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버지의 놀이성과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thers' Playfulness and Play Participation on Preschoolers' Peer Competence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4 no.6, 2018년, pp.123 - 141  

박하얀 (서대문구 육아종합지원센터) ,  배선영 (배화여자대학교 아동보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thers' playfulness and play participation on preschoolers' peer competence.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325 preschoolers and their fathers. The survey method was used to investigate fathers' playfulness, fathers...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만 4, 5세 유아와 그들의 아버지를 대상으로 근로시간과 직업 유형의 직업적 특성에 따른 아버지의 놀이참여도를 알아보고, 아버지의 놀이성과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만 4, 5세 유아와 그 아버지를 대상으로 아버지의 근무시간과 직업 유형 등 직업적 특성에 따라 놀이참여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아버지의 놀이성과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아버지 관련 변인들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자녀 양육에 있어서 아버지의 놀이 상대자로서 역할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아버지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첫째, 본 연구는 아버지의 놀이성과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독립적으로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아버지의 내적 성격특성인 놀이성은 행동을 일으키는 성향(Barnett, 1990)으로서 놀이참여 행동에 영향을 주고, 아버지의 놀이참여 행동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예측해 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긍정적인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은? 또래와의 접촉은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데, 또래와의 자유롭고 동등한 관계는 새로운 종류의 탐색을허용하며 유아는 또래집단 속에서 그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기중심적인 행동과 태도를 현실에 맞게 보다 성숙하게 변화시키며 발달한다(McCay & Keyes, 2001). 선행연구에 따르면 긍정적인 또래와의 상호작용은 유아의 인지 발달, 사회성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주어 대인관계에 대한 기술 습득이나 탈중심화 및 자아개념 형성에 기여하며 유아가 성장함에 따라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은 더욱 증가한다고 하였다(Ellis, Rogoff, & Crown, 1981). 유아는 유치원・어린이집 등의 기관이나 지역사회 등에서 또래들과 상호작용하면서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 직면하게 되며, 또래관계 속의 사회적 협상, 토론, 갈등을 통해 타인의 생각, 감정, 동기와 의도를 이해하게 된다(Kostelnik, Whiren, Soderman, & Gregory, 2006).
또래 유능성이란?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성공적으로 기능하는 것을 또래 유능성(peer competence)이라 하며, 또래와의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사회적 기술 뿐 아니라 인지적, 정서적 영역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능력으로 또래관계에서 자신의 정서와 행동을 적절하게 조절하고 원만한 또래관계를 유지하는 능력이다(손승희, 이은해, 2004). 이와 관련하여 선행연구에서는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어머니의 양육행동(박주희, 이은해, 2001; 손승희, 이은해, 2004; 유란희, 김선희, 2017; 정지나, 이영, 2006), 양육태도(이진희, 2011), 양육효능감(안라리, 김정아, 2005) 등 유아의 어머니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검증한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졌다.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 갖는 시간의 양도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는 평정 척도의 어떤 한계점을 발생시켰나?? IshiiKuntz(1994)는 자녀와 함께하는 시간이 많은 아버지일수록 자녀에 대한 다양하고 많은 지식을 획득할 수 있으며 더 효과적이고 애정적인 아버지 역할 수행을 한다고 보고하는 등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 갖는 시간의 질뿐만 아니라 시간의 양 또한 중요함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기존에 아버지의 자녀 놀이참여에 대해 살펴본 연구에서 놀이참여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해온 평정 척도들은 아버지가 놀이에 참여하는 정도를 질적인 측면에서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아버지의 놀이참여시간 자체에 대한 양적인 자료를 제시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아버지의 자녀 놀이참여에 대한 구체적인 측정을 하기 위해서는 놀이참여도를 놀이참여수준과 놀이참여시간으로 구분하여, 아버지가 실제 자녀 놀이참여 시 구체적으로 질적, 양적인 측면에서 어느 정도로 참여하는지를 세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7)

  1. 강민성, 김경은 (2017). 아버지의 양육참여 및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24(3). 19-35. doi:10.15284/kjhd.2017.24.3.19 

  2. 권정윤, 정미라, 이방실 (2015). 아버지의 놀이상호작용이 유아의 인지, 동작,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5(1), 333-350. doi:10.18023/kjece.2015.35.1.015 

  3. 김기순 (2002). 아버지 양육행동 및 놀이성과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보민 (2006). 놀이 유형별 아버지의 참여 수준과 유아의 놀이성 및 또래 유능성과의 관계.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성현, 배율미 (2016).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 유아의 자기조절의 중재적 효과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0(2), 471-494. 

  6. 김영희 (2013). 유아 및 어머니의 놀이성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4(3), 217-240. 

  7. 김은화 (2011). 아버지와 영유아의 주말 놀이 공유 실태. 한국유아체육학회지, 12(2), 73-87. 

  8. 김종석 (2011). 아버지의 놀이성과 부모효능감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지애 (2015). 부모 놀이성과 자녀 놀이성이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형재, 최지현 (2016). 아버지의 놀이성 및 낙관성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에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25(2), 221-235. doi:10.17643/KJCE.2016.25.2.11 

  11. 단현국 (2011). 교사가 지각한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또래 유능성. 한국유아교육연구, 13(2), 5-33. 

  12. 박주희, 이은해 (2001). 아동의 또래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전략. 아동학회지, 22(4), 1-15. 

  13. 박현숙 (200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성과 부모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배지희, 김신영, 이수영 (2016).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버지 참여에 대한 아버지들의 경험과 기대. 유아교육연구, 36(2), 271-294. doi:10.18023/kjece.2016.36.2.012 

  15. 서문희, 이윤진, 유해미, 송신영, 김세현 (2011). 출산수준 제고를 위한 육아지원 내실화 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6. 손승희, 이은해 (2004). 아동의 또래유능성과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및 어머니 양육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2(4), 167-177. 

  17. 송은혜 (2008). 아버지의 놀이참여도 및 놀이성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심윤희 (2011). 부모의 놀이성 및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안라리, 김정아 (2005).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또래유능성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36(1), 329-350. 

  20. 여윤재 (2017). 아버지의 놀이성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정서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 놀이 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우수경 (2013). 유아의 성 및 놀이성과 어머니의 놀이성에 따른 유아의 정서능력. 한국영유아보육학, 80, 153-174. 

  22. 원희영 (1997). 아버지의 놀이참여수준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유란희, 김선희 (2017).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유능성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38(2), 67-79. doi:10.5723/kjcs.2017.38.2.67 

  24. 윤상인 (2011). 맞벌이 부모가 지각한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도와 만 2세 영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윤지은 (2015). 아버지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스트레스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기숙 (1993). 유아교육과정. 서울: 교문사. 

  27. 이미선 (2011). 부모의 놀이신념과 놀이성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숙재 (1984). 유아의 상상놀이와 제변인과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이영환 (2001). 생산적인 아버지 노릇과 유아의 애착 안정성의 발달적 결과: 단기종단연구. 아동학회지, 22(2), 65-76. 

  30. 이은숙, 박형신 (2017).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태도를 매개로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7(4), 759-777. doi:10.18023/kjece.2017.37.4.031 

  31. 이진희 (2011). 유아의 외로움과 자아존중감, 또래유능성, 어머니 양육태도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임정란 (2002). 유아의 놀이유형별 아버지 놀이참여수준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임정빈 (2017).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정미라, 박수경, 이방실 (2014).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 완벽주의 성향과 놀이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4(2), 105-126. doi:10.18023/kjece.2014.34.2.005 

  35. 정지나, 이영 (2006).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 유아 내적 표상의 매개 효과 검증. 아동학회지, 27(4), 65-80. 

  36. 조은정, 박형신 (2015).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이 유아의 성별에 따른 또래유능성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1), 27-48. 

  37. 최미숙, 송순옥 (2014).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1), 313-332. 

  38. 최진주 (2004). 아버지의 놀이 참여와 유아-아버지관계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한지현, 이진숙 (2015). 어머니의 5요인 성격특성과 놀이성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6(5), 173-188. doi:10.5723/KJCS.2015.36.5.173 

  40. 황지현 (2012). 아버지의 놀이성, 놀이참여도 및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의 구조모형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Barnett, L. A. (1990). Playfulness: definition, Design, and measurement. Play & Culture, 3(4), 319-336. 

  42. Belsky, J. A. (1980). Family analysis of parental influence on infant exploratory competence. In F. A. Pedersen (Ed.), The father-infant relationship: Observational studies in a family setting (pp. 87-110). New York: Praeger. 

  43. Bowen, S. M., & Miller, B. C. (1980). Paternal attachment behavior as related to presence at delivery and preparenthood classes: A pilot study. Nursing Research, 29(5), 307-311. doi:10.1097/00006199-198009000-00010 

  44. Bozionelos, N., & Bozionelos, G. (1999). Playfulness: It's relationship with instrumental and expressive trai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6(4), 749-760. doi:10.1016/S0191-8869(98)00207-4 

  45. Bruner, J. (1991). The narrative construction of reality. Critical Inquiry, 18(1), 1-21. doi:10.1086/448619 

  46. Csikszentmihalyi, M., & Nakamura, J. (1979). The Concept of Flow. In B. Sutton-Smith (Ed.), Play and learning (pp. 257-274). New York: Halsted Press. 

  47. De Haan, A. D., Prinzie, P., & Dekovic, M. (2009). Mothers' and fathers' personality and parenting: The mediating role of sense of competence. Developmental Psychology, 45(6), 1695-1707. doi:10.1037/a0016121 

  48. Elicker, J., Englund, M., & Sroufe, L. A. (1992). Predicting peer competence and peer relationships in childhood from early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R. D. Parke, & G. W. Ladd (Eds.), Family-peer relationships: Modes of linkage (pp. 77-106). Hillsdale, NJ: Erlbaum. 

  49. Ellis, S., Rogoff, B., & Cromer, C. C. (1981). Age segregation in children's social interac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17(4), 399-407. doi:10.1037/0012-1649.17.4.399 

  50. Erikson, E. H. (1977). Toys and reasons: Stages in the ritual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Norton. 

  51. Glynn, M. A., & Webster, J. (1992). The adult playfulness scale: An initial assessment. Psychological Reports, 71(1), 83-103. doi:10.2466/pr0.1992.71.1.83 

  52. Ishii-Kuntz, M. (1994). Paternal involvement and perception toward fathers' roles: A comparison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Family Issues, 15(1), 30-48. doi:10.1177/019251394015001002 

  53. Kostelnik, M., Whiren, A., Sodernman, A., & Gregory, K. (2006).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Theory to Practice (5th ed). Clifton Park, NY: Thomson Delmar Learning. 

  54. Lamb, M. E. (1986). The father's role: Applied perspectives. New York: Wiley. 

  55. Lamb, M. E. (2004).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4th ed). Hoboken, NJ: Wiley. 

  56. Lamb, M. E., Frodi, A. M., Frodi, M., & Hwang, C. P. (1982). Characteristics of maternal and paternal behavior in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Swedish famili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5(1), 131- 141. doi:10.1177/016502548200500107 

  57. Lieberman, J. N. (1965). Playfulness and divergent thinking: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07(2), 219-224. doi:10.1080/00221325.1965.10533661 

  58. McCay, L. O., & Keyes, D. W. (2001) Developing social competence in the inclusive primary classroom. Childhood Education, 78(2), 70-78, doi:10.1080/00094056.2002.10522707 

  59. OECD. (2018). OECD Employment Outlook 2018. Paris: OECD Publishing. 

  60. Parke, R. (1981). Fathers.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61. Parke, R. D., MacDonald, K. B., Beitel, A., & Bhavnagri, N. (1988). The role of the family in the development of peer relationships. In R. D. Peters, & R. J. McMahon (Eds.), Social learning systems approaches to marriage and the family (pp.17-44). Philadelphia, PA: Brunner/Mazel. 

  62. Rogers, S. J. (1988).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handicapped children's play: A review. Journal of the Division for Early Childhood, 12(2), 161-168. doi:10.1177/105381518801200207 

  63. Russell, A., & Saebel, J. (1997). Mother-son, mother-daughter, father-son, father-daughter: Are they distinct relationships? Developmental Review, 17(2), 111-147. doi:10.1006/drev.1996.0431 

  64. Schaefer, C., & Greenberg, R. (1997). Measurement of playfulness: A neglected therapist variable.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6(2), 21-31. doi:10.1037/h0089406 

  65. Stevenson, M. B., Leavitt, L. A., Thompson, R. H., & Roach, M. A. (1988). A social relations model analysis of parent and child play. Developmental Psychology, 24(1), 101-108. doi:10.1037/0012-1649.24.1.101 

  66. Tauber, M. A. (1979). Sex differences in parent-child interaction styles during a free-play session. Child Development, 50(4), 981-988. doi:10.2307/1129323 

  67. Waters, E., & Sroufe, L. A. (1983). Social competence as a developmental construct. Developmental Review, 3(1), 79-97. doi:10.1016/0273-2297(83)9001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