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체중 청소년의 주관적 체형인지와 정신건강, 체중조절 노력: 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Body Weight Perception, Mental Health, and Weight Control Behavior in Normal Weight Adolescent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5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3 no.2, 2017년, pp.249 - 257  

이은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body weight perception of adolescent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mental health and weight control behavior according to body weight perception. Methods: Study data on 12-18 years old adolescents with normal BMI was obtained from the 6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 국민을 계통적인 층화를 이용하여 시행된 조사 자료를 분석하였으므로 본 연구 자료의 결과를 우리나라 전체 청소년 모집단으로 일반화 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본 연구는 체중조절이 필요하지 않은 정상체중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체형을 얼마나 왜곡하여 인지하고 있는지, 왜곡된 체형인지가 체중조절 노력, 정신건강 및 체중조절 행위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를 밝혀낸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들이 자신의 체형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불필요한 체중조절행위를 예방하기 위한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정상체중 청소년들의 체형인지 현황과 체중조절 노력, 정신건강, 체중조절 행위를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 우리나라 정상체중 청소년들 중 많은 수가 자신의 체형을 잘못 인지하고 있었고, 체중감소를 위해 노력 하고 있었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는 강점이 있다. 본 연구는 전 국민을 계통적인 층화를 이용하여 시행된 조사 자료를 분석하였으므로 본 연구 자료의 결과를 우리나라 전체 청소년 모집단으로 일반화 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본 연구는 체중조절이 필요하지 않은 정상체중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체형을 얼마나 왜곡하여 인지하고 있는지, 왜곡된 체형인지가 체중조절 노력, 정신건강 및 체중조절 행위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를 밝혀낸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제6기(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12세에서 18세 청소년 중 정상체중 청소년의 체형인지, 체중조절 노력, 정신건강 및 체중조절 행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체중조절 행위를 영양섭취와 운동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 연구는 우리나라 정상체중 청소년의 체형인지와 체중조절 노력, 정신건강 및 체중조절 행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차 분석 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민을 대상으로 조사한 제6기(2013-2015)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정상체중 청소년들의 체형인지 실태를 알아보고, 체형인지에 따른 체중조절 노력, 정신건강 및 체중조절 행위(영양섭취, 운동)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형인지란 무엇인가? 체형인지란 개인이 자신의 신체에 대하여 가지는 느낌이나 생각을 말하며, 심리적 요소와 가족, 또래, 민족 등 사회 문화적 요소의 영향을 받는다[3]. 부정적 체형인지는 정신건강과 신체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부정적 체형인지는 무엇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체형인지란 개인이 자신의 신체에 대하여 가지는 느낌이나 생각을 말하며, 심리적 요소와 가족, 또래, 민족 등 사회 문화적 요소의 영향을 받는다[3]. 부정적 체형인지는 정신건강과 신체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자기가 인지하고 있는 건강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건강추구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데[4], 선행 연구에서 자신의 체형을 부정적으로 인지하는 성인들은 긍정적으로 인지하는 성인들보다 주관적 건강상태를 나쁘게 평가하였다[4].
청소년들이 본인의 외모에 대한 가치와 태도, 이상적인 외모 기준이 매스미디어나 또래 집단의 영향를 받기 쉬운 이유는 무엇인가? 청소년기는 신체 성장이 빠르고 사회성이 발달하는 시기로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시기이다. 또한 자아개념이 형성되는 시기로 가치판단이 외부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1]. 그렇기 때문에 청소년들은 본인의 외모에 대한 가치와 태도, 이상적인 외모의 기준이 매스미디어나 또래 집단의 영향을 받기 쉽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SJ, Wee EH. Effect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ppearance comparison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015;39(1):1-14. http://dx.doi.org/10.5850/JKSCT.2015.39.1.1 

  2. Statistics Korea. Are you really suffering? Then stop it!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3 [cited 2017 April 7]. Available from: http://hikostat.kr/2049. 

  3. Zaccagni L, Masotti S, Donati R, Mazzoni G, Gualdi-Russo E. Body image and weight perceptions in relation to actual measurements by means of a new index and level of physical activity in Italia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ranslational Medicine. 2014;12:42-49. http://dx.doi.org/10.1186/1479-5876-12-42 

  4. Kwak HK, Lee MY, Kim MJ. Comparison of body image perception, health related lifestyle and dietary behavior based on the self-rated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11;16(6):672-682. http://dx.doi.org/10.5720/kjcn.2011.16.6.672 

  5. Lee JE.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elf-body image and differences of weight control behavior, eating disorder by self-body image distortion in adolescents. Korean Education Inquiry. 2006;24:63-77. 

  6. Xie B, Chou CP, Spruijt-Metz D, Reynolds K, Palmer PH, Wu Q, et al. Longitudinal analysis of weight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Chinese adolescents.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2011; 35(1):92-104. 

  7. Franko DL, Striegel-Moore RH. The role of body dissatisfaction as a risk factor for depression in adolescent girls: are the differences Black and Whit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2002;53(5):975-983. 

  8. Armstrong B, Westen SC, Janicke DM. The role of overweight percept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child and adolescent unhealthy weight control behaviors: a mediation model.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2014;39(3):340-348. http://dx.doi.org/10.1093/jpepsy/jst091 

  9. Nurkkala M, Keranen AM, Koivumaa-Honkanen H, Ikaheimo TM, Ahola R, Pyky R, et al. Disordered eating behavior, health and motives to exercise in young men: Cross-sectional population-based MOPO study. BMC Public Health. 2016;16:483-490. http://dx.doi.org/10.1186/s12889-016-3162-2 

  10. Chung AE, Perrin EM, Skinner AC. Accuracy of child and adolescent weight perceptions and their relationships to dieting and exercise behaviors: A NHANES study. Academic Pediatrics. 2013;13(4):371-388. http://dx.doi.org/10.1016/j.acap.2013.04.011 

  11. Yeon JY, Shin KY, Lee SK, Lee HY, Kang BW, Park HK. A study on dietary habits, body satisfaction and nutritional knowledge by body image of middle school girl students in Chungbuk area.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13;18(5):442-456. http://dx.doi.org/10.5720/kjcn.2013.18.5.442 

  12. Deschamps V, Salanave B, Chan-Chee C, Vernay M, Castetbon K. Body-weight perception and related preoccupations in a large national sample of adolescents. Pediatric Obesity. 2015;10(1):15-22. http://dx.doi.org/10.1111/j.2047-6310.2013.00211.x 

  13. Sonneville K, Thurston I, Milliren C, Kamody R, Gooding H, Richmond T. Helpful or harmful? Prospective association between weight misperception and weight gain among overweight and obese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016;40(2):328-332. http://dx.doi.org/10.1038/ijo.2015.166 

  14. Shirasawa T, Ochiai H, Nanri H, Nishimura R, Ohtsu T, Hoshino H,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orted body image and lifestyle among Japanese adolescents: A population-based study. Archives of Public Health. 2015;73(1):32-38. http://dx.doi.org/10.1186/s13690-015-0082-z 

  15. Lee J, Lee Y. The association of body image distortion with weight control behaviors, diet behaviors, physical activity, sadnes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 cross-sectional study. BMC Public Health. 2016;16(1):39-48. http://dx.doi.org/10.1186/s12889-016-2703-z 

  16. Duncan MJ, Al-Nakeeb Y, Nevill AM, Jones MV. Body dissatisfaction, body fat and physical activity in British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besity. 2006;1(2):89-95. http://dx.doi.org/10.1080/17477160600569420 

  17. Choi IS, Ro HK. A comparison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of Gwangju and Jeonnam in terms of dietary behavior, body perception and weight control concerns according to BM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10;39(3):383-391. http://dx.doi.org/10.3746/jkfn.2010.39.3.383 

  18. Song HJ, Moon HK. Body image and nutrient intakes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by the risk of eating disorder.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014;40(2):13-29. 

  19. World Health Organization. Mental health: a state of well-being 2014 [Interne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cited 2017 April 19]. Available from: http://www.who.int/features/factfiles/mental_health/en/. 

  20. Walcott-McQuigg JA. Weight control behavior and women: a crosscultural perspective. Journal of International Women’s Studies. 2013; 7(2):152-168. 

  21. Song MK, Ha JH, Park DH, Ryu SH, Oh JH, Yu JH. Effect of body image and eating attitude on depressive mood and suicide ideation in female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2010; 18(1):40-47. 

  22. Quick V, Nansel TR, Liu D, Lipsky LM, Due P, Iannotti RJ. Body size perception and weight control in youth: 9-year international trends from 24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014;38(7):988-994. http://dx.doi.org/10.1038/ijo.2014.62 

  23. Banjade B, Naik V, Narasannavar A. Body weight perception by college going adolescents of North Karnataka, India-A cross sectional study. Nepal Journal of Medical Sciences. 2015;3(2):106-109. http://dx.doi.org/10.3126/njms.v3i2.13453 

  24. Cheung PC, Ip PL, Lam S, Bibby H. A study on body weight perception and weight control behaviours among adolescents in Hong Kong. Hong Kong Medical Journal. 2007;13(1):16-21. 

  25. Park E. Overestimation and underestimation: adolescents' weight perception in comparison to BMI-based weight status and how it varies across socio-demographic factors. Journal of School Health. 2011; 81(2):57-64. http://dx.doi.org/10.1111/j.1746-1561.2010.00561.x 

  26. Lee YJ, Lee SJ, Kim CG. Korean adolescents’ weight control behaviors by BMI (Body Mass Index) and body shape perception-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from 2010.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2;10(3):227-232. 

  27. Heshmat R, Kelishadi R, Motamed-Gorji N, Motlagh ME, Ardalan G, Arifirad T, et al. Associ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and perceived weight status with self-rat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in Irania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CASPIAN-III study. Quality of Life Research. 2015;24(1):263-272. http://dx.doi.org/10.1007/s11136-014-0757-x 

  28. Meland E, Haugland S, Breidablik HJ. Body image and perceived health in adolescence. Health Education Research. 2007;22(3):342-350. http://dx.doi.org/10.1093/her/cyl085 

  29. Oh JW, Kim YS, Kwon HJ, Kim DH. Relationship between body weight perception and mental health in Korean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16;55(1):247-260. 

  30. Gil H. Comparison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OECD Countries [Internet]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2016 [cited 2017 March 12]. Available from: http://kess.kedi.re.kr/post/6656649?itemCode03&menuIdm_02_03_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