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차배제학습과 시간차회상을 이용한 작업기반 훈련이 경도 혈관성 치매환자의 과제 수행능력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개별실험 연구
The Effects of Occupation-based Training With Errorless Learning and Spaced Retrieval on Task Learning and Satisfaction of People With Mild Vascular Dementia: Single Subject Research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 신경재활치료과학, v.7 no.1, 2018년, pp.51 - 62  

이은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박혜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김종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박지혁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오차배제학습시간차회상을 이용한 작업기반 훈련이 경도 혈관성 치매환자의 과제학습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치매 진단을 받은 경도 인지 수준의 환자 3명을 대상으로 ABA' + follow-up 설계를 사용하였다. 중재기간동안 오차배제학습과 시간차회상을 이용한 작업기반훈련을 적용하였으며, 매회기마다 과제학습 정도를 측정하였고, 중재 전과 후에 만족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분석은 그래프를 통한 시각적 분석막대그래프를 통해 제시하였다. 결과 : 오차배제학습과 시간차회상을 이용한 작업기반 훈련 후 모든 대상자의 과제수행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중재 후 만족도 또한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초기 혈관성 치매환자에게 오차배제학습과 시간차회상을 이용한 작업기반 훈련이 과제학습과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임상적 적용을 위한 근거를 제공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occupation-based training with errorless learning and spaced retrieval on task learning and satisfaction of elderly with mild vascular dementia.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 geriatric individuals with mild vascular dementia, ABA' +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경도 혈관성 치매 환자에게 오차 배제 학습과 시간차 회상을 이용한 작업 기반 훈련을 적용하여 과제학습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초기 혈관성 치매 환자에게 오차 배제 학습과 시간차 회상을 이용한 과제 기반 훈련이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들 모두 오차 배제 학습과 시간차 회상을 이용한 작업 기반 훈련을 통해 과제의 수행능력과 만족도에 향상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관성 치매로 나타나는 어려움은? 혈관성 치매는 전두엽 기능을 필요로 하는 집행기능(executive function), 계획 및 조절 능력, 주의력, 언어유창성에 어려움을 보인다(Almkvist,1994). 그리고 기억 과정 중 회상에 장애가 두드러져, 의도적인 회상 능력을 필요로 하는 외현적 기억(explicit memory)에 문제를 갖는다. 초기에는 내현적 기억(implicit memory)에는 문제가 없기 때문에 기본적 일상생활활동(BADL)과 같은 단순한 과제에는 어려움이 없지만, 외현적 기억을 필요로 하는 수단적 일상생활활동(IADL)과 같은 복잡한 과제에는 어려움을 갖는다(Beauregard, Benhamou, Laurent, & Chertkow, 1999; Griffith et al.
혈관성 치매란?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는 뇌혈관 질환에 의한 뇌손상으로 인지기능의 장애가 후천적으로 발생하는 임상증후군으로 알츠하이머병 다음으로 가장 흔한 치매이다(이영민, 김어수, 박제민, 2012).
혈관성 치매 초기 나타나는 기억 과정 특징은? 그리고 기억 과정 중 회상에 장애가 두드러져, 의도적인 회상 능력을 필요로 하는 외현적 기억(explicit memory)에 문제를 갖는다. 초기에는 내현적 기억(implicit memory)에는 문제가 없기 때문에 기본적 일상생활활동(BADL)과 같은 단순한 과제에는 어려움이 없지만, 외현적 기억을 필요로 하는 수단적 일상생활활동(IADL)과 같은 복잡한 과제에는 어려움을 갖는다(Beauregard, Benhamou, Laurent, & Chertkow, 1999; Griffith et al., 2003;Poldrack & Packard,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손은교, 이재신. (2001). COPM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 서울: 정담미디어. 

  2. 이나래, 김수경. (2013). 오류배재학습을 병행한 시간차회상 훈련이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기억력과 수단적 일상생활 (IADL)에 미치는 효과. 대한인지재활학회지, 2(1), 5-19. 

  3. 이영민, 김어수, 박제민. (2012). 혈관성 치매. 노인정신의학, 16(2), 82-88. 

  4. Almkvist, O. (1994). Neuropsychological deficits in vascular dementia in relation to Alzheimer's disease: Reviewing evidence for functional similarity or divergnce. Dementia, 5(3-4), 203-209. 

  5. Arya, K. N., Verma, R., Garg, R. K., Sharma, V. P., Agarwal, M., & Aggarwal, G. G. (2012). Meaningful task-specific training(MTST) for stroke rehabilit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19(3), 193-211. 

  6. Beauregard, M., Benhamou, J., Laurent, C., & Chertkow, H. (1999). Word priming without awareness: a new approach to circumvent explicit memory contamination. Brain and cognition, 39, 149-169. 

  7. Brush, J. A., & Camp, C. J. (1998). Using Spaced Retrieval as an Intervention During Speech-Language Therapy. Clinical gerontologist, 19(1), 51-64. 

  8. Camp, C. J. (2006). Spaced retrieval: a model for dissemination of a cognitive intervention for persons with dementia. In D. K. Attix and K.A. Welsh-Bohmer(eds.), Geriatric Neuropsycholog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9. Carswell, A., McColl, M. A., Baptiste, S., Law, M., Polatajka, H., & Pollock, N. (2004).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A research and clinical literature review.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1(4), 210-222. 

  10. Cunningham, C., & Archibald, C. (2006). Supporting people with dementia in acute hospital settings. Nursing standard, 20(43), 51-55. 

  11. Fotuhi, M. (2003). The Memory Cure. New York: McGraw Hill. 

  12. Gottlieb, G. L., Gur, R. E., & Gur, R. C. (1988). Reliability of psychiatric scales in patients with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5(7), 857-860. 

  13. Grandmaison, E. & Simard, M. (2003). A critical review of memory stimulation programs in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neuro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15, 130-144. 

  14. Griffith, H. R., Belue, K., Sicola, A., Krzywanski, S., Zamrini, E., Harrell, L., & Marson, D. C. (2003). Impaired financial abilities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 direct assessment approach. Neurology, 60(3), 449-457. 

  15. Kielhofner, G. (1992). Conceptual foundation of occupational therapy(2nd ed.). Philadelphia: FA davis Co. 

  16. Kixmiller, J. (2002). Evaluation of prospective memory training for individual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Brain and cognition, 49(2), 237-241. 

  17. Kwon, Y. C., & Park, J. H. (1989).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Part I: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Journal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1), 125-135. 

  18. Lee, S. B., Park, C. S., Jeong, J. W., Choe, J. Y., Hwang, Y. J., Park, C.-A., .... Kim, K. W. (2009). Effects of spaced retrieval training (SRT) on cognitive function in Alzheimer's disease (AD) patient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49(2), 289-293. doi:10.1016/j.archger. 2008.10.005 

  19. Lekeu, F., Wojtasik, V., & Van der Linden, M. (2002). Training early Alzheimer patients to use a mobile phone. Acta neurological Belgica, 102, 114-.21. 

  20. Metzler-Baddeley, C., & Snowden, J. S. (2005). Brief report: Errorless versus errorful learning as a memory rehabilitation approach in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27(8), 1070-1079. doi: 10.1080/13803390490919164 

  21. Moore, D. J., Palmer, B. W., & Patterson, T. L. (2007). A review of performance-based measures of functional living skills.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41, 97-118. 

  22. Petersen, R. (2002). Mayo clinic on Alzheimer's disease. Minnesota: Mayo Clinic. 

  23. Poldrack, R. A., & Packard, M. G. (2003). Competition among multiple memory systems: converging evidence from animal and human brain studies. Neuropsychologia, 41, 45-51. 

  24. Reisberg, B., Ferris, S. H., de Leon, M. J., & Crook, T. (1982). The Global Deterioration Scale for assessment of primary degenerative dementia.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9(9), 1136-1139. 

  25. Thivierge, S., Jean, L., & Simard, M. (2013). A randomized cross-over controlled study on cognitive rehabilitation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Alzheimer disease.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2(11), 1188-1199. doi:10.1016/j.jagp.2013.03.008 

  26. Thivierge, S., Simard, M., Jean, L., & Grandmaison, E. (2008). Errorless learning and spaced retrieval techniques to relear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mild Alzheimer's disease: A case report study. Neuropsychiatric Disease and Treatment, 4(5), 987-999. 

  27. Wu, H. S., Lin, L. C., & Wu, S. C. (2014). The effects of spaced retrieval combined with errorless learning in institutionalized elders with dementia: recall performance, cognitive status, and food intake. Alzheimer disease & associated disorders, 28(4), 333-3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