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의 좌절된 소속감, 인식된 짐스러움 및 자살사고와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among Failed Belongingness,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Suicidal Ideation of Psychiatric Inpatients: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2, 2018년, pp.461 - 469  

강희양 (을지대학교 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장은진 (침례신학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자살사고에 미치는 대인관계의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대상은 정신건강의학과에 입원한 환자 109명으로, 대인관계는 인식된 짐스러움과 좌절된 소속감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대인관계 척도의 하위요인 중 인식된 짐스러움은 자살사고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우울을 매개로 하여 자살사고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반면 대인관계 척도의 하위 요인 중 좌절된 소속감은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으나 자살사고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와 관련하여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의 자살사고 개입을 할 때 대인관계와 관련된 변인을 다룰 수 있는 자살개입 방법이 효과적일 것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s on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suicidal ideation and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in the case of psychiatric inpatients. The subject group was consisted of 109 psychiatric inpati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classified into 'perceived burdensomenes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Joiner의 대인관계 심리학적 모형으로 정신건강의학과 입원환자의 자살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좌절된 소속감과 인식된 짐스러움으로 구성된 대인관계 욕구로 정신건강의학과 입원환자의 자살을 설명할 수 있는 모형을 확립하고 인식된 짐스러움과 좌절된 소속감이 자살사고에 영향을 주는 경로에서 우울의 역할을 알아보았다.

가설 설정

  • 가설 2. 대인관계 욕구의 하위변인 중 인식된 짐스러움은 자살사고에 영향을 줄 것이다.
  • 가설 1. 대인관계 욕구의 하위변인 중 좌절된 소속감은 자살사고에 영향을 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자살사고에 미치는 대인관계의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는 어떠한가? 대상은 정신건강의학과에 입원한 환자 109명으로, 대인관계는 인식된 짐스러움과 좌절된 소속감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대인관계 척도의 하위요인 중 인식된 짐스러움은 자살사고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우울을 매개로 하여 자살사고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반면 대인관계 척도의 하위 요인 중 좌절된 소속감은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으나 자살사고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와 관련하여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의 자살사고 개입을 할 때 대인관계와 관련된 변인을 다룰 수 있는 자살개입 방법이 효과적일 것에 대해 논의하였다.
우울의 특징은 무엇인가? 매년 자살을 시도한 사람 중에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시도자가 80%에 달하고 있고[13] 자살 시도한 청소년의 25-33%가 우울증으로 정신과 치료를 받았던 것으로 나타났다[14]. 우울은 대부분의 자살사고를 갖고 있는 사람들의 주된 정서[15]라는 것이 여러 연구들에서 확인되었고, 그 경로를 설명하는 연구들 중 절망감, 자기효능감, 사회적 소외감, 인지적 몰락 등이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 변인으로 언급되고 있다[16].
우리나라의 자살 문제는 어떤 상황에 있는가? 우리나라는 12년째 자살율과 자살증가율 1위인 국가로 알려져 있으며 자살자의 80%는 우울증과 같은 정신장애를 경험하고 있다. 자살 문제는 매년마다 그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으며 2015년 기준으로 인구 10만명당 25.8명으로 OECD 평균 12.0명에 비해 2배가 넘는 수준을 보이고 있다[1]. 제영묘(2004)[2]에 따르면 자살관련 행동에 대한 일반 성인들의 평생 유병률은 자살사고 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Statistics Korea. (2015). Annual Report on the causes of Death Statistics http"//www.nso.go.kr. 

  2. Y. M. Jae.. (2004). Suicide and Psychiatric Disorder.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10(1), 250-261. 

  3. M. Y. Kim. (2013). An analysis on the suicide rates of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Ph.D. thesis. 

  4. E. Durkheim. (2002). Moral education, New York: Dover Publication, 15. 

  5. J. H. Park & D. H. Wi. (1999). Clinical Analysis of the Suicidal Attempters Visiting Emergency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0(4), 568-578. 

  6. A. Doshi, E. D. Boudreaux, N. Wang, A. J. Pelletler & C. A. Camargo. (2005). National study of US Emergency Department visits for attempted suicide and Self-inflicted injury, 1997-2001.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422-426. 

  7. J. H. Park. (2007). Clinical observation of acute drug intoxication patients in an emergency department, Chosun Univeristy, B. A. thesis. 

  8. K. T. Moon. (2006). Influence of diseases and socioeconomic factors in suicide, Yonsei Univeristy, Ph. D, thesis. 

  9. A. Doshi, E. D. Boudreaux, N. Wang, A. J. Pelletler & C. A. Camargo. (2005). National study of US Emergency Department visits for attempted suicide and Self-inflicted injury, 1997-2001.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369-375. 

  10. M. J. Marttunen, H. M. Aro & J. K. Lonnqvist. (1993). Precipitant stressors in adolescent suicid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2(6), 1178-1183. 

  11. D. A. Brent. (1987). Correlates of the medical lethality of suicide attempt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6(1), 87-91.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Actual situation survey of Mental Illness. 

  13. Korean Association for Suicide Prevention. (2004). http://www.suicideprevention.or.kr. 

  14. S. J. Ladely & K. R. Puskar. (1994). Adolescent suicide: Behaviors, factors psychiatric nursig interventions.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14, 497-509. 

  15. A. R. Choi & Y, S, Lee. (2011).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Deconstru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Suicidal Ideation, Life Stress, and School Type in High School Student.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3(3), 761-784. 

  16. H. P. Lee. (2014).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Suicidal Ideation, and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Neurotic Outpatient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33(1), 1-24. 

  17. S. Balsis & J. A. Cully. (2008). Comparing depression diagnostic symptoms across younger and older adults. Aging and Mental Health, 12(6), 800-806. 

  18. T. E. Joiner. (2005). Why people die by suicide, Cambridge, MA, US: Harvard University Press, 276. 

  19. K. J. Chu & S, Y. Lee. (2012).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Burdensomeness, Hopelessn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and Elder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5(3), 31-53. 

  20. E. S. Shneidman. (1996). Why do we kill ourselves? In E. S. Shneidman (Ed), The suicide mind.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3-26. 

  21. S. L. Brown & A. D. Vinokur. (2003). The interplay among risk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The role of depression, poor health, and loved one' messages of support and criticism.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2(2), 131-141. 

  22. G. M. Slavich, A. O'Donovan & E. S. Epel. (2010). Kemeny, M. E. Black sheep get the blues: A psychobiological model of social rejection and depression. Neuroscience and Biohavioral Review, 35(1), 39-45. 

  23. L. Y. Abramson, G. I. Metalsky & I. B. Alloy. (1989). Hopelessness depression: A theory-based subtype of depression. Psychological Review, 96(2), 361-366. 

  24. M. H. Jo. (2010). An evaluation of interpersonal psychological model of suicide in Korean Army, Korea University, B. A. thesis. 

  25. S. Y. Kim (2013). Suicidal ideation of lesbians and gays in South Korea: Test of interpersonal psychological model. Korea University, B. A. thesis. 

  26. K. A. Van Orden, T. K. Witte, K. H. Gordon,, T. W. Bender & Jr T. E. Joiner. (2008). Suicidal Desire and the Capability for Suicide: Tests of the Interpersonal-Psychological Theory of Suicidal Behavior Among Adul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6, 72-83. 

  27. M. S. Kim, I. S. Lee & C. S. Lee. (2007). The Validation Study 1 of korean BDI-2: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Sample. Korean Journal fo Clinical Psychology, 26(4), 997-1014. 

  28. A. T. Beck, RA. Steer & W. F. Ranieri. (1988). Scale for Suicide Ideation: psychometric properties of a self-report versio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4, 499-505. 

  29. H. S. Lee & J. H. Kuwn. (2009). Validation of the Beck Scale for Suicide Ideation wi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8(4), 1155-1172. 

  30. R. M. Baron &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y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 97(1), 90-113. 

  31. J. M. Ha, Y. U, Seol & M. G. Jwa. (2010). The Effect of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Failed Belongingness to Youth's Suicidal Ideation.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6(4), 223-246. 

  32. S. P. Yook. (2002). The exploration of suicide related variables and the development of treatment program. Korean Univerisy, Ph. D. thesis. 

  33. J. M. Ha, Y. J. Song & H. U. Nam (2012). The Effect of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Failed Belongingness to Elderly Suicidal Ideation. Age Well-Being Research, 55, 65-84. 

  34. S. Kidd, C. Henrich, K. Brookmeyer, L. Davidson, R. King & G. Shahar. (2006). The social context of adolescent suicide attempts: interactive effect of parent, peer, and school social relation. Suicide & Life-Threatening Behavior, 36(4), 357-3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