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간호 관련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Patient Safety Nursing in Nursing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18 no.2, 2020년, pp.9 - 18  

서영선 (우송정보대학) ,  서은주 (배재대학교) ,  홍은희 (서울여자간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간호와 관련된 요인을 융·복합적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관련 요인의 효과크기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검색은 Medline, Embases, CINAHL, DBpia,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R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Kiss)을 이용하였으며, 국외 데이터베이스는 MeSH용어와 Emtree를 활용하여 검색하였다. 검색식은 [(patient safety or patient harm or safety management) and (students, nursing)] or [(patient safety or patient harm or safety management) and (education, nursing, graduate)] 이었다. 문헌선정은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관련 요인으로는 간호수행, 지식, 태도, 자신감, 인식 및 인지 등이 확인되었고, 그 중 환자안전간호 수행과 관련성이 높은 요인에는 자신감, 태도, 인식, 지식 순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s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factors related to patient safety nursing of nursing university students in a convergent and complex aspect and to identify the effect size through meta-analysis. The research method used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간호와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는 단계별 문헌선택과정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를 사용하였다.
  • 둘째, 관련요인 연구 중에서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간호 수행과 상관관계를 확인한 선행연구 8편을 메타 분석을 실시하여 어떠한 요인들이 연관성이 높은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간호 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신감(53%), 태도(43%), 인식(40%), 지식 (12%) 순으로 파악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간호 관련 요인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다수 연구된 개념을 중심으로 간호대 학생의 환자안전간호 관련 요인 간 효과크기를 확인하기 위해 융·복합적 시각에서 바라보고자 메타분석을 시행하 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간호와 관련된 요인을 융·복합적 측면에서 바라보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시행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효과크기를 파악 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간호와 관련된 요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고,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도출된 환자안전간호에 대한 객관적 자료를 교과과정이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적용,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간호 도구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와 후속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 H. Choi & H. Lee. (2015).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Practi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in Clinical Practicum. J Korean Acad Nurs Adm., 21(2), 184-192. DOI : 10.11111/jkana.2015.21.2.184 

  2. L. T. Kohn, J. Corrigan, & M. S. Donaldson. (2000). 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6.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3. Y. M. Kim. (2009). Comprehensive consideration about patient safety. Department of education, Patient safety,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4. H. M. Gu. (2016). On the Reporting and Learning System for Patient Safety Events, Health and Welfare Forum, 46-59. 

  5. S. I. Lee. (2013). Development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to enhance patient safety. North Chungcheong Provinc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6. J. H. Lee & S. I. Lee. (2009). Patient safety: The concept and gener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Society Quality Assurance Health Care 15(1), 9-18. 

  7. World Health Organization et al. (2009). Dengue: guidelines for diagnosis, treatment, prevention and control. World Health Organization. 

  8.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04).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1(4), 36-39. 

  9. M. Vaismoradi, S. Mahvash & P. Marck. (2011). Patient safety: nursing students' perspectives and the role of nursing education to provide safe care.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58(4), 434-442. DOI : 10.1111/j.1466-7657.2011.00882.x 

  10. E. L. Smith. (2006). Staff development through a patient safety lens. Journal for Nurses in Staff Development, 22(4), 210-211. DOI : 10.1097/00124645-200607000-000 

  11.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 (2007).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accreditation standards for hospitals. Joint Commission Resources. 

  12. J. Jeong, Y. J. Seo & E. W. Nam. (2006).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t Nursing Divisions of Two University Hospitals. Korean Society of Hospial Management, 11(1), 91-109. 

  13. K. P. Beischel & S. D. Deborah. (2014). A time for change: QSENizing the curriculum. Nurse educator, 39(2), 65-71. DOI : 10.1097/NNE.0000000000000020 

  14. G. Sherwood, & K. Drenkard. (2007). Quality and safety curricula in nursing education: Matching practice realities. Nursing Outlook, 55(3), 151-155. DOI : 10.1016/j.outlook.2007.02.004 

  15. S. Hwang. (2016). Meta-analysis using R. Seoul: Hakjisa, 139-159. 

  16. W. S. Madigosky, L. A. Headrick, K. Nelson, K. R. Cox, & T. Anderson. (2006). Changing and sustaining medical student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bout patient safety and medical fallibility. Academic Medicine, 81(1), 94-101. 

  17. H. N. Yoo & H. Y. Lee. (2014). The initial application of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scale (PSM-A) for nursing students: Brief on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6), 3423-3436. 

  18. S. H., Son & J. S. Park. (2017). A study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 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practice in safety management. Fisheries and Marine Science Education, 29(4), 1043-1053. 

  19. Y. Cho. (2017). Study on Perception and Performance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Suwon:Ajou University(master's thesis). 

  20. A. A. Abbott, T. F. Kevin, A. G. Kimberly & A. P. Karen. (2012). How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value an interprofessional patient safety cours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ternational Scholarly Research Network ISRN nursing, 2012, 1-7. DOI : 10.5402/2012/401358 

  21. H. K. Hur & S. M. Park. (2012). Effects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for emergency care of patients with dyspnea, on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fidence of nursing sting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 Education, 18(1), 111-119. DOI : 10.5977/jkasne.2012.18.1.111 

  22. M. S. Lee & S. W. Hahn. (2011). Effect of Simulation-based Practice on Clinical Performance and Problem Solving Process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 Education, 17(2), 226-234. DOI : 10.5977/JKASNE.2011.17.2.2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