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남 지역 일부 대학생의 구강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in some university students in Jeonnam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8 no.1, 2018년, pp.103 - 113  

정은주 (청암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in the university students in Jeonnam. Methods: A self-reported survey was completed by 480 university students in Jeonnam from June 1 to 15, 2016 based 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남 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증진행위의 실태를 파악하고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는 대학생 스스로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올바른 인식 고취와 스스로 구강관리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며, 이 시기에 적절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방향을 설정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건강이란? 구강건강은 전신건강과 건강한 삶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소로서, 양호한 구강건강을 가진 사람들은 효과적으로 사람들과 소통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사람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켜 자존감과 사회적 자신감을 갖게 해 줄 수 있다[1].
다빈도 상병 중 치아우식과 치은염 및 치주질환을 특히 신경써야하는 이유는? 9%가 상승하여 가계에서 지출하는 진료비가 급속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 구강질환 중에서도 치아우식병과 치주질환은 치아를 상실하게 되는 가장 주된 원인이며, 중대 구강질환으로 예방과 공중구강보건의 주된 관리대상이다. 그러므로 개개인은 이러한 구강질환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구강질환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더 나아가 자신들의 구강건강에 관심을 가지고 스스로 관리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구강질환이 발생시키는 문제점은? 이러한 것은 사람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켜 자존감과 사회적 자신감을 갖게 해 줄 수 있다[1]. 그러나 치아우식병, 치주질환, 부정교합 및 구강암 등의 구강질환은 사회와 개인에게 통증, 불편감, 음식물 섭취제한, 사회생활 위축 등의 다양한 문제들을 발생시킴으로써 중대한 영향을 끼친다[2].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5년 진료비 통계지표에 의하면, 다빈도 상병 순위 10위 내에 치은염 및 치주질환은 2위, 치아우식은 6위로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Locker D. Measuring oral health: a conceptual framework. Community Dent Health 1988;5 (1):3-18. 

  2. Watt RG. Strategies and approaches in oral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Bull World Health Organ 2005;83(9):711-8. https://doi.org/10.S0042-96862005000900018 

  3.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Internet]. [cited 2016 Feb 24].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41000000&cmsurl/cms/inform/02/1344830_27116.html&subject. 

  4. Ministry health welfare.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eoul: Ministry health welfare; 2015: 61-3. 

  5. Lee HS, Kim GS. Oral health behavior of economically active women in chollabuck do republic of Korea: 2. oral preventive behavior. J Korean Acad Dent Health 1999;23(3):287-99. 

  6. Jeong GC, Lee HS, Kim SN. A study on the dental services utilization by application of the andersen model in students of some Korean university.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3; 27(3):357-73. 

  7. Yarcheski A, Mahon NE. A causal model of positive health practices: The relationship between approach and replication. Nursing Research 1989;38(2):88-93. 

  8. Lee HY. Study on relation factors of oral health behaviors: based on health promotion model [Master's thesis]. Seoul: Univ. of Yonsei, 2000. 

  9. Speake DL, Cowart ME, Pellet K. Health perceptions and lifestyles of the elderly. Res Nurs Health 1989;12(2):93-100. 

  10. Blot WJ, Mclaughlin JK, Winn DM, Austin DF, Greenberg RS, Preston-Martin S, et al. Smoking and drinking in relation to oral and pharyngeal cancer. Cancer Res 1988;48(11):3282-7. 

  11. Papapanou PN. Periodontal diseases: epidemiology. Ann Periodontol 1996;1(1):1-36. 

  12. Chung S. Factors influencing problem drinking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07;27:176-98. 

  13. Song AH, Choi CH. Effect of commercial alcoholic drinks on sound enamel surface of bovine teeth.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3;37(4):180-6. 

  14. Willershausen B, Callaway A, Azrak B, Schulz-Dobrick B. Prolonged in vitro exposure to white wines enhances the erosive damage on human permanent teeth compared with red wines. Nutr Res 2009;29(8):558-67. https://doi.org/10.1016/j.nutres.2009.08.004 

  15. Ma DS, Lee BJ, Kim DK, Kim BI, Kim YS, Park DY, et al. Preventive dentistry. 1st ed. Seoul: DaehanNarae; 2016: 157-72. 

  16. Lee SM. A study on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J Dent Hyg Sci 2006;6(3):187-92. 

  17. Lee JS, Lee HS. The oral health behavior and its related factor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4;28(3):331-46. 

  18. Ma DS, Lee BJ, Kim DK, Kim BI, Kim YS, Park DY, et al. Preventive dentistry. 1st ed. Seoul: Daehan Narae; 2016: 287-321. 

  19. Lee KH. Influential factors for the use of oral hygiene supplies in metropolitan area. J Korean Soc Dent Hyg 2013;13(6):951-9. https://doi.org/10.13065/jksdh.2013.13.06.951 

  20. Park IS, Jeong EJ. Influential factors for recognition and use of oral care supplies by oral prophylaxis practice lab visitors. J Korean Soc Dent Hyg 2017;17(1):133-44. https://doi.org/10.13065/jksdh.2017.17.01.13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