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재활동기에 대한 개념분석
Concept Analysis of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5 no.3, 2018년, pp.240 - 249  

이은남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공경란 (울산과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ttributes, antecedents, their consequences, and empirical indicators of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Methods: Walker and Avant's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concept. Articles published after 1990 were searched in Medline, CIN...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9; Han & Lim, 2002; Park & Kim, 2003; Yang, 2011)에서 재활에 대한 욕구만으로는 재활동기가 지속되기 어렵고 성취감을 경험하는 것이 동기를 지속시킬 수 있다고 하여 자기효능감이 재활동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여, 자기효능감이 선행요인인지, 주요 속성인지에 대해서는 연구자마다 논쟁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가는 자기효능감이 재활동기의 주요 속성이자 재활동기를 지속시키는 선행요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즉 개인이 어려움에 봉착했을 때 바람직한 행위를 스스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은 재활동기를 나타내주는 지표가 될 수 있으며, 계속되는 재활과정에서 동기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선행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겠다.
  • 본 연구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재활동기에 대한 개념분석을 통해 그 속성을 규명하고 선행요인과 결과를 확인하며 개념의 경험적 준거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 이러한 질병의 진행과정으로 인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게는 재활치료가 강조되어지고 있다. 재활치료의 목적은 통증을 줄여주고, 관절가동 범위를 증진시켜서 스스로 일상생활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즉 관절염으로 인한 장애를 최소화하면서 더 이상의 관절 손상을 방지하는데 재활 목표를 두고 있다.
  • 재활치료의 목적은 통증을 줄여주고, 관절가동 범위를 증진시켜서 스스로 일상생활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즉 관절염으로 인한 장애를 최소화하면서 더 이상의 관절 손상을 방지하는데 재활 목표를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활동기가 류머티즘 관절염 환자에게 완벽하게 부합하지 않는 주된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 같이 많은 분야에서 재활동기개념을 다양한 형태로 정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환자의 동기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명확히 제시되지 않고 있다. 또한 이미 개발되어진 도구의 경우 뇌졸중이나 장애인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것이므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일시적으로 장애가 발생한 뇌졸중이나 장애인과는 달리,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장애정도가 심각해질 수도 있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의 재활과정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재활동기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고 그에 따른 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증상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1%가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ae, 2010). 진단을 받은 후 44%는 경증 및 중등증의 기능장애를, 그리고 16%는 심각한 기능장애를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발병 후 시간이 지날수록 그 증상이 악화되어 관절변형과 관절기형이 초래되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Young et al., 2000).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가 겪는 문제는 무엇인가? 그러나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은 지속되는 증상과 기능장애로 인해 무력감을 느끼고 그로 인해 재활 관련 활동들의 수행능력이 저하된다. 또한 장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재활치료에 대한 잘못된 정보와 지식, 재활과정중의 손상이나 합병증에 대한 두려움, 재활효과에 대한 기대감의 저하로 재활치료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Buffart, Westendor, van den BergEmons, Stam, & Roebroeck,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 E. S., & Seo, J. M. (2015). Concept analysis of motivation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4 (4), 279-289. https://doi.org/10.12934/jkpmhn.2015.24.4.279 

  2. Bae, S. C. (2010). The current status of surveys on prevalence of rheumatic diseas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Rheumatism Association, 17(1), 1-3. https://doi.org/10.4078/jkra.2010.17.1.1 

  3. Brilhart, B., & Johson, K. (1997). Motivation and coping process of adult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study. Rehabilitation Nursing, 22(5), 249-256. https://doi.org/10.1002/j.2048-7940.1997.tb02111.x 

  4. Buffart, L. M., Westendor, T., van den Berg-Emons, R. J., Stam, H. J., & Roebroeck, M. E. (2009). Perceived barriers to and facilitators of physical activity in young adults with childhoodonset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41(11), 881-885. https://doi.org/10.2340/16501977-0420 

  5. Cambridge Dictionary. (2018). Retrieved May 16, 2018, from http://dictionary.cambridge.org/dictionary/english/rehabilitation 

  6. Chaleshgar-Kordasiabi, M., Enjezab, B., Akhlaghi, M., & Sabzmakan, I. (2017). Barriers and reinforcing factors to self-management behaviour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A qualitative study. Musculoskeletal Care, 16, 241-250. https://doi.org/10.1002/msc.1221 

  7. Chervinsky, A. B., Ommaya, A. K., deJonge, M., Spector, J., Karen, S., & Salazar, A. M. (1998). Motivation for traumatic brain injury rehabilitation questionnaire (MOT-Q): Reliability, factor analysis, and relationship to MMPI-2 variables. Archives of Clinical Neuropsychology, 13(5), 433-446. https://doi.org/10.1016/S0887-6177(97)00016-4 

  8. Deci, E. L., & Ryan, R. M. (2008). Self-determination theory; A macrotheory of human motivation, development, and health. Canadian Psychology Psychologie Canadienne, 49(3), 182-185. https://doi.org/10.1037/a0012801 

  9. Ehrlich-Jones, L., Lee, J., Semanik, P., Cox, C., Dunlop, D., & Chang, R. W. (2011). Relationship between beliefs, motivation, and worries about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in persons with rheumatoid arthritis. Arthritis Care & Research, 63(12), 1700-1705. https://doi.org/10.1002/acr.20616 

  10. Geelen, R. J. G. M., & Soons, P. H. G. M. (1996). Rehabilitation: An 'everyday' motivation model.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8, 69-77. https://doi.org/10.1016/0738-3991(96)00871-3 

  11. Guthrie, S., & Harvey, A. (1994). Motivation and its influence on outcome in rehabilitation. Reviews in Clinical Gerontology, 4 (3), 235-243. https://doi.org/10.1017/S0959259800003865 

  12. Han, H. S., & Lim, N. Y. (2002).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in the disabled.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4(4), 554-563. 

  13. Hurkmans, E. J., Maes, S., de Gucht, V., Knittle, K., Peeters, A. J., Ronday, H. K., et al. (2010). Motivation as a determinant of physical activity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Arthritis Care & Research, 62(3), 371-377. https://doi.org/10.1002/acr.20106 

  14. Iversen, M. D., Scanlon, L., Sharby, N., Frits, M., & Shadick, N. A. (2015). Perceptions of physical activity engagement among adults with rheumatoid arthritis and rheumatologist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Rheumatology, 10(2), 67-77. https://doi.org/10.2217/ijr.15.3 

  15. Kemp, B. J. (1988). Motivation, rehabilitation and ageing: A conceptual model. Topics in Geriatric Rehabilitation, 3, 41-51. 

  16. Kim, S. O., & Lim, N. Y. (2009). The rehabilitation motive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spinal cord injury patient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6(1), 66-79. 

  17. Kong, H. K., & Lee, H. J. (2008). Effect of empowerment program on rehabilitation motivation, depress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the patients with strok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3), 406-417. 

  18. Koo, S. S. (1993).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rehabilitation motivation of the spinal cord injur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 Kwon, E. H. (2003). A study on the rehabilitation motive of stroke patients: Focused on individual and family support fact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20. Maclean, N., Pound, P., Wolfe, C., & Rudd, A. (2000). Qualitative analysis of stroke patients'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British Medical Journal, 321(7268), 1051-1054. https://doi.org/10.1136/bmj.321.7268.1051 

  21. Maclean, N., Pound, P., Wolfe, C., & Rudd, A. (2002). The concept of patient motivation: A qualitative analysis of stroke professionals' attitudes. Stroke, 33(2), 444-448. https://doi.org/10.1161/hs0202.102367 

  22. Park, Y. S., & Kim, J. H. (2003). Factors influencing the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17(1), 83-95. 

  23. Resnick, B. M. (1996). Self-efficacy in geriatric rehabilit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24. Seo, M. J., Kang, H. S., Lim, N. Y., Kim, K. S., & No, K. H. (2000). Integrative Rehabilitation Nursing. Seoul: Sinkwang. 

  25.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2018). Retrieved May 16, 2018, from http://stdweb2.korean.go.kr/search/View.jsp 

  26. Vlieland T. P. M. V. (2003).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rheumatoid arthritis.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Rheumatology, 17(5), 847-861. https://doi.org/10.1016/S1521-6942(03)00043-3 

  27. Walker, L. O., & Avant, K. C. (2010).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5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8. Yang, J. B. (201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rehabilitative motivation of individuals with acquired disabilities.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18(2), 61-86. 

  29. Yang, L. S., Sok, S. H., & Kim, K. B. (2005). The effect of stretching exercise upon depression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Clinical Nursing Research, 11(1), 47-56. 

  30. Young, A., Dixey, J., Cox, N., Davies, P., Devlin, J., Emery, P., et al. (2000). How does functional disability in early rheumatoid arthritis (RA) affect patients and their lives? Results of 5 years of follow-up in 732 patients from the Early RA Study (ERAS). Rheumatology, 39(6), 603-611. https://doi.org/10.1093/rheumatology/39.6.6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