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4차산업혁명의 시대의 ICT기반 적정기술 원문보기

전원과 자원 = Rural resource, v.60 no.1, 2018년, pp.36 - 43  

백승철 ((주)마이소사이어티)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때 스마트제어가 아닌 스마트모니터링 단계의 스마트파밍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센서가 수집한 정보에 이슈가 발생할 때 농부에게 알려주고 농부가 그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면 현재보다 시간과 노동력을 절감하지만 시설투자 비용은 최소화 할 수 있다. 갑자기 온도가 떨어지거나 병충해가 유행하거나 하는 이슈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알려서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목표를 둔다. 가장 중요한 것은 기존의 농가에 적은 비용으로 도입할 수 있을 정도의 저렴한 가격정책이다.
  • 적정기술은 해외에서 먼저 시작하였고 그렇다 보니 주로 해외사례가 많다. 본 원고는 해외, 국내 적정기술 현장의 변화들을 돌아보고 이를 통해 농업분야 활용 가능성을 함께 고민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자 한다.
  • 앞서 돌아본 적정기술 현장에 변화는 결과적으로 ICT기술 활용을 촉진하게 되었다. 이것을 바탕으로 적정기술이 국내 농촌지역을 위해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 제안하고자 한다.
  • 예를 들어 정수기의 경우, 대부분 소품은 현대화된 기술을 활용하여 만들고 교체가 필요한 필터 부분만 현장에서 숯을 사용해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현장에는 숯 필터 제조시설을 설치하고, 지역 취약계층을 고용하여 숯 필터를 제조하게 하면서, 정수된 물을 지역민이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비용으로 판매하여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현지에서 정수 사업을 하고 있는 전문업체와 계약을 통해 문제가 발생했을 때 1일 내에 방문할 수 있도록 계약을 체결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Pesa은 무엇인가? 하지만 적정기술은 새로운 시대와 환경의 변화에 따라 ICT기술을 활용하거나 스마트폰이라는 전 세계가 사용하는 디바이스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심지어 세계 최초의 핀테크 서비스라 불리는 M-Pesa는 은행에서 계좌를 만들 수 없어 돈을 송금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돕기 위해 2007년 케냐의 한 학생이 만든 대표적인 적정기술 서비스이다.
적정기술에 관한 다양한 정의와 특징이 가지고 있는 공통점은 무엇인가? 적정기술에 관한 다양한 정의와 특징이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문화적으로 쉽게 수용 가능하고 현지의 재료를 활용한다.’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적정기술에 대한 선입견으로 무엇이 있는가? 하지만 적정기술의 확장과 사업화 관점에서는 과거에 형성된 적정기술에 대한 선입견과 싸워야 한다는 큰 과제를 가지고 있다. 개발도상국에서만 사용되는 기술이라는 선입견, 적정기술은 로우테크(low tech)라는 선입견, 원조나 봉사활동을 위한 단순한 기술이라는 선입견이 바로 그것이다. 하지만 적정기술은 새로운 시대와 환경의 변화에 따라 ICT기술을 활용하거나 스마트폰이라는 전 세계가 사용하는 디바이스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백승철 외 8명, 2015, 디자인사고를 통한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기획, 한밭대학교 적정기술연구소, 적정기술 7권 2호 

  2. 백승철, 김남희, 2014, IDEO HCD(Human Centered Design) 관점에서의 적정 리서치 방법에 대한 연구, 적정기술 6권 1호 

  3. 송위진, 정서화, 2016,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의 현황과 과제, STEPI Insight Vol. 185 

  4. 채재우, 2017, 사람중심의 과학기술, KISTEP InI, Vol. 20. 

  5. 용홍택, 2017, 미래창조과학부 과학기술정책관사람 중심의 R&D 정책 방향, 과학기술정책, 2017년 4월호 (통권225호) 

  6. 나비 라드주 외 2명 지음, 홍성욱 옮김, 2015, 주가드이노베이션, 마인드풀북스 

  7. 홍성욱 외 5인, 2012, 인간 중심의 기술 적정기술과의 만남, 에이지21 

  8. 폴 폴락, 2012, 적정기술 그리고 하루 1달러 생활에서 벗어나는 법, 새잎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