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중에 유통 중인 물휴지 62 품목을 선정하여 살균보존제 성분 및 유해물질 함유 여부 등의 안전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및 식품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살균 보존제인 안식향산나트륨은 46 품목에서 200~3500 ppm 검출되었고 파라벤류는 1 품목에서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이 9 ppm 검출되었다. 사용할 수 없는 살균보존제인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과 메칠이소치아졸리논(3:1)혼합물이 1 품목에서 검출되어 부적합 판정되었으며,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5 ppm, 메칠이소치아졸리논 140 ppm 검출되었다. 염화세틸피리디늄은 5 품목에서 7~13 ppm 검출되었으며, 모두 허용기준 이내로 나타났다. 잔류유해물질인 포름알데히드 검사결과는 $0.069{\sim}1.796{\mu}g/g$로 허용기준인 $20{\mu}g/g$ 이하였다. 메탄올은 5~51 ppm 검출되었으며, 이 중 4 품목에서 허용기준인 20 ppm보다 2배 이상의 농도가 나타났다. 안전한 제품이 유통될 수 있도록 메탄올의 잔류경로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 및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물휴지의 pH를 측정한 결과 4.0~8.2로 나타나 유통화장품의 pH 3.0~9.0 기준에 적합하였으나, 물휴지에는 pH 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pH 기준을 설정하는 고시개정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evaluate the safety of the wet tissues. In this study, we analyzed sterilizing preservatives and the presence of harmful substances in 62 wet tissue samples in the market. The contents of preservatives, formaldehyde and methanol were analyzed by HPL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 유통 중인 물휴지에 함유된살균보존제의 함량을 분석하여 사용한도기준 준수 여부를 조사하고, 비의도적 유해물질인 메탄올과 포름알데히드의잔류량 등을 분석하여 안전한 제품이 유통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물휴지의 pH가 피부 표면에 끼치는 영향은? 5정도의 약산성 상태로 유지시켜 세균의 침입 및 수분증발을 막아 인체를 보호한다. 산도가 높은 제품은 노폐물을 잘 제거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유용한 피지막까지 제거해 피부가 건조해지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알칼리성 제품은 각질층의 pH를 높여 병원균의 증식으로 피부 감염 등이 증가할 수 있다15). 물휴지는 인체 세정용 제품에 포함되어 있어 pH의 기준을 적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물휴지의 특징은? 그중 물휴지는 생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생활용품이다. 위생 및 청결유지에 용이하다는 장점 때문에 영유아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소비층에서 사용하고 있다1,2).
물휴지에 살균보존제를 사용하는 이유는? 그리고 만2세이하 영유아의 이와 잇몸, 입안의 건강과 위생·청결을 위해 사용되는 구강청결용 물휴지는의약외품으로 관리하고 있다. 물휴지는 부직포를 제외한대부분이 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미생물의 오염 및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살균보존제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osmetic Industry Analysis Report: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5). 

  2. Yoo H.J., Hwang H.S.: Use pattern and safety pursuit behavior of consumers who using wet wipes for infants. Crisisonomy, 10(9), 49-73 (2014). 

  3. Park J.E., Lee S.M., Jeong H.J., Chang I.S.: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8 preservativers (6 parabens, 2-phenoxyethanol, and chlorphenesin) in cosmetics by UPLCTM. J.Soc. Cosmet. Scientists Korea, 33(4), 263-267 (2007). 

  4. Darbre P.D., Byford J.R., Shaw L.E., Horton R.A., Pope G.S., Sauer, M.J.: Oestrogenic activity of isobutylparaben in vitro and in vivo. J. Appl. Toxicol., 28, 561-567 (2002). 

  5. Mizuno H., Hirai H., Kawai S., Nishida T.: Removal of estrogenic acitivity of iso-butylparaben and n-butylparaben by laccase in the presence of 1-hydroxybenzotriazole. Biodegradation 20, 533-539 (2009). 

  6.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alysis method of ingredients in cosmetics-UV filter ingredients and preservative ingredients. NIFDS research and service report. (2012). 

  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Exposure factor development study for exposure assessment of household productcleaner and wet-tissue. KFDA research and service report. (2014). 

  8. AOAC: Peer verifided methods program AOAC. Manual on Polices Procedures, USA, (2011). 

  9. ICH Steering Committee: European agency for the evaluation of medicinal products, international commission on harmonisation. ICH Q2B Validation of Analytical Procedures: methodology, London (CPMP/ICH/281/95) (1996). 

  10. Shabir, G.A.: Validation of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for pharmaceutical analysis: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validation requirements of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he US Pharmacopeia and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zation. J. Chromatogr. A, 987(1), 57-66 (2003). 

  11. Park J.S., Hwang L.H., Yang H.R., Jung S.Y., Kim N.Y., Park S.H., Chae H.S., Cho S.J., Lee S.M., Kim J.H.: Monitoring of preservatives in personal care products. Report of S.I.H.E., 50, 61-71 (2014). 

  12. Kim C.K., Choi B.K., Yoo Y.J., Kim S.N., Seok J.K., Kim M.M.: In vitro antibacterial effect of a mouthrinse containing CPC (Cetylpyridinium Chloride), NaF and UDCA (Ursodexoycholic acid) against major periodontopathogens. J. Periodontal Implant Sci., 29(2), 325-333 (1999). 

  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alysis of harmful substances in cosmetics (II)-Methanol Analysis (2012). 

  1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alysis of harmful substances in cosmetics (III)-Formaldehyde Analysis (2012). 

  15. Jung H.H.: A study on the effect of fundamental cosmetics on pH level of the skin after use of slightly acid and alkalescent cleanser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