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대학생의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
Convergence factors of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perception on oral health improvement behavior in some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11, 2017년, pp.167 - 175  

임선아 (송원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본 연구는 일부 대학생을 대상으로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S대학교 재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2017년 4월 10일부터 4월 30일까지 설문조사하여 최종 290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구강건강지식은 11.46점, 5점 척도인 구강건강 중요성은 1.71점, 구강건강 상태 2.78점, 구강건강 관심 2.52점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교육경험유무에서 구강건강지식과 구강건강중요성, 구강건강관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S대학 학생들의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 요인은 구강건강상태(${\beta}=-0.188$), 구강건강관심(${\beta}=-0.265$)이었다.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심이 높을수록 결국 구강건강증진행위도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구강건강지식을 높이고 구강건강에 관심을 갖게 하여 행동과 태도의 변화를 일으키게 하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behavior of oral health improvement perceived by the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perception factors in some college students.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rom April 10, 2017 to April 30, 2013 for 300 students 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점을 토대로 구강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선행논문으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에 관련 논문은 다소 진행되고 있으나 [5,7,8,10,11,12], 구강건강 인지지각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에 관한 논문은 다소 미비한 실정 이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의 구강건강 인지지각 능력을 높이고 올바른 지식과 습관을 갖게 하여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구강건강 습관은 성인기․노년기에 이르기까지 구강건강증진행위를 올바르게 정립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대학생의 구강건강은 매우 중요하다[16]. 이에 대학생들이 인지-지각하고 있는 구강건강지식,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중요성, 구강건강관심의 정도를 파악하고,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분석하여 올바른 구강건강행위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구강건강 지식은 총점 14점에서 11.
  • 이에 본 연구는 S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찾고자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행 구강건강에 관련 논문의 한계는? 우리나라 대학생을 위한 구강보건사업이나 구강보건교육이 다소 미비한 점으로 보아 이들을 위한 구강보건교육관리의 필요성이 절실하기도 하다[10]. 이러한 점을 토대로 구강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선행논문으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에 관련 논문은 다소 진행되고 있으나 [5,7,8,10,11,12], 구강건강 인지지각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에 관한 논문은 다소 미비한 실정 이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의 구강건강 인지지각 능력을 높이고 올바른 지식과 습관을 갖게 하여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학생이 구강건강에 취약한 상태인 이유는? 대학생의 경우 학생에 속하기는 하지만 학교구강보건교육 대상자가 아니며, 성인으로서 사회생활을 하는 상황이 아니기에 사업장구강보건교육대상자도 아닌 점으로 보아 다소 취약한 상태이다[9]. 우리나라 대학생을 위한 구강보건사업이나 구강보건교육이 다소 미비한 점으로 보아 이들을 위한 구강보건교육관리의 필요성이 절실하기도 하다[10].
대학생들의 구강건강 관련 지식이나 태도, 행동의 특징은? 미래의 주역인 대학생들의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이나 태도, 행동의 변화는 본인 자신은 물론 주변인과 가족에게도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구강건강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필요하다[4]. 이들은 부모로부터 독립할 수 있는 시기이기도 하며 자신의 건강에 대한 스스로 관리가 필요하나 다소 책임감이 떨어지며, 음주 및 흡연으로 인해 구강건강이 악화되는 시점이 될 수 있다[5]. 올바른 구강건강습관은 대학생활을 더욱 활기차게 만들 뿐 아니라 삶의 질을 높여준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 Richmond, I. Chestnutt, J. Shennan, R. Brown, "The relationship of medical and dental health",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Vol. 35, No. 2, pp. 89-97, 2007. https://doi.org/10.1111/j.1600-0528.2007.00296.x 

  2. D. Kushnir, S. P. Zusman, P. G. Robinson, "Validation of a hebrew vers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14", J Public Health Dent, Vol. 64, No. 2, pp. 71-75, 2004. https://doi.org/10.1111/j.1752-7325.2004.tb02730.x 

  3. H. O. Lee, C. H. Yang, J. Kim, Y. I. Kim, "Demestic disabled people′s use of dental service institutes and their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J Dent Hyg Sci, Vol. 9, No. 5, pp. 593-600, 2009. 

  4. H. S. Lee, Y. M. Yoon, J. S. Lee, S. N. Kim, "Restricted activity with oral disease in Korean university student, J Korean Acad Dent Health Vol. 25, No. 3, pp. 245-258, 2001. 

  5. S. O. Lee, Y. J. Jang, "Correlation among oral health behavior, oral health knowledge and dietary control of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Vol. 16, No. 5, pp. 725-732, 2016. http://dx.doi.org/10.13065/jksdh.2016.16.05.725 

  6. S. U. Yoon, E. S. Lee, "Convergence research on tooth brushing behavior and oral health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and foreign students in some areas", J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8, No. 3, pp. 97-104, 2017. https://doi.org/10.15207/JKCS.2017.8.3.071 

  7. B. R. Lee, Y. H. Lee, "Oral health beliefs and oral health behaviors related factors of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Vol. 17, No. 3, pp. 431-440, 2017. https://doi.org/10.13065/jksdh.2017.17.03.431 

  8. S. J. Jang,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oral health literacy,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 of some university students", J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2, pp. 69-75, 2016. https://doi.org/10.15207/JKCS.2016.7.2.069 

  9. J. N. Lim, Y. R. Jung, "Development proposal of oral health educational media based on th oral health care and educational needs of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Vol. 13, No. 2, pp. 323-334, 2013. 

  10. S. U. Yoon, S. J. Jang, "Covergent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 of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university students in some areas", J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1, pp. 97-104, 2016. https://doi.org/10.15207/JKCS.2016.7.1.097 

  11. J. M. Seong, Y. M. Moon, "A study on the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other major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Vol. 12, No. 3, pp. 577-583, 2012. 

  12. Y. J. Han, M. A. Han, S. Y. Ryu, S. W. Choi, "Oral health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in public health majoring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Vol. 15, No. 3, pp. 487-495, 2015. http://dx.doi.org/10.13065/jksdh.2015.15.03.487 

  13. H. Y. Lee, Study on relation factors of oral health behaviors:based on health promotion model.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1. 

  14. E. J. Jung, H. J. Youn,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according to awareness-perception factors of dental hygiene and nonhealth-related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Vol. 10, No. 5, pp. 777-788, 2010. 

  15. S. H. Park, Comparison on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in jeollabuk-do korea. Wonkwang University, Maste r′s thesis, 2009. 

  16. M. K. Jeong, Y. M. Kim, S. Y. Hong, "A study on the oral health behavior of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and other majors", J Korean Soc Dent Hyg, Vol. 11, No. 5, pp. 615-627, 2011. 

  17. Y. I. Kim, "A study on the health science college students dental health behaviors, J Korean Soc of Dent Hyg, Vol. 8, No. 1, pp. 23-33, 2008. 

  18. Y. J. Jang, J. A. Jung, E. S. Jeon, "Relation factors of oral health behavior of junior college in jeollanamdo", J Korean Acad Dental Hygiene Education, Vol. 6, No. 4, pp. 387-402, 2006. 

  19. S. A. Lim, A. H. Song, M. S. Lee, "A study on oral health awareness-recognition factors and ora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or social workers engaged in child care facilities", J Korean Soc Dent Hyg, Vol. 12, No. 6, pp. 1119-1127, 2012. 

  20. K. H. Kim, C. H. Han, J. H. Kwon, S. K. Lee, "The related factors o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aegu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18, No. 2, pp. 65-82, 2001. 

  21. S. M. Lee, "A study on some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oral health and relevant influential factors", J Korean Acad Dental Hygiene Education, Vol. 7, No. 1, pp. 41-51, 2007. 

  22. G. S. Cho, B. C. Yu, M. G. Cho, "A study on preschooler mother's responsibility based on experiences of oral health education, J Korean Soc Dent Hyg, Vol. 12, No. 3, pp. 585-595, 2012. 

  23. Y. S. Chung, "A study on the status of the dental health of adul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17, No. 1, pp. 95-113,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