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한 한국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유방암 수술 후 물리치료 적용에 대한 인식도 조사
Awareness of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Program after Breast Cancer Surgery in Healthy Korean Women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3 no.1, 2018년, pp.39 - 47  

김유미 (강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노효련 (강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physical therapy as one of rehabilitation interventions for post-operative women with breast cancer in healthy Korean women. METHODS: This study recruited 223 adult women aged 20 and older who never had breast cancer but received p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유방암 확진을 받은 적이 없는 한국 성인여성들을 대상으로 유방암에 대한 관심도와 유방암 수술 후 물리치료 적용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유방암 수술로 인한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물리치료의 필요성과 교육 그리고 물리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제공의 중요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유방암 확진을 받은 적이 없는 한국 성인여성들을 대상으로 유방암에 대한 관심도와 유방암 수술 후 물리치료 적용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유방암 수술로 인한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물리치료의 필요성과 교육 그리고 물리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제공의 중요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 합병증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유방암의 생존율 증가와 함께 유방암으로 인한 합병증에 대하여 사회적 인식과 관심이 높아지면서 유방암은 단순 질환이 아닌 복합질환의 개념으로 확대되고 있다(Seo and Choi, 2016). 유방암 환자는 가동범위 감소, 상지의 통증, 근력 저하 그리고 림프부종에 따른 팔 긴장도, 수행의 곤란 등과 같은 신체 기능 손상을 나타낸다(Hayes et al., 2012; Devoogdt et al., 2011; Rietman et al., 2003). 또한, 유방암 수술 후 우울증, 피로, 감각이상(Ahn et al., 2016; Anna, 2017), 심리적 고통(Hwang et al., 2008) 등의 신체와 심리사회적 분야에서 다양한 문제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유방암 합병증과 신체기능 손상을 관리하는 것은 중요하다(Brem, 2011).
유방암은 전 세계에서 몇 번째로 흔한 암인가? 유방암은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흔한 암이며, 여성의 암 사망 원인 중 가장 빈번하다. 한국은 유방암 발생률이 가장 빠른 국가 중 하나로 한국인 유방암의 연령표준화 발병률은 2012년에 10만명당 52.
유방암에 대한 최근 인식의 변화는? 1건이었다(Statistics Korea, 2014). 예전에는 유방을 수줍은 장기로 여겨 병이 진행한 후에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초기진단이 보편화되기 시작하면서 유방암 환자의 생존율은 다른 암에 비해 5년 생존율이 80% 이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Jung et al.,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SY, Kim JJ, Ha HJ. Effects of scapular stabilizing exercise on resting scapular position of breast cancer-related lymphedema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6;11(2):131-9. 

  2. Alfano CM, Imayama I, Neuhouser ML, et al. Fatigue, inflammation, and omega-3 and omega-6 fatty acid intake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J Clin Oncol. 2012;30:1280-7. 

  3. Anna P, Jacek B, Agnieszka W, et al. Physiotherapy programme reduces fatigue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receiving palliative ca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upport Care Cancer. 2017;25:2899-908. 

  4. Berkman LF, Kawachi I. Social epidemi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5. Cheville AL, Troxel AB, Basford JR, et al. Prevalence and treatment patterns of physical impairments in patients with metastatic breast cancer. J Clin Oncol. 2008; 26(16):2621-29. 

  6. Brem S. Management of treatment-related symptom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Current strategies and future directions. Clin J Oncol Nurs. 2011;15(1):63. 

  7. Cohen JA. Power primer, Psychological Bulletin. 1992;112(1): 155-59. 

  8. Devoogdt N, Van KM, Christiaens M, et al. Short and long term recovery of upper limb function after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Eur J Cancer Care. 2011; 20(1):77-86. 

  9. Faggiano F, Lemma P, Costa G, et al. Cancer mortality by educational level in Italy. Cancer Causes Control. 1995;6:311-20. 

  10. Floortje M, Ad JJMV, Jan WC, et al. Quality of life among long-term breast cancer survivors: A systematic review. Europ Jour Cancer. 2005;41:2613-19. 

  11. Fiscella K, Franks P, Gold MR, et al. Inequality in quality: addressing socioeconomic, racial, and ethnic disparities in health care. JAMA. 2000;283:2579. 

  12. Flores. Physical impairments and physical therapy services for minority and lowincome breast cancer survivors. SpringerPlus. 2016;5:1227. 

  13. Gjerset GM, Loge JH, Kiserud CE, et al. Perceived needs for different components in a rehabilitation program among cancer survivors with chronic fatigue compared to survivors without chronic fatigue. Acta Oncol. 2017;56(2):245-53. 

  14. Hayes SC, Johansson K, Stout NL, et al. Upper body morbidity after breast cancer. Cancer. 2012;118(S8):2237-49. 

  15. Hwang JH, Chang HJ, Shim YH, et al. Effects of supervised exercise therapy in patients receiving radiotherapy for breast cancer. Yonsei Med J. 2008;49(3):443-50. 

  16. Jung KW, Won YJ, Kong HJ, et al.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cidence, mortality, survival, and prevalence in 2012. Cancer Res Treat. 2015;47(2):127-41. 

  17. Kim MS. The change of physical function in accordance with rehabilitation exercise frequency for the breast cancer survivors. Korean J Physical Edu. 2010;49(4):315-23. 

  18. Kim UY. Predictors of the use of integrative health services among patients with breast cancer. Master's Degree. Hanyang University. 2012. 

  19. Kim MK, Kim CK. Cancer self-examination compliance in the context of health belief model. J Korean Heal Edu. 1990;7(1):64-71. 

  20. Lim CH, Han JH. Effectiveness of upper extremity exercise and bandage on the edema and ROM of patients with lymphedema. J Korean Soc Phys Med. 2011; 6(1):31-8. 

  21. Lee BK, Lee JS, Kim TS. The Influence of 4 wks complex therapeutic exercises on visual analog scale of pain and range of motion for middle-aged women with breast cancer related lymphedema. J Korean Soc Phys Med. 2013;8(2):153-61. 

  22. Lee SA, Kang JY, Kim YD, et al. Effects of a scapula-oriented shoulder exercise programme on upper limb dysfunction in breast cancer survivors: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Clin Rehabil. 2010;24(7):600-13. 

  23. Lee YK. The influence of complementary alternative therapy and uncertainty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Master's Degree. Konkuk University. 2011. 

  24. Maria TL, Maria JYS, Alvaro ZG, et al. Effectiveness of early physiotherapy to prevent lymphoedema after surgery for breast cancer: randomised, single blinded, clinical trial. BMJ. 2010;340:b5396. 

  25. Paramanandam VS, Roberts D. Weight training is not harmful for women with breast cancer related lymphoedema: a systematic review. J Physiother. 2014;60(3):136-43. 

  26. Pyszora A, Budzynski J, Wojcik A, et al. Physiotherapy programme reduces fatigue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receiving palliative ca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upport Care Cancer. 2017;25(9): 2899-908. 

  27. Rietman JS, Dijkstra PU, Hoekstra HJ, et al. Late morbidity after treatment of breast cancer in relation to daily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a systematic review. Eur J Surg Oncol. 2003;9(3):229-38. 

  28. Ryu KH, Kim MS. The effects of 15 week's rehabilitation program 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factors for stomach cancer and breast cancer patients. Jour Spo Leisu Stud. 2010;40(2):611-20. 

  29. Seo JY, Choi JD. The effects of sensory motor training using ball exercise on shoulder functions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women after mastectomy. J Korean Soc Phys Med. 2016;11(4):147-56. 

  30. So HJ. The effect of elastic band exercise on postoperative improvement shoulder joint dysfunction of breast cancer patients. master's degree. Daegu University. 2009. 

  31. Statistics Korea. Korean statistial information service. Available at http: //kosis.kr /statisticsList /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u bCont[accessed on 6 August 2014]. 

  32. Tian Q, Price ND, Hood L. Systems cancer medicine: towards realization of predictive, preventive, personalized and participatory (P4) medicine. J Intern Med. 2012; 271(2):111-21. 

  33. Yoo YS. Effects of aquatic exercise program on the shoulder joint function, physical symptom and quality of life in postmastectomy patients. J.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999;13(2): 101-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