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양인(少陽人) 백반증 148예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f 148 Patients with Soyangin Vitiligo 원문보기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31 no.1, 2018년, pp.71 - 80  

홍요한 (하늘마음한의원) ,  김성원 (하늘마음한의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aspects of patients with Soyangin vitiligo. Methods : This clinical investigation was made with 148 Soyangin Vitiligo patients who visited Haneulmaeum Oriental Medicine Clinic (Incheon) from July 1st 2007 to June 30th 2017. Resul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소견을 보여서 少陽人으로 판단된 1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환자에게 진료 정보 수집 및 활용에 관하여 충분한 설명을 하였고, 동의를 얻어 진행하였다.
  • 백반증의 한의학적 치료에 있어서도 백반증의 임상적 특징을 아는 것은 백반증 환자를 치료하고 관리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四象體質辨證을 통해 少陽人으로 판단된 백반증 환자 148명을 대상으로 백반증 병변의 유형에 따른 성별 및 발병연령, 초발 병변의 위치, 신체 부위별 분포, 점막침범, 가족력의 양상을 조사하고 악화 및 유발인자, 동반질환, 내원 시 경과와 과거 치료력 등의 일반사항에 대한 임상적 고찰을 수행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 8. 대부분의 환자에서는 선행요인이 없었다. 선행요인 중 피부 외부 자극 후 발생한 경우가 가장 많이 있었으며, 일광 노출, 염증, 곤충교상, 모발염색과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반증의 발병기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백반증의 발병기전으로는 자가면역설, 신경체액설, 멜라닌세포 자가파괴설, 태생세포 결함설, 화학물질 접촉설 등이 논의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멜라닌세포 항체설, 자유기에 의한 발생설, 복합원인 발생설 등이 제기되었으나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4-8).
백반증이란 무엇인가 백반증은 후천적으로 멜라닌세포의 소실로 인하여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탈색반을 초래하는 피부질환으로, 모든 인종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성별이나 지역적인 차이 없이 모든 인구의 1∼2% 정도에서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피부질환이다1,2).
백반증의 치료에 사용되는 내복약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백반증은 한의학에서 白癜風, 白駁風, 汗班, 斑駁,白癜 등의 여러 명칭으로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그 치료에 사용된 내복약 중 빈도수가 높은 약물로 苦蔘, 防風, 梔子, 荊芥, 牧丹皮, 生乾地黃 등 四象醫學에서는 少陽人에게 사용되는 약물이 많아16) 본 연구에서는 少陽人 환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시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