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래놀이를 활용한 지역사회 노인과 아동을 위한 세대교류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the Intergenerational Exchange Program for Older Adults and Young Children in the Community Using the Traditional Pla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8 no.6, 2018년, pp.743 - 753  

최민정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송경애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a community-based first and third Intergenerational Exchange Program (IGEP) on older adult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loneliness, depression, and walking speed, and on 4~5-year-old preschool children's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접촉이론을 기반으로 두 세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전래놀이를 활용하여 세대교류 프로그램(IGEP)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고독감, 우울 및 보행속도와 아동의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지역사회에 적합한 세대교류 프로그램의 기반을 구축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가설 1. 세대교류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실험군)과 대조군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2) 가설 2. 실험군과 대조군의 고독감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3) 가설 3. 실험군과 대조군의 우울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4) 가설 4. 실험군과 대조군의 보행속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5) 가설 5. 아동의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은 세대교류 프로그램 참여 전·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래놀이를 활용한 지역사회 노인과 아동을 위한 세대 교류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첫째, 세대교류 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둘째, 세대교류 프로그램이 노인의 고독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셋째, 세대교류 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넷째, 세대교류 프로그램이 노인의 보행속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다섯째, 세대교류 프로그램이 아동의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전래놀이는 어떤 긍정적인 요소를 포함하는가? 전래놀이는 현대 놀이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전통놀이와 민속놀이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자리잡은 외래놀이가 포함된다. 전래놀이는 성별·연령의 차별 없이 협동과 경쟁의 요소를 통해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도록 하며, 소근육과 대근육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를 포함한다. 전래놀이를 활용한 중재는 노인의 우울 및 소속감 향상[10]에 효과적이었으며, 아동의 협동성, 상호작용, 자율성과 사회성[11]에 영향을 미쳐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 발달에 유용한 중재방법이 될 수 있다.
노인의 삶의 질이 다른 세대에 비해 현저히 낮은 이유는? 9%를 차지하고 있어[1], 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 유지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노인은 보행속도와 같은 신체적 역량의 감소[2]와 사회적, 심리적, 공간적 소외로 높은 고독감과 우울을 경험하여 다른 세대에 비해 삶의 질이 현저하게 낮다[3]. 최근 노인단독가구는 1994년 4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7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Internet]. Wonju: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c2018 [cited 2018 Dec 10]. Available from: https://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45020000&brdScnBltNo4&brdBltNo2310#none. 

  2. Hong S, Won CW, Kim BS, Choi H, Kim S, Choi SE, et al. The cut-off point of gait speed as predictor of 3 year mortality in Korean community-dwelling elderly.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2016;6(3):166-171. https://doi.org/10.21215/kjfp.2016.6.3.166 

  3.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8 Quality of life survey report.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8 Jun. Report No.: 044-203-2924. 

  4.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Findings and implications. Sejong: KIHASA; 2018 Oct. Report No.: Policy Report 2018-01. 

  5. Kirchengast S, Haslinger B. Intergenerational contacts influenc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L) and subjective well being among Austrian elderly. Collegium Antropologicum. 2015;39(3):551-556. 

  6. Kwak AJ, Lee KS. A validation study of the learning-related social skill scale for young children and its relationship with learning ability.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007;27(3):61-92. https://doi.org/10.18023/kjece.2007.27.3.004 

  7.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Textbook of Geriatric Medicine. 3rd ed. Seoul: PanMun Education; 2015. p. 55-56. 

  8. Park KR, Jun YH, Kim HN, Oh CO. A study on intergenerational program for relationships improvement between children and the elderly: On the intergenerational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04;13(1):17-27. 

  9. Jarrott SE, Smith CL. The complement of research and theory in practice: Contact theory at work in nonfamilial intergenerational programs. The Gerontologist. 2011;51(1):112-121. https://doi.org/10.1093/geront/gnq058 

  10. Oh HJ, Gang MH, Kim MS, Oh KO. The effects of the convergence program using traditional play on depression, sense of belonging and suicidal ideation in rural women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7;15(12):413-421. https://doi.org/10.14400/JDC.2017.15.12.413 

  11. Dong JS. Effect of preschooler-reconstructed traditional play activities on social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4;16(2):121-138. https://doi.org/10.15409/riece.2014.16.2.121 

  12. Gualano MR, Voglino G, Bert F, Thomas R, Camussi E, Siliquini R. The impact of intergenerational programs on children and older adults: A review.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018;30(4):451-468. https://doi.org/10.1017/S104161021700182X 

  13. Morita K, Kobayashi M. Interactive programs with preschool children bring smiles and conversation to older adults: Time-sampling study. BMC Geriatrics. 2013;13:111. https://doi.org/10.1186/1471-2318-13-111 

  14. Kim SJ. Evaluating the effect of the intergenerational program. Journal of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 2006;4(1):111-128. 

  15. Park AL. The impacts of intergenerational programmes on the physical health of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Science. 2014;2(3):129. https://doi.org/10.4172/2329-8847.1000129 

  16. Hsu SC, Rong JR, Lin HR, Liu CY. Effectiveness of intergenerational program in improving community senior citizens' general health and happiness. European Scientific Journal. 2014;10(12):46-63. 

  17. Cho EY. Development and effect on physical activity program of intergenerational community for elderly women and children.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2014;28(2):71-90. 

  18. Han JW, Kim TH, Jhoo JH, Park JH, Kim JL, Ryu SH, et al. A normative study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MMSE-DS) and its Short form (SMMSEDS) in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2010;14(1):27-37. 

  19. The EuroQol Group. EuroQol-a new facility for the measure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Policy. 1990;16(3):199-208. https://doi.org/10.1016/0168-8510(90)90421-9 

  20. Lee YK, Nam HS, Chuang LH, Kim KY, Yang HK, Kwon IS, et al. South Korean time trade-off values for EQ-5D health states: Modeling with observed values for 101 health states. Value in Health. 2009;12(8):1187-1193. https://doi.org/10.1111/j.1524-4733.2009.00579.x 

  2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Validity and reliability evaluation for EQ-5D in Korea [Internet]. Cheongju: KCDC; c2012 [cited 2018 Sep 3]. Available from: http://www.nih.go.kr/NIH_NEW/not/NihKrListLink.jsp?menuIdsHOME005-MNU2091-MNU2349&fid28&q_typetitle&q_valueEQ&cid1742&pageNum. 

  22. Russell D, Peplau LA, Ferguson ML. Developing a measure of lonelines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78;42(3):290-294.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203_11 

  23. Kim KH, Kim CH. Korea UCLA Loneliness Scale. Journal of student guidance. 1989;16:13-30. 

  24. Yesavage JA, Sheikh JI. 9/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Clinical Gerontologist. 1986;5(1-2):165-173. https://doi.org/10.1300/J018v05n01_09 

  25. Kee B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6;35(2):298-307. 

  26. Kim HJ, Park I, Lee HJ, Lee O.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gait speed with different walking pace and distances against general health, physical function, and chronic disease in aged adults. The Journal of Exercise Nutrition & Biochemistry. 2016; 20(3):46-50. https://doi.org/10.20463/jenb.2016.09.20.3.7 

  27. McClelland MM, Morrison FJ. The emergence of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003;18(2):206-224. https://doi.org/10.1016/S0885-2006(03)00026-7 

  28. Skropeta CM, Colvin A, Sladen S. An evaluative study of the benefits of participating in intergenerational playgroups in aged care for older people. BMC Geriatrics. 2014;14:109. https://doi.org/10.1186/1471-2318-14-109 

  29. Kim NS, Kim JS, Lee HO.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exercise program to improve leg muscle strength and balance for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10;5(4):569-576. 

  30. Rosebrook V. Intergenerational connections enhance the personal/soci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2002;34(2):30-41. https://doi.org/10.1007/BF031767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