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 기반의 치아발치 수기 훈련을 위한 교육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 for Dental Extraction Skill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12, 2018년, pp.218 - 228  

박종태 (단국대학교 치의예과) ,  김지효 (단국대학교 교양학부) ,  이정현 (단국대학교 치의예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치의학 임상실습 장면에서 활용이 가능한 가상현실 기반의 치아발치 교육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습내용 분석-설계모형 도출-개발-타당도 검증-수정 및 콘텐츠 완성'의 단계를 거쳐 치아발치 실습용 교육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3D모델링을 적용하여 환자의 안면해부학적 모델을 구축하고, 치아발치 수술과정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한 단계별 수술장면을 에니메이션으로 구축하였다. 개발된 콘텐츠에 대한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인터페이스 타당도(M: 4.81, SD: 0.72)와 내용타당도(M:4.66, SD: 0.71)를 검증한 결과 타당하게 설계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개발된 치아발치 실습용 교육콘텐츠는 치의학 전공생의 임상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적절한 도구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토대로 의료 분야의 다양한 실습장면을 지원할 수 있는 가상현실 기술 기반의 교육용 콘텐츠 개발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educational content developed for training of dental extraction skill in a virtual environment.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 consists of five steps: learning content analysis, draw a design model, development, test of validity, rectification and complete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연구들은 기존의 임상장면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대안으로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교육콘텐츠를 개발하여 학습자의 임상수행능력 향상에 기여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광범위한 치의학 교육내용을 고려하고 치아발치 실습에 치의학 전공생이 겪고 있는 임상실습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하나의 대안으로 치아발치 수기훈련을 위한 교육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치의학 학생들의 치아 발치수술과정을 이해하고 임상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한 치아발치 실습용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다.
  • 상대적으로 임상실습 장면에 활용이 가능한 교육콘텐츠개발의 필요성은 여전히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임상실습 장면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의 대안으로 가상현실을 적용한 임상실습 교육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치아발치 실습교육을 위한 VR기반의 교육용 콘텐츠를 개발하고 사용성 평가를 통해 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 VR기반의 치아발치 교육용 콘텐츠는 술전과정-수술과정-수술후 과정으로 제작하였으며, 수술과정은 실제 환자의 수술과정 촬영본을 바탕으로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 이 연구는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치아발치 실습지원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가상현실 기반의 치아발치 수기훈련을 위한 교육콘텐츠를 개발하고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또한, 치아발치 전체 수술과정에 대해 가상현실로 수술환경을 제작하고 HMD &모션컨트롤러 기반의 인터렉션 기초 동작을 구현하여 에니메이션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연구는 치의학 교육에서 치아발치 실습교육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가상수술 환경을 구축하여 교수자와 학습자의 필요에 따라 교육 및 학습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전반적인 치아발치 수술에 관한 학습과정을 연결하는 교육콘텐츠로 수술전-수술과정-수술후 과정에 요구되어 지는 치아발치 관련 지식습득과 실습이 연계되는 교육콘텐츠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를 지닌다.
  • 치아발치 전체 수술과정(구강내외 소독~지혈 및 봉합)에 대해 가상현실로 수술환경을 제작하였다. 치과수술 특성상 입안에서 이루어지는 수술을 참관하는데 불편함을 겪을 수 있는데 가상현실 에니메이션으로 구축하여 학습자가 원하는 방향에서 수술장면의 관찰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장면에서 가상현실 기술의 장점은 무엇인가? 교육장면에서 가상현실 기술은 교육콘텐츠를 개발하는데 활용되었으며 동영상을 기반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온라인교육에서 경험위주의 가상현실 교육은 좀 더 생생한 경험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한 기술은 이미 신산업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16].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한 교육콘텐츠들이 개발됨에 따라 이러한 교수·학습매체가 학습자의흥미, 성취, 몰입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연구들도 함께 수행되어져 왔다.
가상현실이란 무엇인가?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은 실제 환경을 유사하게 제작한 컴퓨터 모델 속에서 시각, 청각, 촉각 같은 감각들을 이용하여 그 안에서 정의된 세계를 경험하고 정보와 의사소통하는 것이라 하였다[11]. 가상현실에 관한 초기 연구들은 대부분 새로운 기술의적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에 적용에 있어 미디어, 의료분야, 군사, 교육장면 등에서 적용가능성을 탐색하는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4][11-13][15].
현재 환자 대상 임상수행단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은? 특히 환자 대상 임상수행단계에서는 보통 환자의 장단기 임상증례를 관찰하거나 보조하면서 일부 간단한 직접 시술 등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대부분의 치과대학에서 시설과 인력부족, 실습환자부족 등으로 학생들에게 임상시술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는 실정이다[1]. 그로인해 임상 실습에 필요한 환자는 학생들의 개인적인 친구나 친인척을 환자로 데려오는 실정이며[2], 실제 과거에 비해 원내생 진로센터의 환자가 줄어들고 졸업생의 환자 대상 임상수행 진료량이 줄어든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 이러한 임상실습장면의 한계로 인한 학생들의 임상수행 경험의 부족함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실제 임상장면을 간접적으로 경험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하나의 대안으로 여겨질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최재갑, "우리나라 치과대학교육의 문제점 및 발전방향," 대한치과의사협회지, 제40권, 제3호, pp.224-226, 2002. 

  2. 김지환, 이소진, 박영범, 정문규, "치과대학 및 치과전문 대학원의 보철학 교과과정 실태 조사 및 개선 방향에 대한 고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제51권, 제2호, pp.90-98, 2013. 

  3. 박미정, 치의학대학원 학생의 교육과정에서 임상 수행능력 평가를 위한 세부항목 추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4. 문성용, 최봉두, 문영래, "가상현실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수술 교육," 전자공학회논문지, 제53권, 제12호, pp.169-174, 2016. 

  5. 박형욱, 김명수, 박형준, "3D 모델 기반 기하처리를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식립 계획 방안," 한국CDE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955-959, 2011. 

  6. A. D. Steinberg, P. G. Bashook, J. Drummond, S. Ashrafi, and M. Zefran, "Assessment of faculty perception of content validity of Periosim $^{(C)}$ , a haptic-3D virtual reality dental training simulator," Journal of Dental Education, Vol.71, No.12, pp.1574-1582, 2007. 

  7. P. Rhienmora, P. Haddawy, P. Khanal, S. Suebnukarn, and M. N. Dailey, "A virtual reality simulator for teaching and evaluating dental procedures," Methods of information in medicine, Vol.49, No.04, pp.396-405, 2010. 

  8. 박종태, 이정은, 박사범, "3D모델링 기술을 활용한 모바일 튜토리얼 방식의 치아카빙 실습지원도구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p.546-557, 2016. 

  9. 김문영, 국내.외 발치학 실습 관련 강의 및 평가 조사 보고서, 단국대학교, 2018. 

  10. 정유경, "VR 소방체험 교육콘텐츠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pp.201-202, 2016. 

  11. 심규철, 박종석, 김현섭, 김재현, 박영철, 류해일, "과학교육에서 가상현실 기법의 활용 모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21권, 제4호, pp.725-737, 2001. 

  12. 김현성, 이창선, "가상현실 (VR) 을 적용한 Mp3 Player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5권, 제4호, pp.175-187, 2009. 

  13. 소요환, "웹 3D 와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학습의 사용성 평가 비교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0호, pp.719-729, 2016. 

  14. 심규철, 류수정, 김현섭, 김희수, 박영철, "가상현실 기법의 활용이 지식 향상에 미치는 효과-눈의 구조와 기능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23권, 제1호, pp.1-8, 2013. 

  15. A. Antonietti and M. Cantoia, "To see a painting versus to walk in a painting: an experiment on sense-making through virtual reality," Computers & Education, Vol.34, No.3-4, pp.213-223, 2000. 

  16. 성소민, 이민구,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교육 콘텐츠의 개발 현황과 효과,"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208-209, 2017. 

  17. 강병훈, 김지숙, 김한웅, "3D 가상 현실방식을 사용한 수술교육시스템의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7권, 제4호, pp.287-293, 2016. 

  18. 박종태, 김지효, "3 차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모바일 과제정보 제시가 치아카빙에 관한 지식, 수행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5호, pp.376-385, 2018. 

  19. J. J. Gibson, The ecological approach to visual perception, Psychology Press, 1986. 

  20. 이삼성, 가상현실을 이용한 웹기반 학습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분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1. 강현경, 권경환, 김승희, 김지희, 류혜겸, 최신 구강악안면외과학, 대한나래출판사, 2012. 

  22. 이든샘, 김정호, 김제중, "이완을 유도한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치과불안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2권, 제2호, pp.257-269, 2017. 

  23. 김미량, "컴퓨터교과교육: 컴퓨터 활용교육; 교육용 웹 사이트 평가를 위한 준거의 개발 및 적용,"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6권, 제1호, pp.41-54, 2013. 

  24. 김은정, 이유나, 이상수, "초등학생들의 감정인식과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맞춤형 모바일 앱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제17권, 제3호, pp.85-99, 2014. 

  25. 황윤자, 어포던스 이론 기반의 모바일 증강현실 교육시스템 설계 가이드라인 및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