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병리기술학 전공 유사 취업연계 자격 현황
Status of Employment-Related Qualifications Similar to a Medical Laboratory Technology Major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0 no.4, 2018년, pp.525 - 534  

성현호 (동남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  김대식 (동남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  조영국 (서영대학교 임상병리과) ,  윤기남 (안산대학교 임상병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병리 전공 유사 취업연계가 가능한 다양한 자격증을 조사하고 취득 방법과 활용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공 외 취업 연계 가능 자격은 산업보건지도사, 도핑검사관, 청각관리사. 수화통역사, 보건교육사, 손해사정사, 생명보험 언더라이터, 행정관리사, 병원행정사, 보험심사관리사, 병원코디네이터 등이 있다. 임상병리기술학 전공 유사 관련 진출자격 현황으로는 임상시험코디네이터, 임상시험 모니터요원, 해부조직사, 화학분석기사, 위험물산업기사, 생물공학기사, 생물안전관리자, 생명공학기술지도사, 의료기기품질책임자, 실험동물기술원, 동물간호복지사, 선박의료관리자가 있다. 따라서, 임상병리사들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자격 현황의 사회분석조사가 필요할 것이며, 임상병리사 출신으로 다른 분야에서 근무하고 있는 현황조사도 필요할 것이다. 향후, 임상병리사는 개인의 업무역량 강화의 노력을 통하여 업무적 범위를 확대시키고, 사례를 공유하여 영역 확대와 전문성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various qualifications that can be linked to employment similar to the medical laboratory technology major. The qualifications for employment outside the medical laboratory technology major are industrial health instructor, doping control officer, audiologist, sign languag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건강관리 분야가 사회 수요 충족과 시대 흐름에 맞게 위해 다양화 되고 있다[12]. 따라서 본 저자들은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제2조 2항에 있는 임상병리사 업무 정의와 임상병리기술학을 3년 혹은 4년간의 대학과정에서 학습한 과정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 취업이 가능한 전공 외 및 유사 자격증을 조사하고 취득 방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임상병리사의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임상병리사외 다양한 직업 선택이 가능한 자격증의 종류와 취득방법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공공기관의 홈페이지와 선행논문을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병리 전공 유사 취업연계가 가능한 다양한 자격증을 조사하고 취득 방법과 활용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공 외 취업 연계 가능 자격은 산업보건지도사, 도핑검사관, 청각관리사.
  • 최근에는 위탁연구기관 혹은 임상시험수 탁기관(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CRO)에에 진출하는 임상병리사도 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3년 혹은 4년간의 임상병리사 대학교육 과정에서 학습한 과정을 바탕으로 전공 외 혹은 그와 유사하고 다양한 분야에 취업이 가능한 자격증을 조사하고 취득 방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각관리사와 청능사는 누가 언제 주최하였는가? 청각관리사와 청능사는 시험을 주관하는 기관에 따라 명칭을 달리하고 있는데, 이 자격자의 역할은 언어병리학적, 청각학 적, 심리학적 서비스는 물론 물리치료, 작업치료, 레크리에이 션, 사회복지 서비스, 학교건강 서비스뿐만 아니라 상담, 통학 서비스 및 진단을 목적으로 한 의료서비스이다[14]. 2018년 8 월 28일 청능사 국가자격 발의안에 따른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와 한국청능사협회가 공동 주최하였다.
임상병리업무는 어떤 규칙으로 운영되는가? 임상병리사는 1965년부터 국가고시와 면허 발급이 시작되었으며, 임상병리사의 법률적 업무는 1964년 5월 21일 의료보조원법 시행령으로 시작하여 여섯 번의 개정을 거쳐 2016년 12월 2일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의료기사의 종류 및 업무) 2항 신설 및 2016년 6월 15일 의료기기법 시행규칙 제11조 (품질책임자 자격 등)에서 명시되어 있다[1]. 임상병리업무는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다루는 특수한 전문직으로 국가에서 법으로 그 자격을 엄격하게 규정하고 있으며, 면허가 없으면 업무 수행을 할 수 없다. 면허(免許, license)는 일반인에게 허가되지 않는 특수한 행위를 특정한 사람에게만 허가하는 행정 처분인 법률용어로 일정한 신분이나 지위를 가지거나 일정한 일을 하는 데 필요한 조건이나 능력을 나타내는 자격(資格, certificate, qualification)과는 내포된 의미에 차이가 있다[2].
학력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은 나라별로 어떻게 나타나는가?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에 기반하여 정부에서 고시되어 2018년 현재 111종목이 선정되었다[6]. 개인의 능력을 인정하는 학력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은 한국에서 30.6%, 미국은 12.8%, 일본은 2.8%, 독일은 2.8%순으로 나타났다[7]. 우리나라의 임상병리사 인력 양성 배출 과정은 대학에서의 교육과정, 병원에서의 실습 과정, 국가시험, 면허 획득 후 재교육 및 관리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him MJ, Koo BK, Park CE. Study on legal issues and scope of medical technologist's practice. Korean J Clin Lab Sci. 2017;49:55-68. 

  2. Kim SH. Occupational regulation and statutes of preferential treatment for certificate or license practitioners - Focusing on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2009;28:45-60. 

  3. Do GY. Determinants of whether a certain unlicensed medical practice violates the social rules or not.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Criminal Law. 2017;19:71-98. 

  4. KRIVET. Civilian qualification information [Internet]. Sejo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2000 [cited 2018 November 15]. Available from: http://www.krivet.re.kr/m/mo/zc/kuZ_prA.jsp?gnE1%7CE120140055%7C0%7C3. 

  5. Angrist JD, Guryan J. Teacher testing,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 characteristics. American Economic Review. 2004;94:241-246. 

  6.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tatistical yearbook 2018 [Internet]. Sejong: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8 [cited 2018 November 15]. Available from: file:///C:/Users/user/Downloads/qualification_statistics_2018%20(1).pdf. 

  7. Lee DI, Lee SJ.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qualifications: Centering on the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Level. Korean Journal of Economics and Management. 2008;26:51-77. 

  8. Kim HS, Kwon PS, Kang JH, Yang MG, Park JO, Kim DJ, et al. Survey on the education system and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 for fostering competent medical technologists. Korean J Clin Lab Sci. 2017;49:161-170. 

  9. Statistics Korea. Occupational movement route survey for college graduates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6 [cited 2018 November 15].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pi/11/6/2/index.board?bmodedownload&bSeq&aSeq358255&ord2. 

  10. Kwon DB.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the G20. Seoul: The Korea economic daily; 2010. 

  1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8 Korean employment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Internet]. Sejong: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8 [cited 2018 October 9]. Available from: http://www.moel.go.kr/info/lawinfo/instruction/view.do?bbs_ seq20171200272. 

  12. Cheon EY, Nam YH, Kweon HJ.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ocial support, career education experience, career attitude maturity for college students with major in health administration. Korean J Health Policy Adm. 2009;19:166-182. 

  13. Kim MK, Shin KA, Ryu HG. Role and the operating qualification system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2016;4:7-11. 

  14. Lee BN, Kim MS. A study and alternatives to the act on the qualification of audiologists. Journal of Hongik Law Review. 2016;17:735-760. 

  15. Ahn YH, Han JW. A qualitative study on sign language interpreters' experiences of working in special fields. Social Work Practice & Research. 2017;14:63-94. 

  16. Kim CY, Kim MK.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est system for claim-adjuster Korea. Journal of Claim Adjustment. 2018;17:31-60. 

  17. Park SJ. Plan for introduction of new performance-enhancing underwriting technique. Journal of the KLIMA. 2003;22:99-120. 

  18. Park JS, Choe YJ, Cho JY, Kim SH. Analysis on the applicability of vocational qualificatrions in health and medical service sector. Journal of Skills and Qualification. 2012;1:101-118. 

  19. Kim SU, Lee DY, Kim DG, CHOI YH. 2012 Improvement in qualification management system [Internet]. Sejong: KRIVET;2018 [cited 2018 Oct 9]. Available from: http://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19N_002&conn_pathI2. 

  20. Penprase B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higher education. In: Gleason NW, editor. Higher educ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asingstoke: Palgrave Macmillan; 2018. 207-229. 

  21. Yang BS, Choi SM, Shim MJ, Kim CH, Bae HJ, Yook KD, et al. Study on the education curriculum and clinical practice of medical technologists. Korean J Clin Lab Sci. 2018;50:320-330. 

  22. Lee SH, Kim H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aluation criteria classification and financial ratios. Korean Management Consulting Review. 2017;17:59-70. 

  23. Lee JY, EOM JG. A study on the case of relevance between hiring assess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for a Korean company.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2016;20:163-184. 

  24. Choe SM. The effect on employment of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in college graduat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2556-2563. 

  25. Lee SG, Sohn KO, Kwon JK. Determinants of career decision and employment retention for junior college graduate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13;45:25-49. 

  26. Lee YM, Lee SY, Lim JY.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college graduates entering of preferred organizations: Focusing on their job preparation bahaviors. Journal of Social Science. 2014;53:337-374. 

  27. Cho YH, Kim BC, Kim BJ. Investigation into the Influential factors on employment outcomes of university graduates.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08;26:437-462. 

  28. Shin SC, Kim KR. The meaning of BLS-provider certification course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2013;3:21-31. 

  29. Lee SH, Kwon TD. The analysis on research trend related to doping in Korea's physic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018;27:9-17. 

  30. Seo DM. A study on the stabilization of care workers supply in Korea. Journal of Long Term Care. 2013;1:100-1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