dental Nutrition. Park Young-Min et al. DaehanNarae Publishing. 2018. 

  20. Hong Min-Hee. Study on Detection of Oral Bacteria in the Saliva and Risk Factors. J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9): 5675-5682, 2014. DOI : 10.5762/KAIS.2014.15.9.5675 

  21. Navia JM. Carbohydrates and dental health. Am J Clin Nutr 59(3): 719-727, 1994. 

  22. Kwon Ho-Kwun, Kim Han-Joong. Relationship between Diet Intake and Dental Caries Exper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Acad Oral Heal 18(1): 119-143,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