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볶은 쌀겨를 첨가한 밀가루 반죽의 rheology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flour dough containing roasted rice bra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0 no.6, 2018년, pp.587 - 593  

신현광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바이오식품공학과) ,  이정훈 (건국대학교 축산식품생명공학과) ,  정구춘 (건국대학교 화학과) ,  이시경 (건국대학교 축산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강력밀가루에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된 볶은 쌀겨를 0, 5, 10, 15% 대체 첨가하여 혼합한 반죽의 rheology 특성을 분석하였다. 파리노그라프 분석에서 굳기는 대조구보다 볶은 쌀겨 5% 첨가구가 10.00 FU차이를 보였고, 수분 흡수율은 0.11%, 안정도는 0.5 분으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Rheofermentometer 분석에서 총 부피는 대조구와 볶은 쌀겨 5%첨가구는 다른 첨가구보다 적은 차이를 보였으며 볶은 쌀겨의 영양성분과 소비자들의 빵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볶은 쌀겨 5%첨가구가 적절하며, RVA 측정에서 Setback값은 볶은 쌀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값을 나타냈다. 발효 팽창력 측정에서도 볶은 쌀겨 5% 첨가구가 80 분에는 2.01 cc의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실험으로 쌀겨를 볶음으로써 강한 산화방지력과 보존기간의 연장으로 볶은 쌀겨 5%까지 첨가는 제빵적성에 좋지 않은 영향이 적어 영양적으로 우수한 기능성을 가진 제품 개발 가능성과 볶은 쌀겨 수요 증대에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oasted rice bran (RRB)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 According to farinograph analysis, the consistency of the control sample was great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ater absorption (p<0.05). Lower values of dev...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빵 제조 시 각종 기능성 물질과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볶은 쌀겨를 밀가루 대비 0, 5, 10, 15% 대체 첨가하여 밀가루 반죽의 레올리지에 미치는 영향으로 파리노그래프, rheofermentometer, rapid visco analyzer (RVA) 특성,반죽의 부피변화 등의 반죽 특성을 조사하여 기능성 소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겨층에 존재하는 구조물질과 식이섬유를 통해 쌀겨엔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가? 겨층에 존재하는 세포벽 구조물질인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리그닌과 가용성 식이섬유는 펙틴, 검과 같은 형태로 존재한다. 이는 보수력이 좋아 변을 부드럽게 하고(Muramoto와 Kawamura, 1991), 물에 용해되거나 팽윤되어 젤화 하는 성질이 있어 콜레스테롤, 무기질 등의 영양성분 흡수를 느리게 하여 간장, 신장의 기능개선 및 비만 방지에 효과적이다. 이는 쌀겨가 정장효과에도 뛰어나다는 보고와 일치한다(Kim 등, 2004).
쌀겨란? 쌀겨(rice bran)는 벼의 외피인 왕겨(husk)를 분리한 현미를 도정하여 백미를 만들 때 생기는 외배유와 호분층을 말하며, 벼는 밀, 옥수수와 함께 세계 3대 작물이다. 한국, 중국을 비롯하여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재배되고 있고, 우리나라는 연간 약 50만톤으로 추정하고 있다(Lee 등, 2006).
겨층에 존재하는 지방의 산패로 어떤 문제점이 발생하는가?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50만 톤의 쌀겨가 생산되며 쌀겨의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가 알려져 있어 소비자의 관심이 증대되었다(Choi, 2007). 겨층에 존재하는 지방은 라이페이스에 의한 산패로 인하여 저장이 어려워 20-30% 정도만 유지 추출의 원료로 쓰이고, 나머지는 사료나 유기질 퇴비 또는 폐기물로 처리돼 환경적 오염을 일으킨다(Ha 등, 1997; Kim 등, 1997).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한 안정화 쌀겨 제조법이 발표됨(Kim, 2013)에따라 쌀겨를 활용하여 안전하고 생리활성 효능을 가진 식품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확대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ACC. Approved methods of AACC.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Methods 54-21, 02-31, 02-52 (1985) 

  2. Byun JB. The quality properties of the white pan bread with the soy fiber composite. PhD dissertation, Hansung University, Seoul, Korea (2010) 

  3. Chang KH, Byun GI, Park SH, Kang WW. Dough properties and bread qualities of wheat flour supplemented with rice bran. Korean J. Food Preserv. 15: 209-213 (2008) 

  4. Choi UK. Effect of barley bran flour addition on the quality of brea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746-750 (2005) 

  5. Choi EH.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raedduk with rice bran. PhD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2007) 

  6. Choi UK, Yoo BH, Son DH, Kwon DJ, Kim MH, KimYH.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added with barley br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751-756 (2005) 

  7. Chung JY, Kim CS. Development of buck-wheat bread properties. Korean J. Soc. Food Sci. 14: 140-147 (1998) 

  8. Corsetti A, Gobbetti M, Balestrieri F, Paoletti F, Russi L, Rossi J. Sourdough lactic acid bacteria effects on bread firmness and staling. J. Food Sci. 63: 347-351 (1998) 

  9. Faqir MA, Muhammad ZS, Muhammad IK, Imran P. Sugar utilization behavior of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types and doses on bread quality. Nutr. Food Sci. 40: 395-402 (2010) 

  10. Finegold SM, Flora DJ, Alterberg HR, Sutter VL. Effect of diet on human fecal flora: Comparison of Japanese and American diets. Am. J. Clin. Nutr. 27: 1456-1469 (1974) 

  11. Ha TY, Lee SH, Lee HY. The effect of various rice bran extracts on the lipid contents of serum and liver in rat fed with high fat diet.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78-182 (1997) 

  12. Han IJ.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with red ginseng marc powder.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Korea (2006) 

  13. Hwang SJ. Physical properties of dough with bamboo leaf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8: 517-526 (2011) 

  14. Jang KH, Kang WW, Kwak EJ.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added with rice bran powder. J. East Asian Soc. Diet. Life 22: 543-549 (2012) 

  15. Jang SJ, Kim MJ, Kim AJ.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reparation of Dasik using roasted mung bean. Korean J. Human Ecol. 23: 357-366 (2014) 

  16. Jang KH, Kwak EJ, Kang WW. Effect of rice bran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 Korean J. Food Preserv. 17: 631-636 (2010) 

  17. Jeong HC, Yoo SS.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 added with color barley powder. Korean J. Culin. Res. 20: 127-143 (2014) 

  18. Jung HC.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pan bread with various barley powder. PhD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2012) 

  19. Jung HS, No KH, Ko MK, Song YS. Effect of leek (Allium tuberosum) powder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eads. Korean J. Food Cook. Sci. 28: 113-117 (1999) 

  20. Kang CO. Effect of the addition of powdered-bamboo leaves on the quality and preservations of breads.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000) 

  21. Kim EK. A study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dough containing Korean ginger powder and the baking characteristics. M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009) 

  22. Kim OS. Physiologic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kery products added with Mosi leaf powder. PhD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2010) 

  23. Kim WJ. Quality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Garaedduk prepared with stabilized rice bran and rice flours by semi-dry milling. M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eajeon, Korea (2013) 

  24. Kim KT, Choi AR, Lee KS, Jung YM, Lee KY.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made from domestic Korean wheat flour containing cactus Chounnyuncho (Opuntia humifusa)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3: 461-468 (2007) 

  25. Kim YS, Ha TY, Lee SH, Lee HY. Properties of dietary fiber extract from rice bran and application in bread-mak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02-508 (1997) 

  26. Kim SH, Phuong Lan Vu, Lee KT. Enzymatic synthesis of functional oil from rice bran oil and dietary effects on hepatic ACAT activities of high cholesterol and high fat fed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803-809 (2004) 

  27. Lee MH, Kim SK, Choi YS. The physicochemical and quality properties of the bread added with soy fiber powder. Korean Culin. Res. 18: 1-14 (2012) 

  28. Lee SH, Lee YR, Hwang IG, Woo KS, Kim KH, Kim KJ, Jeong HS.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erminated rough rice tea according to roasting temperature, time and leaching condi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386-391 (2009) 

  29. Lee BY, O JH, Kim MH, Jang KH, Lee JC, Surh JH. Influences of roasted or non-roasted brown rice addition on the nutritional and sensory properties and oxidative stability of sunsik, Korean heated cereal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6: 872-886 (2010) 

  30. Lee HJ, Park HO, Lee JM. Fermentation properties of yogurt added with rice bran. Korean J. Food Cook. Sci. 22: 488-494(2006) 

  31. Lee YT, Seog HM, Kim SS, Kim KT, Hong HD.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immature barley kernels during roast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36-342 (1994) 

  32. Mod RR, Normand FL, Ory RL, Conkerton EJ. Effect of hemicellulose on viscosity of rice flour. J. Food Sci. 46: 571 (1981) 

  33. Muramoto G, Kawamura S. Rice and antihypertensive peptide (angiotensin conversion enzyme inhibitor) from rice. Nippon Shokuhin Kougyo 34: 18-26 (1991) 

  34. Park HH.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bread flour containing yam powder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eamed bread. M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015) 

  35. Park HS, Han GD. Effect of fermented rice bran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white bread dough. Korean J. Food cult. 25: 82-90 (2010) 

  36. Pomeranz Y, Shogrem MD, Finney KF, Bechter DB. Fiber in bread making-effects in functional properties of wheat flour. J. Food Sci. 53: 304-309 (1977) 

  37. Seo JD, Han IK. Influence of sources and levels of dietary fiber on lipid composition in rats. Korean J. Nutr. 21: 164-172 (1998) 

  38. Shin HK, Lee JH, Lee SK.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roasted rice bran. Korean J. Food Sci. Technol. 49: 401-407 (2017) 

  39. Song YK, Hwang YK, Lee HT, An HL.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 with the addition of Korean whole wheat flour. J. East Asian Soc. Diet. Life 23: 586-596 (2013) 

  40. Yook HS, Kim YH, Ahn HJ, Kim DH, Kim JO, Byun MW.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dough and qualities of bread prepared with dietary fiber purified from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387-395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