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색미 에탄올 추출물의 산화방지 효과와 UVB에 유도된 인간유래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의 항노화 효과
The effects of antioxidant and anti-aging treatment of UVB-irradiated human HaCaT keratinocytes with ethanol extracts of colored rice varieti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0 no.6, 2018년, pp.653 - 659  

최은영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  이진태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선별된 유색미 2품종에 대한 자외선 조사에 따른 노화 억제 메커니즘을 확인하고자 산화방지 활성을 분석하였으며, JE와 SRE 모두 $500{\mu}g/mL$ 농도에서 88.5%와 88.9% 이상의 높은 DPPH 라디칼 억제능을 보였으며, ABTS 억제활성 실험에서는 $100{\mu}g/mL$ 이상의 농도에서 93.5%와 95.7% 이상의 ABTS 라디칼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collagenase 억제 활성 실험 결과, JE와 SRE 모두 $1,00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73.2%, 74.4% 이상의 효소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MMPs의 단백질과 mRNA의 발현억제를 확인한 결과, MMP-1과 -3의 단백질 발현은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MMP-1은 JE와 SRE의 $5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약 29.8%와 33.2%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100{\mu}g/mL$의 농도에서는 각각 78.3%와 70.8%의 우수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MMP-1과 -3의 mRNA의 발현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특히 JE $100{\mu}g/mL$의 농도를 처치한 경우에 mRNA 발현이 매우 유의하게 감소(약 50.7%와 37.9%)되었음을 확인하였다. SRE는 MMP-3 mRNA의 발현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었고 $100{\mu}g/mL$의 농도에서 약 39.7%가 억제되었으며, MMP-1 mRNA의 발현은 $100{\mu}g/mL$의 농도에서 약 66.4%가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선별된 유색미 2종인 조생흑찰과 신토흑미의 에탄올 추출물이 산화방지 및 항노화 효능을 확인함에 따라 기능성 식품 화장품 분야에서 주름개선 및 항노화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aging efficacy in terms of sup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in UVB-irradiated HaCaT cells by adding the ethanol extracts of Josaengheogchal (JE) and Shintoheug rice (SRE). In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and ABTS radi...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흑미는 polyphenolics, 플라보노이드, 안토사이아닌, 바이타민, 감마오리자놀 등의 기능성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 비교적 강한 산화방지 활성이 있고(Slavin등, 1999), 적미는 틴닌계 색소 뿐 아니라 카테킨 및 카테콜 타닌 등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고 보고되었으며(Choi와 Oh, 1996), 항암활성(Nam과 Kang, 1998)과 DNA 손상을 회복시켜주는(Tsuda 등, 1998) 효과에 대한 보고 등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선행된 연구에서 이미 선별된 유색미 5종에 대한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효과가 우수했던 조생흑찰과 신토흑미의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사람 피부 표피세포에서의 MMP-1 (collagenase group)과 MMP-3(stromelysin group), MMP-2와 9 (gelatinase group)의 단백질 발현 억제와 MMP-1과 MMP-3의 mRNA 발현에 대한 억제 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MPs group 중 collagenase group에서 분해하는 콜라겐은? MMPs group은 collagenase, gelatinase, stromelysin, membranetype MMP로 나눌 수 있으며, 약 20여 종류가 알려져 있다(Brinckerhoff 등, 2000). 이 중 collagenase group에는 MMP-1, -8,-13이 포함되며 주로 제 I형, II형, III형 콜라겐을 분해한다. Gelatinase group에는 MMP-2, -9가 포함되며 MMP-1에 의해 분해된 콜라겐 조각들을 더 잘게 분해해 피부 노화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
외인성 노화(extrinsic aging)의 특징? 피부 노화요인 가운데 외인성 노화(extrinsic aging)는 태양광선 등의 누적된 외부 스트레스에 의해 피부가 얇아지거나 주름이 증가되고 탄력이 감소되고 기미, 주근깨 및 검버섯 등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UVB는 피부 섬유아세포와 표피상피세포의 DNA에 직접적인 손상을 주어 화상, 광노화, 피부암 등을 촉발하는 경로와 간접적으로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으로 인한 세포의 지방질막 손상과 세포 염증반응, 피부 구성단백질의 손상 등에 의한 광노화(photoaging)를 유발시킨다(Sun 등,2015).
UVB가 유발시키는 현상? 피부 노화요인 가운데 외인성 노화(extrinsic aging)는 태양광선 등의 누적된 외부 스트레스에 의해 피부가 얇아지거나 주름이 증가되고 탄력이 감소되고 기미, 주근깨 및 검버섯 등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UVB는 피부 섬유아세포와 표피상피세포의 DNA에 직접적인 손상을 주어 화상, 광노화, 피부암 등을 촉발하는 경로와 간접적으로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으로 인한 세포의 지방질막 손상과 세포 염증반응, 피부 구성단백질의 손상 등에 의한 광노화(photoaging)를 유발시킨다(Sun 등,2015). 매우 낮은 강도의 UVB에 의한 피부세포의 산화 스트레스의 증가는 matrix metalloproteinase (MMP)의 발현을 가속화시켜 피부 콜라겐이 감소하게 된다(Jenkins, 2002; Oh 등,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ncerewicz JE, Migliavacca PA, Carrupt B, Testa F, Bree R, Zini JP, Tillernent S, Labidalle D, Guyot AM, Chauvent-Monges CA, Ridant AL. Structure property relationships of trimetazidine derivatives and model compounds as potential antioxidants. Free Radical Bio. Med. 25: 113-120 (1998) 

  2.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58) 

  3. Brinckerhoff CE, Rutter JL, Benbow U. Interstitial collagenases as markers of tumor progression. Clin. Cancer Res. 6: 4823-4830 (2000) 

  4. Cannell RJP, Kellan SJ, Owsianks AM, Walker JM. Results of a large scale screen of microalgae for the production of protease inhibitors. Planta Med. 54: 10-14 (1988) 

  5. Choi HC, Oh SK. Diversity and function of pigments in colored rice. Korean J. Corp. Sci. 41: 1-9 (1996) 

  6. Fanger GR, Johnson NL, Johnson GL. MEK kinases are regulated by EGF and selectively interact with ac/Cdc42. EMBO J. 16: 4961-4972 (1997) 

  7. Fisher GJ, Datta S, Talwar HS, Wang ZQ, Varani J, Kang S, Voorhees JJ. Molecular basis of sun-induced premature ageing and retinoid antagonism. Nature 379: 335-339 (1996) 

  8. Fisher GJ, Wang ZQ, Datta SC, Varani J, Kang S, Voorhees JJ. Pathophysiology of premature skin aging induced by ultraviolet light. N. Engl. J. Med. 337: 1419-1428 (1997) 

  9. Gross J, Lapiere CM. Collagenolytic activity in amphibian tissues: a tissue culture assay. Proc. Natl. Acad. Sci. 54: 1197-1204 (1962) 

  10. Han GS, Lee SR. Effects of Citrus sunki peel extract on matrix metalloproteinase-1 expression. J. Life Sci. 23: 1553-1556 (2013) 

  11. Heo JC, Park JY, An SM, Lee JM, Yun CY, Shin HM, Kwon TK, Lee SH. Antioxidant and antitumor activities of crude extracts by Gastrodia elata Blume. Korean J. Food Preserv. 13: 3-7 (2006) 

  12. Jenkins G. Molecular mechanisms of skin ageing. Mech. Ageing Dev. 123: 801-810 (2002) 

  13. Kang MY, Nam YJ, Nam SH. Screening of antioxidation-related functional components in brans of the pigmented ric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233-239 (2005) 

  14. Kim YE, Yang, JW, Lee CH, Kwon EK. ABTS radical scavenging and anti-tumor effects of tricholoma matsutake Sing. (Pine mushroo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555-560 (2009) 

  15. Kusukawa J, Harada H, Shima I, Sasaguri Y, Kameyama T, Morimatsu M. The significance of epi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 and matrix metalloproteinase-3 in stage I and II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oral cavity. Oral Oncol. Eur. J. Cancer 32B: 217-221 (1996) 

  16. Lee DS, Kim KH, and Yook HS. Cosmetic effects of the fractional extracts from strawberry (Fragaria ananassa var. 'Seolhyang')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47: 271-278 (2018) 

  17. Lee SM, Lee SJ, Kwon YY, Baek SH, Kim JS, Sohn HY, Shin WC.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extract from Jubak of oriental herbal liquo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695-1700 (2014) 

  18. Lee YR, Woo KS, Kim KJ, Son JR, Jeong HS.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germinated specialty rough rice. Food Sci. Biotechnol. 16: 765-770 (2007) 

  19. Min EG, Kim YH, Kum SI, Han YH. Inhibition of growth and collagenase activity of the extract from Salvia miltiorrhiza against microorganisms causing periodontal diseases. Kor. J. Microbiol. 40: 111-114 (2004) 

  20. Mosman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 55-63 (1983) 

  21. Nam SH, Chang SM, Kang MY. Varietal difference in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from colored rice bran.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16-22 (2003) 

  22. Nam SH, Kang MY. Comparison of inhibitory effect of rice branextracts of the colored rice cultivars on carcinogenesis. Appl. Biol. Chem. 41: 78-83 (1998) 

  23. Oh MC, Kim KC, Ko C, Ahn YS, Hyun JW. Peptides-derived from scales of Branchiostegus japonicus inhibit ultraviolet Binduced oxidative damage and photo-aging in skin cells. J. Life Sci. 25: 269-275 (2015) 

  24. Okada Y, Naka K, Kawamura K, Matsumoto T, Nakanishi I, Fujimoto N. Localiz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9 (92 kDa gelatinase/type IV collagenasegelatinase B) in osteoclasts: implications for bone resorption. Lab. Invest. 72: 311-22 (1995) 

  25. Park JY, Ham HM, Han SI, Oh SH, Song YC, Cho JH, Hur YJ, Lee YY, Lee BW, Choi YH. Comparison of antioxidant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lored rice varieties cultivated in southern pla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 1214-1220 (2016) 

  26. Park EJ, Kang MH. Application of the alkaline comet assay for detecting oxidative DNA damage in human biomonitoring. J. Kor. Soc. Food Sci. Nutr. 35: 213-222 (2002) 

  27. Ryu SN, Park SZ, Kang SS. Studies on exploration and expansive use of genetic variation of functional substances in rice. Report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pp.93-106 (2005) 

  28. Seo WD, Kim JY, Son YC, Cho JH, Jang KC, Han SI, Ra JE, Oh SH, Kang HJ, Kim BJ, Baek NI, Jeong RH, Nam MH. Comparative analysis of physicochemicals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in new red rice (Oryza sativa L. cv. Gunganghongmi). J. Crop. Sci. Biotech. 16: 63-68 (2013) 

  29. Slavin JL, Martini MC, Jacobs Jr DR, Marquart L. Plausible mechanisms for the protectiveness of whole grains. Am. J. Clin. Nutr. 70: 459S-463S (1999) 

  30. Song ES, Park SJ, Woo NRA, Won MH, Choi JS, Kim JG, Kang MH. Antioxidant capacity of colored barley extracts by varie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491-1497 (2005) 

  31. Sun Z, Park SY, Hwang E, Zhang M, Jin F, Zhang B, Yi TH. Salvianolic acid B protects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s against ultraviolet B irradiation-induced photoaging through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and activator protein-1 pathways. Photochem. Photobiol. 91: 879-886 (2015) 

  32. Tsuda T, Horio F, Osawa T. Dietary cyanidine 3-O- ${\beta}$ -D-glucoside increases ex vivo oxidation resistance of serum in rats. Lipids 33: 583-588 (1998) 

  33. Woo KS, Jeong EG, Suh SJ, Yang CI, Jeong HS, Kim KJ. Antioxidant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70% ethanol extracts on Suweon-511 and Ilpum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23-1230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