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적응유연성 관련요인
A Study on Resilience of North Korean refugee in South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4 no.4, 2018년, pp.279 - 285  

김미영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  김윤아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적응유연성을 조사하여, 향후 북한탈주민의 적응유연성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은 B시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129명으로, 2016년 11월에서 2017년 2월까지, 적응유연성, 건강증지행위, 자아존중감을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북한이탈주민의 적응유연성은 평균 3.46점, 적응유연성은 남한에서 종교를 가진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은 경우 높았으며, 설명력은 11.7%(F=9.460, p<.001)로 나타났다. 따라서 북한이탈주민의 자아존중감을 촉진하여 적응유연성을 도모할 수 있는 중재가 체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resilience of North Korean defectors, resilience and the factors influencing resilience, and explored methods of improving their resilience. 129 North Korean defectors, who were trained in B city, participated in the survey from November, 2016 to February, 2017. The resilienc...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일반적 특성, 자아존중감, 건강증진행위와 적응유연성 간의 관련성과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적응유연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자아존중감, 건강증진행위, 적응유연성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적응유연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적응유연성을 중재할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삼기 위함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의 적응유연성에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북한이탈주민 청소년과 함께 생활하면서 영향을 줄 수 있는 성인 대상의 연구에서는 삶의 질[2]에 대한 연구로 매우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적응유연성과 관련된 요인인 자아존중감과 건강증진행위 중심으로 파악하여, 남한사회 적응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이탈주민이 겪는 질환과 해결방법은 무엇인가? 또한, 북한이탈주민은 신체적, 정신적 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잠재되어 있던 질병들이 남한 입국 후 발병하는 사례가 많아[11], 1년 간의 유병률이 76%[12]로 나타났나. 이는 북한이탈주민은 남한에 들어와 처음으로 하나원이라는 공간에서 우리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교육과 건강검진을 받는다[12]. 그러나, 남한사회에 적응시 고착된 습관에 따른 부적절한 건강행위를 지속함으로써 건강상태를 더욱 더 악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1].
북한이탈주민이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북한이탈주민은 남한에 적응 동안에 언어와 문화의 차이, 가족에 대한 그리움 등은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1]. 특히, 남한의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새로운 문화에 대처하고 활용하는 다양한 방법에는 적응 유연성이 영향을 준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 H. Chae, The adaptation status of North Korean defectors to south korean society and its effect on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10, pp.524-530, 2017. http://doi.org/10.5762/KAIS.2017.18.10.524 

  2. H. A. Kim, S. Y. Lee, K., S.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Korean immigrants and North Korean refugee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12, No. 1, pp.333-354. 2011. http://doi.org/10.15703/kjc.12.1.201103.333 

  3. J. Y. Kim, J. H Choi, W. J. Ryou, Impact of PTSD on North Korean defector's social adjustment in South Korea: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and social interac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43, No. 4, pp.343-367, 2012. http://doi.org/10.16999/kasws.2012.43.4.343 

  4. J. A. Jung, Y. C. Son, J. H. Lee, A study on defecting motive and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Vol. 22, No. 2, pp.215-248, 2013. 

  5. D. Jackson, A. Firtko, M. Edenborough, Personal resilience as a strategy for surviving and thriving in the face of workplace adversity: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60 No.1, pp1-9, 2007.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412.x 

  6. S. S. Luthar, D. Ciccetti, B. Becker, The construct of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 for future work, Child Development, Vol.71, No.3, pp. 543-562, 2000. https://doi.org/10.1111/1467-8624.00164 

  7. Y. N. Kim, B. R. Suh,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that North Korean children and youth defectors perceived,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Vol.11 No.1, pp.121-137, 2012. 

  8. H. J. Kim, Y. K. Chu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daptation, suicidal ideation, and self esteem among North Korean Refugees, Korean Journal of Social Issues, Vol.16 No.1, pp.9-46, 2015. 

  9. M. M. Mann, C. M. H.. Hosman, H. P. Schaalma. N. K. de Vries. Self-esteem in a broad-spectrum approach for mental health promotion, Health Education Research, Vol.19, No.4, pp. 357-372, 2004. https://doi.org/10.1093/her/cyg041 

  10. I. S. Son, S. S. Kim, A systemic review of research o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health in South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5, No.1, pp. 26-57, 2015. 

  11. M. Choe, J. Choi, A study on treatment-seeking behavior of middle-aged and old-age Saetomins in South Korea. Journal of Peaceand Unification Studies, Vol.1, No. pp. 285-316, 2009. 

  12. I. J. Yoon, S. Kim, Health and medical car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Health and Social Science, Vol.17, No. pp.149-182, 2005. 

  13. J. K. Kim, A. M. Cho, The effect on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among migrant North Korean adolescent,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Vol5, No.2, pp.103-119, 2008. 

  14.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15. Jon BJ.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Vol.11, pp.107-130, 1974. 

  16. S. N. Walker, K. R. Sechrist, N. J. Pender,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Vol.36, No.2, pp.76-81, 1987. 

  17. H. M. Seo, Construction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model in elderly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01. 

  18. H. A. Kim, S. H. Kim, Development of a resilience scale for dislocated North Koreans in South Korea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8, No.1, pp.63-83, 2007. 

  19. D. G. Blazer, K. G. Meador, The role of spirituality in health aging. Arlington, In: Depp CA, Jeste DV, editors. Successful cognitive and emotional aging. England: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pp. 73-86, 2009. 

  20. S. Min, H. S. Kim, The controlling effect of job consciousness in the adaptation resilience of saeteomin on self Effica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ulticultural Health Vol. 1, No. 1, pp.13-22,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