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증점제로서의 곡류 가루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grain powder as a viscosity agent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0 no.6, 2018년, pp.608 - 613  

설유나 (상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정아 (상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점도 상승 효과와 열량 및 영양성분의 섭취량 증가를 목적으로 고아미, 찰보리, 발아현미, 귀리 등 4종 곡류를 이용, 시판 증점제와 유사한 점도를 갖는 첨가량을 결정하고, 시료의 점도, 색도, 관능적 특성 등을 평가하였다. 곡류들 중, 찰보리가 가장 높은 호화 점도 특성을 보였으며, 고아미가 가장 낮은 특성을 보였다. 색도측정 결과 고아미는 명도가 가장 높았고, 귀리나 발아현미는 황색도가 높아 첨가한 시료의 노란색이 두드러지는 특성을 보였다. 시판 증점제 첨가량을 기준으로 분산매인 흰쌀죽 시료의 점도를 비교한 결과, 시판 증점제 0.5포 첨가 점도, 즉 1단계 점도를 얻기 위해서는 고아미 3%, 찰보리 3%, 발아현미 4%, 귀리 3.5%를 첨가해야 하고, 시판 증점제 1포에 해당하는 점도 2단계에 도달하려면 고아미 6%, 찰보리 4%, 발아현미 5.5%, 귀리 5%를, 2포에 해당하는 점도 3단계는 고아미 7%, 찰보리 5.5%, 발아현미 6%, 귀리 6.5%를 첨가해야 도달할 수 있었다. 온도에 따라 증점제 첨가시료의 점도는 달라졌으나, 배식과 섭취온도를 고려한 $55-60^{\circ}C$에서는 시판 증점제를 대체하기에 충분한 점도를 보였다. 관능검사결과 전체적 선호도는 주로 색에 기인하였으며, 다른 요인들은 관능적 특성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감각적 특성이 20-30대보다 민감하지 않은 연하곤란자(주로 노인)의 경우, 그 차이가 적을 수 있어 본 실험에서 사용한 곡류 가루들은 충분히 시판 증점제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increasing both the viscosity and intake of calories and nutrients, four cereal powders: Goami (GR), waxy barley (WBL), germinated brown rice (GBR), and oat (OT) were added to rice porridge, and the properties of the porridge were compared with that containing a commercial thickener. Among the s...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아미는 일반 쌀보다 아밀로스 함량이 높은 쌀로 식이섬유 함량이 일반 쌀의 4배 이상 많고 제 2 당뇨병 및 비만예방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Lee와 Shin, 2002). 곡류에는 전분이 함유되어 있어 가열 시 호화에 의한 점도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위의 네 가지 곡류를 이용, 시판 증점제에 상응하는 점도를 갖는 첨가량을 결정하고, 그 특성을 비교하여 연하곤란자용 영양강화 증점제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하장애란 무엇인가? 연하란 구강 내의 음식물이 식도를 통해 이동하는 과정을 말하며(Yoon, 2016) 음식물이 인두, 식도를 통해 위, 장관까지 전달되는 과정에 문제가 있는 상태를 연하장애라고 하는데(Roy 등, 2007), 연하장애의 원인으로는 구강, 인두, 식도, 안면근육, 입술, 혀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신경이나 근육 기능의 쇠퇴 이외에도 뇌졸중, 외상, 파킨슨씨병, 소아마비, 중증의 근무력증 등이 보고되고 있다(Kim과 Lee, 2011). 연하장애는 모든 연령대에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지만, 신체적 노화가 일어나는 노인기에 발생하기 쉬우며 노인 사망원인 1위인 흡인성 폐렴의 주원인이 된다 (Ney 등, 2009).
연하장애의 원인은 무엇인가? 연하란 구강 내의 음식물이 식도를 통해 이동하는 과정을 말하며(Yoon, 2016) 음식물이 인두, 식도를 통해 위, 장관까지 전달되는 과정에 문제가 있는 상태를 연하장애라고 하는데(Roy 등, 2007), 연하장애의 원인으로는 구강, 인두, 식도, 안면근육, 입술, 혀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신경이나 근육 기능의 쇠퇴 이외에도 뇌졸중, 외상, 파킨슨씨병, 소아마비, 중증의 근무력증 등이 보고되고 있다(Kim과 Lee, 2011). 연하장애는 모든 연령대에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지만, 신체적 노화가 일어나는 노인기에 발생하기 쉬우며 노인 사망원인 1위인 흡인성 폐렴의 주원인이 된다 (Ney 등, 2009).
연하장애 환자용 식단 제조 시 유의 점은 무엇인가? 음식물의 점도가 높을수록 구강 및 인두 통과시간이 늘어나서 조기 연하로 인한 기도흡인의 가능성이 줄어들기 때문에(Dantas 등, 1990), 연하장애 환자용 식단은 식품에 점도를 부여하여 구강 내에서 음식의 덩어리를 형성, 구강 내 점막이나 목에 달라붙지 않고 인두를 따라 쉽게 통과할 수 있는 식단을 의미한다(Bisch 등, 1994). 그러나, 점도가 너무 높으면 음식물의 이동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질 뿐만 아니라 연하와 관련된 근육들이 약한 환자들에게는 음식물이 구인두 내에 남게 되어 오히려 흡인의 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Hamlet 등, 1996), 적절한 점도를 가진 식품을 섭취하게 함으로써 흡인으로 인한 폐렴 등의 발병률을 낮출 수 있다(Steele 등, 2003). 연하곤란자의 41%는 죽 형태의 식사를, 34%는 미음형태의 식사를 한다고 보고되고 있는데(Baek, 2007), 이러한 식사로는 연하곤란자들이 충분한 열량을 섭취하기 어렵기 때문에 재활전문병원에 입원 중인 뇌졸중 노인환자 가운데 연하곤란자의 50%가 영양실조, 6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man P, Graham H. Analysis of total and insoluble mixed-linked ( $1{\rightarrow}3$ ),( $1{\rightarrow}4)-{\beta}-D-glucans$ in barley and oats. J. Agr. Food Chem. 35: 704-709 (1987) 

  2. Baek JY.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ysphagia of older adults with neurologic disorders. J. Korean Soc. Occup. Ther. 15: 51-54 (2007) 

  3. Bisch EM, Logemann JA, Rademacker AW, Kahrilas PJ, Lazarus CL. Pharyngeal effects of bolus volume, viscosity and temperature in patients with dysphagia resulting from neurologic impairment and in normal subjects. J. Speech Lang. Hear. Res. 37: 1041-49 (1994) 

  4. Chen PH, Golub JS, Hapner ER, Johns MM. Prevalence of perceived dysphagia and quality-of-life impairment in a geriatric population. Dysphagia 24: 1-6 (2009) 

  5. Dantas RO, Kern MK, Massey BT, Dodds WJ, Kahrilas PJ, Brasseur JG. Effects of swallowed bolus variables on oral and pharyngeal phases of swallowing. Am. J. Physiol. 258: 675-681 (1990) 

  6. Hamlet S, Choi J, Zormeier M, Shamsa F, Stachler R, Muz J, Jones L. Normal adult swallowing of liquid and viscous material: Scintigraphic data on bolus transit and oropharyngeal residues. Dysphagia 11: 41-7 (1996) 

  7. Han SH, Oh MS. A comparative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ok (traditional Korean rice gruel) make of imported and domestic rices (Chunchungbyeo). Korean J. Food Cook. Sci. 17: 604-610 (2001) 

  8. Jeong HC, Ji JL. Quality characteristics and dough rheological properties of pan bread with waxy barley powder. Culi. Sci. Hos. Res. 19: 119-135 (2013). 

  9. Jin HK, Kim BK, Han JA.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thickeners using natural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9: 229-234 (2017) 

  10. Joung HS.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eksulgi with added barley powder. J. East Asian Soc. Diet. Life 18: 974-980 (2008) 

  11. Kalueff A, Nutt DJ. Role of GABA in memory and anxiety. Depress. Anxiety 4: 100-110 (1996) 

  12. Kim JY, Kim JB, Yi YH. pH, moisture, solid, total sugar, amylose, viscosity, spreadability and color of puffed rice powder added Tarakjuk. Food Eng. Prog. 13: 159-162 (2009) 

  13. Kim HA, Lee KH.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made with various cereal powders in dietary fiber. J. East Asian Soc. Diet. Life 21: 888-896 (2011) 

  14. Lee JE, Kim W, Kim BS, Jang SJ, Kang SY, Kim HJ, Lee CY, Lee MJ. Nutritional assessment of geriatric stroke patients in a rehabilitation hospital. J. Korean Acad. Rehabil. Med. 30: 604-610 (2006) 

  15. Lee JA, Park GS, Ahn SH. Comparative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barley and oatmeals. Korean J. Food Cookery Sci. 18: 238-246 (2002) 

  16. Lee C, Shin JS. The effect of dietary fiber content of rice on the on the postprandial serum glucose response in normal subject. Korean J. Food Nutri. 15: 172-177 (2002) 

  17. Morrison WR, Tester RF, Snape CE, Law F, Fidley MJ. Swelling and gelatinization of cereal starches: Some effects of lipid-complexed amylose and free amylose in waxy and normal barley starches. Cereal Chem. 70: 385-391 (1993) 

  18. Newman RK, Newman CW, Graham H. The hypocholesterolemic function of barley ${\beta}$ -glucans. Cereal Foods World 34: 883-886 (1989) 

  19. Ney D, Weiss J, Kind A, Robbins J. Senescent swallowing: Impact,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Nutr. Clin. Pract. 24: 395-413 (2009) 

  20. Park JW, Oh GR, Park YS. Comparison of the thickeners used in dysphagia treatment. J. Korean Dysphagia Soc. 2: 67-72 (2012) 

  21. Roy N, Stemple J, Merrill R, Thomas L. Dysphagia in the elderly: Preliminary evidence of prevalence, risk factors, and socioemotional effects. Ann. Otol. Rhinol. Laryn. 116: 858-865 (2007) 

  22. Son YK, Baek SB, Lee CW, Kim HS, Suh SJ, Hwang JJ, Nam JH, Kim JG. Effect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n palatability of Korean waxy barley cultivars. Treat. of Crop Res. 5: 387-392 (2004) 

  23. Sopade PA, Halley PJ, Cichero JAY, Ward LC, Hui LS, Teo KH. Rheological characteristic of food thickeners marketed in Australia in various media for the management of dysphagia II. Milk as a dispersing medium. J. Food Eng. 84: 4-15 (2008) 

  24. Steele CM, Lieshout PH, Goff DH. The rheology of liquids: A comparison of clinicians' subjective impressions and objective measurement. Dysphagia 18: 82-95 (2003) 

  25. Yoon HY. Diet modification for dysphagia in oral phase associated with aging. J. Korean Dysphagia Soc. 6: 20-24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