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Life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4 no.2, 2018년, pp.139 - 145  

송영아 (안산대학교 간호학과) ,  하영옥 (안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influencing factors on life stress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as us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392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3 to June 3, 2016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analyz...

Keyword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의 정도를 확인하고 일반적 특성을 포함한 다양한 변수들이 생활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를 관리하며 극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생활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정도와 생활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상자의 생활스트레스 정도는 경제적 수준을 제외하고 성별, 연령, 종교와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는 선행연구들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하부영역 중 학업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대학생은 다양하고 높은 스트레스로 인해 어떤 문제를 겪게 되는가? 특히 간호대학생은 이론교육과 실습교육을 병행하는 엄격한 교육과정, 과중한 학업량, 시험 등으로 인해 다른 학과 학생들이 경험하는 것보다 더 다양하고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며 이러한 스트레스로 인한 생활에서의 불균형은 두통이나 불면, 소화 장애 등의 신체적 증상과 더불어 불안, 우울과 같은 정신적 증상으로 이어져 건강 상태에 위기를 가져오게 된다[4,5].
생활스트레스란 무엇인가? 생활스트레스는 인간이 경험하는 생활환경에서의 혼란이 개인의 항상성 유지를 위협할 때, 이러한 위협에 대해서 개인적 또는 대리적 대처를 충분히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에 경험하는 상태를 의미한다[6]. 우리가 경험하는 생활스트레스가 신체 및 정서적 문제를 일으키기도 하지만 스트레스 상황을 어떻게 지각하고 대처하느냐에 따라 이후에 나타나는 반응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다.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자아존중감은 하나의 특별한 객체인 자아에 대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태도로 정의되며, 한 개인이 자신이 얼마나 능력 있고 중요하며 성공적이고 가치 있는 존재로 생각하고 있느냐 하는 개인적인 판단이다[14]. 대학생은 생활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생활스트레스에 대한 적응 능력이 좋아져 정신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3]. 또한 대학생의 높은 스트레스는 자기통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5]. 자기통제력은 개인의 기질적인 특성으로 지금 당장의 욕구를 지연하고, 장기적인 목표달성을 위해 순간의 충동적인 행동, 정서, 사고 등을 자제하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arokhani D, Delpisheh A, Veisani Y, Sarokhani MT, Manesh RE, Sayehmiri K. Prevalence of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tudy. Depression Research and Treatment. 2013;1-7. https://doi.org/10.1155/2013/373857 

  2. Meadows SO, Brown JS, Elder JrGH. Depressive symptoms, stress, and support: gendered trajectories from adolescence to young adulthood.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006;35(1):89-99. https://doi.org/10.1007/s10964-005-9021-6 

  3. Chon KK, Kim KH, Yi JS.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0;5(2):316-335. 

  4. Jimenez C, Navia-Osorio PM, Diaz CV. Stress and health in novice and experienced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0;66(2):442-455.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9.05183.x 

  5. Choi SH, Lee HY. Influence on college students' depression of anxiety, unemployment stress, and self-esteem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3;13:808-816.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619 

  6. Chon KK, Kim KH.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a control theory approach.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1;10(1):137-158. 

  7. Kim JH.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eoul: Daekwang Cultural History; 2001. p. 1-490. 

  8. Yu EY, Yoon CK, Yang YJ.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 in some region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13(2):172-178. 

  9. Kim M. The effects of life stress and circadian rhythm on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7;15(7):247-257. 

  10. Choi SK.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8; 16(5):257-266. https://doi.org/10.14400/JDC.2018.16.5.257 

  11. Bong EJ, Kim YK.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in nursing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7;18(7):121-129. https://doi.org/10.5762/KAIS.2017.18.7.121 

  12. Ha EH, Oh KJ, Song DH, Kang JH. Th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for depression end anxiety disorders in adolescents: a preliminary stud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4;23(3):263-279. 

  13. Jeon MK, Kim MS.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elf differentiation, self esteem, life stress in nursing department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3;11(4):293-302. 

  14. Rosenberg M, Schooler C, Schoenbach C, Rosenberg F. Global self-esteem and specific self-esteem: different concepts, different outcom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995;60(1):141-156. https://doi.org/10.2307/2096350 

  15. Kim JH.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Journal of the Korea Academy of Psychological Type. 2016; 17(1):81-100. 

  16. Kang MJ. The relationship between living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on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and grateful disposition [master's thesis]. Kyunggi: Myongji University; 2012. p.1-68. 

  17. Ronan KR, Kendall PC, Rowe M. Negative affectivity in childre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lf-statement questionnair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994;18:509-529. https://doi.org/10.1007/BF02355666 

  18. Oh KH.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physical/mental health among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Seoul: Sahmyook University; 2009. p.1-59. 

  19.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p. 1-59. 

  20. Hong DW, Kim CK. The development of wellness scale for adolescents in Korea.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8;9(1):67-83. https://doi.org/10.15703/kjc.9.1.200803.67 

  21. Grasmick HG, Tittle CR, Bursik RJ, Arneklev BJ. Testing the core empirical implication of Gottfredson and Hirschi's general theory of crime. Journal of Research of in Crime and Delinquency. 1993;30(5):5-29. https://doi.org/10.1177/0022427893030001002 

  22. Ha CS, Kim BS. 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Korean version of the self-control scale.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5;6(4):1175-1188. 

  23. Park HS, Bae YJ, Jung SY. A study on self-esteem, self-efficacy, coping methods, and the academic and job-seeking stres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2;11(4):621-631. 

  24. Jung HY. The convergence influence of life stress, depression and ego resiliency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6;14(7):259-268. 

  25. Kim SY.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adaptation, self-esteem and self-control of university students on smartphone addic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2017;7(6):103-111. 

  26. Cho MK, Jeong HS.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stress, way of coping and type A/B personality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1;7(2):183-191. 

  27. Park JS, Kwon Y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stress, self-esteem and resilience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5;19(2):212-221. 

  28. Acharya Pandey R, Chalise HN. Self-esteem and academic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Kathmandu University Medical Journal. 2015;13(4):298-302. https://doi.org/10.3126/kumj.v13i4.16827 

  29. Lee YM. Influences of stress, loneliness and self-control on the addiction of cell phone use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1;17(2):156-163. 

  30. Edwards D, Burned P, Bennett K, Hebden U. A longitudinal study of stress and self-esteem in student nurse. Nurse Education Today 2010;30(1):78-84. https://doi.org/10.1016/j.nedt.2009.06.00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