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 교수의 환자안전 교육역량
Patient Safety Teaching Competency of Nursing Faculty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8 no.6, 2018년, pp.720 - 730  

안신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이남주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장해나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tient safety teaching competency of nursing faculty and the extent of teaching patient safety topics in the nursing curriculum. Methods: A national survey was conducted with full-time nursing faculty in 4-year nursing schools. Regional quota s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 교수의 환자안전 교육역량을 파악하고, 교육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국내에서 거의 처음 시도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학부 교육과정에서 간호대학 교수들의 환자안전 교육역량과 교육정도를 파악하고, 간호대학 교수들의 환자안전 교육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 교수의 환자안전 교육에 대한 강의와 실습에서의 교육 자신감과 교육 중요성, 환자안전 교육정도를 확인하고, 환자안전 교육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하여 간호대학에서의 환자안전 교육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교수자의 환자안전 교육역량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 학생을 가르치는 전국 간호대학 교수의 환자안전 교육에 대한 역량을 조사하고 현재 간호학부 교육과정에서 환자안전 교육이 제공되는 교육정도를 파악한 후, 환자안전 교육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 교수의 환자안전 교육에 대한 강의와 실습에서의 교육 자신감과 교육 중요성, 환자안전 교육정도를 확인하고, 환자안전 교육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하여 간호대학에서의 환자안전 교육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교수자의 환자안전 교육역량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였다. 환자안전에 대한 교육 자신감과 교육 중요성은 교육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교육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실습에서의 환자안전 교육에 대한 자신감과 강의에서의 교육 중요성, 담당과목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립의학연구소(Institute of Medicine)가 제시한 의료인이 갖추어야 할 역량은? 환자안전이 향상되어야 한다는 필요성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간호사를 포함한 보건의료인을 위한 교육과정의 변화가 필요하였다. 미국 국립의학연구소(Institute of Medicine)의 보고서에서는 보건의료 전문가들이 안전한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적절한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현실을 언급하면서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해서 의료인이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환자 중심의 케어 제공, 다학제 팀에서의 업무수행, 근거기반의 실무적용, 질 향상, 정보 이용의 5가지를 제시하였다[2]. 이후, 국외 환자안전 관련 기관에서는 환자안전 향상을 위한 핵심역량을 정의하고, 의료인이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해서 제시하였으며[5,6], 교육과정에서 활용 가능한 교육자료를 개발하였다[3].
WHO 환자안전 교육과정 지침의 개발 목적은? 이후, 국외 환자안전 관련 기관에서는 환자안전 향상을 위한 핵심역량을 정의하고, 의료인이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해서 제시하였으며[5,6], 교육과정에서 활용 가능한 교육자료를 개발하였다[3].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의 환자안전 교육과정 지침은 다양한 보건의료분야의 학부생에게 환자안전 교육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교수자를 도와주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3], 의료인이 갖추어야 할 환자안전 주제마다 교육방법과 관련 자료, 예시들을 제공하고 있다. 간호계에서는 교육의 변화 필요성의 흐름에 따라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 of Nursing (AACN)은 전문적인 간호사로서 환자안전을 향상시키는데 필수적인 역량을 제시하였으며[7],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 (QSEN)은 환자안전과 질 향상을 위하여 간호사에게 필수적인 역량을 환자중심 간호, 팀워크와 협력, 근거기반 실무, 질 향상, 안전, 정보의 6가지 주제로 구성하면서 각 주제에 대한 정의와 지식, 기술, 태도 역량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역량기반 교육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8].
학생들이 비기술적인 기술(non-technical skills)을 강의와 실습만으로 향상 시키기 어려운 이유는? 특히 비기술적인 기술(non-technical skills)인 팀워크와 의사 소통 영역은 강의와 실습만으로 지식과 기술을 향상시키기 어렵다. 학생들은 강의로 배운 이론적인 환자안전의 개념과 원칙을 실제 간호실무에서 적용하는 방법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22]. 간호사는 의사, 약사, 방사선사 등 다양한 직종으로 구성된 팀의 일원으로서 팀원들과 협력하고 조정하면서 일하고 있으며, 학생 또한 상황에 따라 의료팀의 일원이 될 수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Jang H, Lee NJ.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educational needs of nursing educators in South Korea. PLoS ONE. 2017;12(9):e0183536.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83536 

  2. Institute of Medicin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 bridge to quality.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03. p. 1-191. https://doi.org/10.17226/10681 

  3.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Patient safety curriculum guide: Multi-professional edition [Internet]. Geneva: WHO; c2011 [cited 2017 Dec 1]. Available from: http://apps.who.int/iris/bitstream/handle/10665/44641/9789241501958_eng.pdf?sequence1. 

  4. The Joint Commission. Sentinel event data - general information [Internet]. Oakbrook Terrace (IL): Author; c2017 [cited 2017 Dec 1]. Available from: http://www.jointcommission.org/sentinel_event_data_general. 

  5. Canadian Patient Safety Institute. The safety competencies: Enhancing patient safety across the health professions [Internet]. Ottawa (ON): Author; c2008 [cited 2017 Nov 1]. Available from: http://www.patientsafetyinstitute.ca/en/toolsResources/safetyCompetencies/Documents/Safety%20Competencies.pdf. 

  6. Australian Commission on Safety and Quality in Health Care. National patient safety education framework [Internet]. Sydney: Author; c2005 [cited 2018 Jul 1]. Available from: https://www.safetyandquality.gov.au/former-publications/national-patient-safety-education-framework-pdf-1053-kb/. 

  7.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The essentials of baccalaureate education for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Internet]. Washington, DC: Author; c2008 [cited 2018 Oct 10]. Available from: http://www.aacnnursing.org/Education-Resources/AACN-Essentials. 

  8. Cronenwett L, Sherwood G, Barnsteiner J, Disch J, Johnson J, Mitchell P, et al.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 Nursing Outlook. 2007;55(3):122-131. https://doi.org/10.1016/j.outlook.2007.02.006 

  9. Smith EL. Staff development through a patient safety lens. Journal for Nurses in Staff Development. 2006;22(4):210-211. 

  10. Lee NJ, Jang H, Park SY. Patient safety education and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competency: A cross-sectional study. Nursing & Health Sciences. 2016;18(2):163-171. https://doi.org/10.1111/nhs.12237 

  11. Tregunno D, Ginsburg L, Clarke B, Norton P. Integrating patient safety into health professionals' curricula: A qualitative study of medical, nursing and pharmacy faculty perspectives. BMJ Quality & Safety. 2014;23(3):257-264. https://doi.org/10.1136/bmjqs-2013-001900 

  12. Coleman DL, Wardrop RM, Levinson WS, Zeidel ML, Parsons PE. Strategies for developing and recognizing faculty working in quality improvement and patient safety. Academic Medicine. 2017;92(1):52-57. https://doi.org/10.1097/ACM.0000000000001230 

  13. Wong BM, Etchells EE, Kuper A, Levinson W, Shojania KG. Teaching quality improvement and patient safety to trainees: A systematic review. Academic Medicine. 2010;85(9):1425-1439. https://doi.org/10.1097/ACM.0b013e3181e2d0c6 

  14. Smith EL, Cronenwett L, Sherwood G. Current assessments of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in nursing. Nursing Outlook. 2007;55(3):132-137. https://doi.org/10.1016/j.outlook.2007.02.005 

  15. Cho HA, Shin H. A systematic review of published studies on patient safety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Administration. 2014;2(1):61-82. 

  16. Roh HL, Choi MN.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competency model for HR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2004;7(2):1-28. 

  17. Baek SG, Ham EH, Lee JY, Shin HJ, Yu YL. A theoretical inquiry on the construct for teaching competence in secondary school. Asian Journal of Education. 2007;8(1):47-69. https://doi.org/10.15753/aje.2007.8.1.003 

  18. Ginsburg L, Castel E, Tregunno D, Norton PG. The H-PEPSS: An instrument to measure health professionals'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ompetence at entry into practice. BMJ Quality & Safety. 2012;21(8):676-684. https://doi.org/10.1136/bmjqs-2011-000601 

  19.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1160. https://doi.org/10.3758/BRM.41.4.1149 

  20. Chenot TM, Daniel LG. Frameworks for patient safety in the nursing curriculum.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10;49(10):559-568. https://doi.org/10.3928/01484834-20100730-02 

  21. Park SA, Jung MS, Kim JH, Kim JK, Ju MK, Park SH, et al. Nursing Management & Policy. Seoul: Koonja; 2010. p. 3-22. 

  22. Mansour M. Current assessment of patient safety education. British Journal of Nursing. 2012;21(9):536-543. https://doi.org/10.12968/bjon.2012.21.9.536 

  23. Durham CF, Sherwood GD. Education to bridge the quality gap: A case study approach. Urologic Nursing. 2008;28(6):431-438, 453. 

  24. Altmiller G, Armstrong G. 2017 National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 faculty survey results. Nurse Educator. 2017;42(5S):S3-S7. https://doi.org/10.1097/NNE.0000000000000408 

  25. Ahn S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erioperative nurses' teamwork improvement program for surgical patient safety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7. p. 1-131. 

  26. Durham CF, Alden KR. Enhancing patient safety in nursing education through patient simulation. In: Hughes RG, editor. Patient safety and quality: An evidence-based handbook for nurses [Internet]. Rockville (MD):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c2008 [cited 2017 Nov 1]. Available from: https://archive.ahrq.gov/professionals/clinicians-providers/resources/nursing/resources/nurseshdbk/nurseshdbk.pdf. 

  27. Barnsteiner J, Disch J, Johnson J, McGuinn K, Chappell K, Swartwout E. Diffusing QSEN competencies across schools of nursing: The AACN/RWJF faculty development institute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013;29(2):68-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