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BL교과수업과 학교도서관 LAI의 연계를 위한 기술적 분석 - PBL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criptive Analysis for Coordination of the School's Library-Aided Instruction With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Korea School Libraries: Focusing on PBL Cases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9 no.4, 2018년, pp.167 - 185  

정종기 (경성대학교 문과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의 목적은 PBL 수업과 관련된 사례 연구들을 조사 분석하여 도출된 기초자료를 근거로 PBL 수업과 연계하여 학교도서관의 도서관협력수업을 활성화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PBL 수업이 국내 초 중등교육 현장에 도입되어 사례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000년대부터 2018년 현재까지 수행된 국내 PBL 관련 사례연구들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초 중 고등학교로 구분하여 대상학년, 교과목, 수업형태, 학습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원 종류, 협력수업 여부, 도서관협력수업 여부, 교육적 효과에 중점을 두고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PBL 사례연구가 가장 많이 실시된 학교급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순으로 많았으며 수업형태는 협력수업보다는 단독수업진행이 대부분이었다. PBL을 적용한 교과목계열은 자연과학, 인문사회, 예체능계열 순으로 많았으며 도서관과 협력하여 실행된 PBL수업은 저조하였다. PBL수업의 주된 교육적 효과로는 학업성취도, 만족도,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초로 학교현장에서 도서관협력수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사서교사들의 적극적인 인식전환 뿐만 아니라 PBL수업에 집중하여 교과교사와 수업지도안 설계단계부터 평가에 이르기까지 협력하여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ases related with PBL and to suggest the activation plan of LAI based on the derived results. The analysis objects were the PBL cases which have been performed from 2000 to 2018 in Korean schools. The PBL cases were analysed in the aspects of school lev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학습 선행 사례연구들을 기반으로 문제해결학습 수업의 현황, 문제해결학습 수업 대상 교과목, 문제해결학습 실행 학교급과 학년, 협력수업 형태, 정보원 유형, 정보표현 방법 등을 조사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학교도서관이 문제해결학습기반의 도서관협력수업을 실행할 경우 성공적인 협력수업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해결학습 수업방법이 국내 초·중등교육 현장에 도입되어 사례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000년대 초기부터 2018년 현재까지 수행된 국내 문제해결학습 사례연구들로 한정하여 조사하여 도출된 기초자료를 근거로 문제해결학습 수업과 학교도서관의 도서관협력수업을 연계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 우리나라의 초·중등학교 현장에서 실행된 문제해결학습 수업의 설계와 실행에 관한 사례연구를 살펴보고, 학교도서관의 문제해결학습기반 도서관협력수업의 활성화를 견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 주도적 학습으로의 변화로 인해 학교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는 대안적 교수법은 무엇이 있는가? 즉, 지식정보사회에서 교육의 방법은 학습자 중심에서 지식자원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방향으로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교수학습방법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학교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는 대안적 교수법으로는 문제해결학습(PBL: Problem Based Learning) 프로젝트기반학습(PBL: Project Based Learning), 자원기반학습(RAL; Resource Based Learning) 등이라고 볼 수 있다.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때, 학습자들이 학습목표에 도달하게 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방법인 문제해결학습, 프로젝트기반학습, 자원기반학습들에서는 공통적으로 학습주제에 알맞은 학습문제를 교수자가 제시하거나 학습자들이 스스로 학습문제를 선정하는 것으로 학습자의 학습활동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학습자들은 주어진 학습문제가 정확하게 무엇인지를 인지하고 다양한 해결방법을 모색한 후, 적합한 정보원을 검색하여 관련 정보와 지식을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표현을 수행함으로서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목표에 도달하게 하는 것이다.
기존 산업사회와 비교하여 지식정보사회에서의 교수학습방법의 변화는? 지식정보사회는 지식과 정보가 자원으로서 부의 원천이 되는 사회이다. 지식정보사회는 기존 산업사회의 교육기저인 교수자중심의 교수학습형태와 단순 지식만을 주입시키는 교수학습형태에서 탈피하여 학습자 중심의 입장에서 자기 주도적 학습 형태로의 교수학습방법을 중요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Park, In-ok. 1999. A study on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economic problem solving skill: centering on the effects of rational consumption. M.A. thesis, Seoul University. 

  2. Yang, So-Ra. 2009. Meta-analysis and empirical study on the educational excellence of students through library-assisted instruction. M.A. thesis, Yonsei University. 

  3. Lee, Bo-Ra. 2008. A Study on the class teacher awareness about the school library use. M.A. thesis, Kyunggi University. 

  4. Lee, Jong-Du. 2000. A PBL(Problem-Based Learning) case study on elementary mathematic class: The learner as a knowledge constructor and diverse mathematical ideas. M.A. thesis, Kyung Hee University. 

  5. Lee, Young-Suk. 2008.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bout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M.A. thesis, Chung-Ang University. 

  6. AASL & AECT. 1988. Information Power: guidelines for school library media program. Chicago: ALA. 

  7. Clark, L. H. & I. S. Starr. 1967. Secondary School Teaching Methods, 2nd ed(N. Y.: The MaCmillan Co), p.408. 

  8. Delisle, R. 1997. How to use problem based learning in the classroom.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9. Gallagher, S. A. Stepien. W. J. Sher, B. T. &Workman, D. 1995. "Implementing problem based learning in science classroom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5(3): 136-146. 

  10. Haycock, Carol-Ann. 1988.Cooperative Program Planning : A Model that works. Emergency Librarian, 16(2): 34-48. 

  11. Jonassen, D. H. 1997.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well-structured and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learning outcomes." ETR & D. 45(1): 65-94. 

  12. Savery, J. R. & Duffy, T. M. 1995. "Problem based learning : An instructional model and its constructivist framework." Educational Technology, 35: 31-38. 

  13. Shaplin, J. T. , Team Teaching in R. Grossand, J. Murphy(eds.). 1964. The Revolution in the Schools, New York, Harcourt Brace & World Inc. p.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