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서울 및 대도심지에서는 도로함몰과 동공 같은 지반재해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차원의 해결책으로 지하공간통합지도 제작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한편, 지하공간통합지도의 근간이 되는 지반정보는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에 22만 공 이상의 시추공DB로 구축되어 있다. 이러한 지반정보를 토대로 3차원 지하공간통합지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반정보의 정밀도 검증 및 평가를 통한 신뢰성 확보가 우선시된다. 이로 인해 기 구축된 지반정보 DB에 대한 정밀도 검증 및 평가에 대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으며, 최근에는 지반정보를 3차원으로 가시화하기 위한 지반정보의 정밀도 분석에 더불어 활용 방안에 대하여 검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나아가 지반정보의 정밀도 향상 방안을 수립하여 선행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신뢰성 있는 3차원 지하공간통합지도의 구축을 위한 지반정보의 정밀도 향상 모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ground disasters such as road collapses and cavities have been frequently occurred in Seoul and downtown areas. As a result, studies on the integrated underground space map is underway as a government's solution. On the other hand, the geotechnical information underlying the integrated u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앞서 수행된 연구에서는 표고자료의 오차 제거 과정에서 대다수의 지반정보가 이상치로 분류되었으며, 이로 인해 활용 가능한 시추조사자료 수가 현저히 적어지는 문제가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차검증을 통한 이상치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표고자료의 활용성을 평가하고, 나아가 분석 대상 지반정보 가운데 통계적으로 동일한 성질의 측정값이 아니라고 할 수 있는 이상치 분류를 통한 정밀도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밀도 분석 대상 영역 내의 지표고 기준 지층 종결심도인 지층 경계면 심도 값에 대하여 0∼40%의 이상치를 제거하여 RMSE의 경향성을 파악하고, 최적의 이상치를 결정하여 지반정보의 정밀도 향상 방안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 분석 결과, 표고의 오차에 3배의 신뢰구간을 적용한 공간보간 결과가 기존표고자료 전체를 활용한 공간 보간 결과보다 기지점 부근에 위치한 지역에서 DEM의 표고와 비슷한 정도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3차원 지반정보 구축을 위한 기존표고자료의 활용에 대한 타당 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고의 오차에 대한 신뢰구간의 적용은 자료가 위치한 기지점 부근 자료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표 고자료의 오차가 신뢰구간의 3배를 벗어나는 시추공 자료를 최적의 이상치로 판단하여 제거 후 지반정보의 정밀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2017)로부터 서울특별시 송파구, 강남구, 관악구, 동작구 시추정보들을 제공받아 3차원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을 위한 지반정보의 정밀도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앞서, 기존표고자료의 오차에 3배의 신뢰구간을 적용하여 표고에 대한 과다 오차의 제거 후 기존표고자료의 정밀도를 분석하였으며, 본 절에서는 표고의 과다 오차가 제거된 지반 정보의 정밀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지반정보를 3차원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가장 상부에 우선적으로 지표고를 생성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정부 차원의 지하공간 안전대책 수립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는 원인은 무엇인가? 최근 서울시 내 강남구, 송파구 등을 비롯한 대도심지 내에서 지반함몰, 동공과 같은 지반재해가 빈번히 발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정부 차원의 지하공간 안전대책 수립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국토교통부에서는 “지하공간 통합 안전관리체계” 구축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시추공 정보의 특징은 무엇인가? 한편, 지하공간통합지도의 구축을 위한 지반정 보는 2017년 현재 22만 공 이상의 시추공 정보로 국토지반 정보 통합DB센터(2017)에 구축되어 있다. 시추공 정보라고 하는 것은 면적의 정보가 아니라 점 정보에 심도에 따른 정보가 축적되어 있는 형태로 3차원 가시화하여 제공하는 경우, 어떠한 방식에 의하여 보간(Interpolation)이 되어 있는지에 따라 그 결과가 크게 차이나게 된다. 이러한 지반정보의 특성을 파악하여 보간법의 적용뿐만 아니라 시추정보 획득시 발생하는 오차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고려를 충분히 하여야 한다.
지하 공간 통합 안전관리체계의 운영 방식은 무엇인가? 이에 따라 대정부 차원의 지하공간 안전대책 수립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국토교통부에서는 “지하공간 통합 안전관리체계” 구축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지하 공간 통합 안전관리체계”는 지하공간통합지도를 핵심 기반 정보로 분류하여 구축 및 운영된다. 여기서, 지하공간통합 지도는 지하시설물 6종, 지하구조물 6종, 지반정보 3종으로한 총 15종의 3차원 지하공간정보를 기반으로 구축된다(J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Integrated DB Center of National Geotechnical Information, (2017), http://www.geoinfo.or.kr. 

  2. Isaaks, E. H. and Srivastava, R. M. (1989), An introductions to applied geostat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pp. 225-235. 

  3. Jang, Y. G., Jeon, H. S., Chae, D. H. and Cho, W. J. (2014), Evaluation of precision of the domestic geotechnical information data,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5, No. 4, pp. 53-56. 

  4. Jang, Y. G., Park, D. H., Woo, J. Y. and Lee, W. K. (2015), A study on establishing basic plan of constructing underground spatial integration map for underground safety management, KSCE 2015 CONVENTION 2015 CIVIL EXPO & CONFERENCE, pp. 119-120. 

  5. Kim, H. S., Kim, H. K., Shin, S. Y. and Chung, C. K. (2012), Application of statistical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to soil stratific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Georisk :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Risk for Engineered Systems and Geohazards, Vol. 6, No. 4, pp. 221-228 (In Korean). 

  6. Kim, J. J., Kim, H. S. and Chung, C. K. (2014), Determination of optimum outlier for borehole data in offshore dredging area using cross validation, KSCE 2014 CONVENTION 2014 CIVIL EXPO & CONFERENCE, pp. 569-570. 

  7. Lee, B. Y., Hwang, B. S. and Cho, W. J. (2017a), Reliability evaluation methodology of boring investigation DB for the 3D integrated underground space map,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33, No. 9, pp. 35-47. 

  8. Lee, B. Y., Hwang, B. S. and Cho, W. J. (2017b), Precision analysis of geotechnical information for the 3D integrated underground space map,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8, No. 4, pp. 5-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