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구와의 성 의사소통, 성 이중기준이 대학생의 피임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x Communication with Friends and Sexual Double Standard on Contraceptive Self-efficacy among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4 no.1, 2018년, pp.14 - 23  

김정효 (조선간호대학교) ,  박미경 (남부대학교 간호학과) ,  조은아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x communication with friends and sexual double standard on contraceptive self-efficacy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With a survey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251 university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G city from September 2016 to October 20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의 경우 성의 개방화 과정에서도 오랜 세월 이어져 온 차별적 성 이중기준이 어떻게 유지 또는 변형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에서[17] 성 이중기준이 피임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성 활동이 활발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친구와의 성 의사소통과 성 이중기준이 피임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친구와의 성 의사소통, 성 이중기준 및 피임 자기효능감에 대한 정도를 파악하고 피임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친구와의 성 의사소통, 성 이중기준이 대학생의 피임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성 이중기준, 친구와의 성 의사소통, 성별(여자), 피임교육 경험, 피임 경험이 대학생의 피임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친구와의 성 의사소통, 성 이중기준, 피임 자기효능감 정도를 파악하고 피임 자기효능감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성 이중기준, 친구와의 성 의사소통, 성별(여자), 피임교육 경험, 피임 경험이 대학생의 피임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33%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친구와의 성 의사소통, 성 이중기준이 피임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연구결과, 성 이중기준, 친구와의 성 의사소통, 성별(여자), 피임교육 경험, 피임 경험이 대학생의 피임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33%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 이중기준이란 무엇인가 성 이중기준은 남성과 여성의 성적인 허용성에 대하여 다르게 보고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7]. 우리나라의 성 이중기준은 가부장제도의 영향을 받아 계속 존재하고 있으며[8] 성적 행동 기준과 관련하여 남성에게는 보다 허용적이며, 여성에게는 엄격한 기준을 두고 있다[9].
피임 자기효능감은 성교 상황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피임 자기효능감은 피임이 준비되지 않았을 때 성 관계를 거부할 수 있는 능력으로[5,10], 이성교제에 대한 부모의 태도, 학교 피임교육 경험이 피임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11]. 또한 자신이 피임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다는 확신으로 성교 상황에서 피임태도와 행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고 피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강력한 예측요인이라고 하였다[12-14].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피임 자기효능감의 속성을 피임을 사용할 것을 성파트너에게 주장하는 피임 사용 주도성, 성적 자기주장, 원하지 않거나 피임이 되지 않은 경우 성관계 거부, 자율적 성행동 4가지로 설명하였다[10].
피임 자기효능감이란 무엇인가 피임 자기효능감은 피임이 준비되지 않았을 때 성 관계를 거부할 수 있는 능력으로[5,10], 이성교제에 대한 부모의 태도, 학교 피임교육 경험이 피임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11]. 또한 자신이 피임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다는 확신으로 성교 상황에서 피임태도와 행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고 피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강력한 예측요인이라고 하였다[12-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im YH, Moon ST, Kang HS. Factors influencing on sexual assertivenes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3;19(3):166-175. https://doi.org/10.4069/kjwhn.2013.19.3.166 

  2. Choi MS, Ha NS.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and experience in sex and sexual autonomy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4;10(4):318-330. 

  3. Hur MH, Ahn HY, Kwak EA, Kim KM, Park JY, Lee JR. A study on sexual behavior, and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of contraception and attitude of contracep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 (3):267-275. https://doi.org/10.4040%2Fjkan.2007.37.3.267 

  4. Shin KR, Park HJ, Bae KE, Cha C. Sexual behavior, health risk behaviors related to reproductive health, and sexual experience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Adult Nursing. 2010;22(6):624-633. 

  5. Kang HS. An explanatory model of condom use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2001. 130 p. 

  6. Kim YS. The importance of the communication of sex with friends: the communication, the knowledge and the attitude relationship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07. 51 p. 

  7. Reiss IL. The social context of premarital sexual permissiveness. New York: Helt, Rinehart & Winston; 1967. 256 p. 

  8. Kim YG.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sexual double standard, sexual subjectivity, sexual meaning on their sexual behaviors. Forum for Youth Culture. 2011;27:8-37. 

  9. Min HY, Kim KH. Parent's supportive parenting and adolescent sexual valu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05;26 (6):59-71. 

  10. Kim KH, Cho EA.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traceptive self-efficacy scale: Focused on wome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6;22(3):151-161. https://doi.org/10.4069/kjwhn.2016.22.3.151 

  11. Lee IS, Cho JY. Comparative study on the contraceptive knowledge,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career tract of high school femal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08;21(2):75-88. 

  12. Hwang SW, Chung CW.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contraception behavior of unmarried men and women in Korea: Gender differ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2):159-169. https://doi.org/10.4040/jkan.2014.44.2.159 

  13. Levinson RA. Contraceptive self efficacy: A perspective on teenage girl's contraceptive behavior. The Journal of Sex Research. 1986;22(3):347-369. https://doi.org/10.1080/00224498609551314 

  14. Alvarez C, Villarruel AM, Zhou Y, Gallegos E. Predictors of condom use among Mexican adolescents. Research and Theory for Nursing Practice. 2010;24(3):187-196. 

  15. Jung HY. Contraceptive knowledge, contraception self-efficacy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ulticultural Health. 2016;6(1):17-25. 

  16. Cho JY, Lee IS. Sexual behavior, knowledge, self-efficacy, and perceived risk of contraception among male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0;12(6):3179-3192. 

  17. Choo BS. A qualitative research on college students' sexual double standard. Journal of Future Oriental Youth Society. 2014;11(4):47-75. 

  18. Warren C. Parent, children and communication: Frontiers of theory and research (Parent-child communication about sex). Mahwah,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r; 1995. p.173-201. 

  19. Ha SH, Lee JY, Chung HJ. The effect of parenting processes on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Management Association. 2006;24(1):271-286. 

  20. Caron SL, Davis CM, Halteman WA, Stickle M. Predictors of condom-related behaviors among first-yea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Sex Research. 1993;30(3):252-259. 

  21. Nam YJ. Sexual meaning type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arried in their 30s and 40s[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3. 136 p. 

  22. Kim MJ. A structural equation model explaining contraception behaviors of married Korean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1;7(2):141-156. 

  23.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2):175-191. 

  24. Ip WY, Sin LL, Chan DS. Contraceptive self-efficacy and contraceptive knowledge of Hong Kong Chinese women with unplanned pregnanc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9;18(17): 2416-2425.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9.02829. 

  25. Jaung AH, Jung YJ, Kim MY. Affecting factors sexual experience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1):555-563. https://doi.org/10.5762/KAIS.2015.16.1.555 

  26. Cho GY, Kim YH. Factors affecting sexual autonomy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15(11):6710-6718. https://doi.org/10.5762/KAIS.2014.15.11.6710 

  27. Impett EA, Peplau LA. Sexual compliance: Gender, motivational, and relationship perspectives. Journal of Sex Research. 2002;40(1):87-100. https://doi.org/10.1080/002244903095521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