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벤션에서 자동노출제어장치 이용 시 내장형 면적 선량계와 이동형 면적 선량계의 면적선량 비교를 통한 선량계 오차분석과 교정지침 필요성 연구
Analysis of Dosimeter Error and Need for Calibration Guideline by Comparing the Dose Area of the Built-in Dose Area Product and the Moving Dose Area Product when using Automatic Exposure Controller in Interven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11, 2018년, pp.508 - 515  

최지안 (경희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황준호 (경희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이경배 (경희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인터벤션 장비의 자동노출제어장치(Automatic Exposure Controller, AEC) 이용 시 내장형 면적 선량계와 교정된 이동형 면적 선량계의 오차를 분석하여 선량계 교정의 중요성과 교정지침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방법은 NEMA 팬텀메뉴얼에 따라 팬텀을 Thin, Normal, Heavy Adult로 조립하고 내장형 면적 선량계와 이동형 면적 선량계로 면적선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모든 두께에서 내장형 면적 선량계가 이동형 면적 선량계보다 나타내는 선량 값이 높았고 두께가 두꺼울수록 그 차이가 커졌다. 또한 각 항목에 대하여 paired t-test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 각 항목은 p<0.05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피폭에 많이 노출되는 인터벤션 시술을 고려해 볼 때, 장비의 자동노출제어장치 사용 시 정확한 선량 파악 여부가 중요하고 현재 내장된 면적 선량계에 대한 교정지침이 없으므로 교정지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rrors of the built - in dose area product and the calibrated moving dose area product when using automatic exposure controller of the interventional equipment. And then, the importance of the dosimeter calibration and the necessity of the calibration gui...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진단용 엑스선 촬영 장치는 입사표면선량으로, 진단용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는 면적선량으로 표시하는 것이 보편적이며 장비에 부착되는 선량계는 면적 선량계를 권고하고 있으나[17][18][25], 국내의 방사선 발생장치에 내장된 면적 선량계들에 대한 교정지침이 없는 실정이다[21]. 따라서 본 연구는 인터벤션 장비에 초점을 두어 내장형 면적 선량계가 교정된 이동형 면적 선량계와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선량계 교정의 중요성과 교정지침의 필요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 인터벤션 장비 성능평가는 미세혈관의 구조를 명확히 구분하며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환자 선량의 평가를 목적으로 하는데, 이를 위하여 NEMA 팬텀을 이용하여 공간 분해능과 저 대조도 분해능을 측정해야한다[24].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단계를 거쳤으며 NEMA 팬텀의 메뉴얼에 따라 수동노출로 정도관리여부를 평가하였다. NEMA 팬텀 사용 시 방사선 발생장치의 공간 분해능 합격기준은 0.
  • 선량표시를 하는 이유는 원하는 화질의 영상을 얻는 데 과한 피폭을 방지하고 적절한 방사선량을 사용하고 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11][14]. 필요한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피사체 밀도에 따른 적절한 관전압과 관전류 등의 다양한 파라미터의 조합이 필요하다[12].
  • 이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인터벤션 장비의 자동노출 제어장치 사용 시 내장형 면적 선량계와 교정된 이동형면적 선량계에 대하여 두께에 따라 오차가 얼마나 발생하는지 알아보고 선량계 교정의 중요성과 교정지침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사선량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방사선량은 크게 방사선 기본량과 방사선 방호량으로 나뉘는데, 방사선 기본량에는 커마(Kinetic Energy Released in Matter, KERMA)와 흡수선량 등이 있고, 방사선 방호량에는 등가선량과 유효선량 등이 있다 [11]. 커마는 단위 질량 당 방출된 운동에너지로 정의되는데 환자의 조직에서 전리 또는 여기를 고려하지 않은 모든 2차 전자의 초기에너지 값을 의미하기 때문에 후방 산란인자의 영향이 없어 인터벤션 선량 평가에는 적합하지 않다[11][12].
커마란 어떻게 정의되는가? 방사선량은 크게 방사선 기본량과 방사선 방호량으로 나뉘는데, 방사선 기본량에는 커마(Kinetic Energy Released in Matter, KERMA)와 흡수선량 등이 있고, 방사선 방호량에는 등가선량과 유효선량 등이 있다 [11]. 커마는 단위 질량 당 방출된 운동에너지로 정의되는데 환자의 조직에서 전리 또는 여기를 고려하지 않은 모든 2차 전자의 초기에너지 값을 의미하기 때문에 후방 산란인자의 영향이 없어 인터벤션 선량 평가에는 적합하지 않다[11][12]. 흡수선량은 매질의 한 점에서 단위 질량 당 부여된 에너지의 양으로서 매우 작은 체적에 대해서 정의되며 흡수선량 평가 시 후방 산란 인자는 흡수선량에 30 ∼ 40% 정도의 영향을 미친다.
인터벤션은 다른 의료장비보다 피폭에 더 신경 써야 한다는 이유는 무엇인가? ICRP Publication 85에서는 인터벤션과 관련된 내용을 집중적으로 다루며 중재적 시술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해 예방의 중요성과 권고사항을 제시하였다[7]. ICRP에서 인터벤션에 대해 권고사항을 제시하는 이유는 방사선을 이용하는 여러가지 의료장비들 중에서 인터벤션은 비교적 낮은 조건으로 실시간으로 영상을 확인하면서 검사가 진행되어 장시간 피폭이 발생하기 때문이다[8][9]. 또한 인터벤션은 방사선 방호의 관점에서 확률적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초점을 둔다고 권고를 하면서 그 중요성을 언급하고 있다[5][6]. 확률적 영향으로 인하여 다른 영상의학검사에 비해 낮은 선량임에도 불구하고 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인터벤션은 다른 의료장비보다 피폭에 더 신경 써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7][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IAEA, IAEA Safety Series No. 115, 1996. 

  2. ICRP, ICRP Committee 3, 2002. 

  3. IAEA, IAEA Safety Series No. 115-I, 1994. 

  4. http://www.icrp.org/ 

  5. ICRP, ICRP Publication 60, 1990. 

  6. ICRP, ICRP Publication 103, 2007. 

  7. ICRP, ICRP Publication 85, 2000. 

  8. J. Crowhurst, M. Whitby, D. Thiele, T. Halligan, A. Westerink, S. Crown, and J. Milne, “Radiation Dose in Coronary Angiography and Intervention : Initial Result from the Establishment of a Multi Center Diagnostic Reference Level in Queensland Public Hospital,” J. of Medical Radiation Sciences, Vol. 61, No. 3, pp. 135-141, 2014. 

  9. M. Morris, Z. Salih, J. Wynn, Z. Ahmed, B. Brown, and J. Wright, “Patient Radiation Dose during Fluoroscopically Guided Biventricular Device Implantation,” Acta Cardiology, Vol. 69, No. 5, pp. 491-495, 2014. 

  10. ICRP, ICRP Publication 135, 2017. 

  11. J. H. Hwang and K. B. Lee,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Glass Dosimeter in the Evaluation of Absorbed Dose by Comparing the Doses of Multi-purpose Dosimeter and Glass Dosimeter Using Kerma with PCXMC 2.0 in DR(Digital Radiography),” J.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7, No. 9, pp. 292-299, 2017. 

  12. ICRP, ICRP Publication 93, 2004. 

  13. J. H. Hwang, K. M. Jeong, H. S. Kim, B. S. Kang, and K. B. Lee, “Dose Reduction According to the Exposure Condition in Intervention Procedure : Focus on the Change of Dose Area and Image Quality,” J.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40, No. 3, pp. 393-400, 2017. 

  14. J. H. Hwang, K. M. Jeong, J. A. Choi, H. S. Kim, and K. B. Lee, “A Study on Dose Reduction Method according to Slice Thickness Change using Automatic Exposure Controller and Manual Exposure in Intervention,” J.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41, No. 2, pp. 115-122, 2018. 

  15. J. H. Choi, G. J. Kang, and S. G. Chang, “Comparison on the Dosimetry of TLD and PLD by Dose Area Product,” J.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2, No. 3, pp. 244-250, 2012. 

  16. IEC, IEC 60601-1 : Medical Electrical Equipment-Part 1 : General Requirements for Basic Safety and Essential Performance, 2012. 

  17. IEC, IEC 60601-1-3 : Medical Electrical Equipment-Part 1 : General Requirements for Safety-3. Collateral Standard : General Requirements for Radiation Protection in Diagnostic X-ray Equipment, 2008. 

  18. IEC, IEC 60601-2-54 : Medical Electrical Equipment-Part 2-54 : Particular Requirements for the Basic Safety and Essential Performance of X-ray Equipment for Radiography and Radioscopy, 2009. 

  19. Y. H. Roh and J. M. Kim, “The Tendency of Medical Electrical Equipment - IEC 60601-2-54 : Particular Requirements for the Basic Safety and Essential Performance of X-ray Equipment for Radiography and Radioscopy,” J.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38, No. 4, pp. 331-336, 2015. 

  20. J. H. Hwang and K. B. Lee, “A Study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through the Absorbed Dose and the Histogram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Detector according to the Sensitivity Change of Auto Exposure Control(AEC) in DR(Digital Radiography),” J.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8, No. 1, pp. 232-240, 2018. 

  21. K. M. Lee, B. S. Kang, H. H. Park, and G. Y. Lee, “Analyzed of Dose Area Product in Error Rate,” The Korean Society of Cardio-Vascular Interventional Technology, Vol. 15, No. 1, pp. 128-134, 2012. 

  22. H. Bak, J. S. Jeon, Y. W. Kim, and S. J. Jang, “Dose Assessment according to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Iodine in Contrast Media used in Interventional Procedure,” J.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4, No. 3, pp. 337-345, 2014. 

  23. H. S. Park, C. H. Lim, B. S. Kang, I. G. You, and H. R. Jung,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atient Dose in Interventional Radiology,” J.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35, No. 4, pp. 299-308, 2012. 

  24. B. S. Kang, J. H. Son, and S. C. Kim, “Establishment of Quality Control System for Angiographic Unit,” J.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1, No. 1, pp. 236-244, 2011. 

  25. H. S. Lee, S. G. Han, Y. H. Roh, H. J. Lim, J. M. Kim, J. U. Kim, H. S. Chae, and Y. S. Yoon, “Performance Evaluation of Domestic Prototype Dose Area Product Meter SFT-1,” J.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39, No. 3, pp. 435-441, 2016. 

  26. C. N. Ionita, A. Dohatcu, A. Jain, C. Keleshis, K. R. Hoffmann, D. R. Bednarek, and S. Rudin, "Modification of the NEMA XR21-2000 Cardiac Phantom for Testing of Imaging Systems used in Endovascular Image Guided Interventions," Physics of Medical Imaging, Vol. 7258, p.72584R, 2009. 

  27. B. Wiesinger, S. Kirchner, G. Blumenstock, K. Herz, J. Schmehl, C. D. Claussen, and J. Wiskirchen, “Difference in Dose Area Product between Analog Image Intensifier and Digital Flat Panel Detector in Peripheral Angiography and the Effect of BMI,” RoFo : Fortschritte auf dem Gebiete der Rontgenstrahlen und der Nuklearmedizin, Vol. 185, No. 2, pp. 153-159, 2013. 

  28. C. S. Moore, T. J. Wood, G. Avery, S. Balcam, L. Needler, H. Joshi, J. R. Saunderson, and A. W. Beavis, “Automatic Exposure Control Calibration and Optimization for Abdomen, Pelvis and Lumbar Spine Imaging with an Agfa Computed Radiography System,” Physics in Medicine and Biology, Vol. 61, No. 21, pp. N551-N564, 2016. 

  29. J. S. Lee, S. J. Ko, S. S. Kang, J. H. Kim, D. H. Kim, and C. S. Kim, “Quantitative Evaluation of Image Quality using Automatic Exposure Control & Sensitivity in the Digital Chest Image,” J.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3, No. 8, pp. 275-283,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