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포츠 손상 환자 치료 현황 조사: 발목 염좌를 중심으로
A Survey on the Treatment of Sports Injury Patients: Focusing on Ankle Sprai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35 no.4, 2018년, pp.174 - 186  

하도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락의과학과) ,  원지윤 (경희대학교 대학원 기초한의과학과) ,  장세인 (대한스포츠한의학회) ,  이향숙 (경희대학교 침구경락융합연구센터) ,  김송이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urve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ports injury patients in Korean medical institutions by Korean Medicine Doctors (KMDs) and the treatment patterns of Korean medicine for ankle sprain which is one of the common sports injuries. Methods : An onli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스포츠 손상 중 발목 염좌에 대한 인식 및 경험: 한방의료기관에 내원하는 발목 염좌 환자 수(일주일 기준)를 조사하였으며,발목 염좌 환자 진료를 위한 프로세스(진단, 치료, 예후평가)에 따라 한의사의 치료 경험을 질문하였다. 가) 진단과 관련하여 진단,검사 시 고려하는 항목(골절 유무, 부종 정도, 통증 정도, 관절가동범위, 보행 시 불편감, 체중 부하 검사, 뼈의 정렬 검사 등의 활용)과진단 시 의료기기 활용 여부(활용 시 활용방법과 미활용 시 그 이유)를 알아보았다. 나) 치료와 관련하여 주로 활용하는 치료 중재의 종류(복수응답 허용)를 선택하게 하고, 그 중 침 치료와 한약 치료의 목표와 처방 근거에 대한 한의사의 생각을 조사하였다.
  • ① 최근 5년간 대한스포츠한의학회 내 개설되어 있는 ‘팀닥터 프로그램’의 최근 5년 이수자에게 온라인 설문조사가 포함된 이메일을 발송하였고; ② 대한스포츠한의학회 이사 및 간사진의 단체메신저 대화방에 온라인 설문조사 링크를 제시한 이후 연구의 포함기준에 해당하는 사람들에게 설문 링크를 확산시키는 방식의 비확률적 표본추출 기법(스노우볼 표집)을 사용하였다. 가능한 한 전수조사를 함으로써 조사의 정확성을 높여야 하나, 한정된 연구비 및 연구 기간의 문제로 200명의 대상자 모집을 목표로 하였다.
  • 질문유형은 내용에 따라 객관식(단일, 혹은 복수 응답), 단답형을 비롯한 개방형 질문(open-ended question) 등이 활용되었다. 객관식 문항의 경우 스포츠한의학 전문가의 검토를 받아 내용 타당성을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필수 문항에 대해서는 응답한 경우에만 설문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하였고, 질문 문항의 카테고리에 따라 페이지의 완결성을 주어 피험자가 순차적으로 응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 본 설문조사는 한방의료기관에 내원하는 스포츠 손상 환자의 전반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한방의료기관에 가장 많이 내원하는 스포츠 손상인 발목 염좌에 대한 한의사의 진료 방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되었으며 총 276명이 참여하였다.
  • 본 연구는 스포츠 손상에 대한 관심이 있는 한의사를 대상으로 연구하기 위해 비확률적 표본추출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대상자를 모집하였다. 대상자의 특성 때문인지 확인할 수 없지만, 응답자의 절반 이상은 스포츠 손상이 일반 근골격계 치료와는 치료 목표, 재발 가능성, 손상 원인에 차이가 있음을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본 연구는 한방의료기관에 내원하는 스포츠 손상 환자의 전반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한방의료기관에 가장 많이 내원하는 스포츠 손상인 발목 염좌에 대한 한의사의 진료 방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된 설문조사로 총 276명의 한의사가 참여하였다. 스포츠 손상으로 발목, 등/허리, 어깨 문제가 많았고, 손상의 형태는 염좌/좌상이 많았다.
  • 이에 본 연구는 한의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① 한방의료기관에 내원하는 스포츠 손상 환자의 전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② 한방의료기관에 다빈도로 내원하는 스포츠 손상 중 하나인 발목 염좌에 대한 한의사의 진료 방식에 대한 조사를 함으로써 스포츠한의학의 현주소를 일선 한의사의 시점에서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방의료기관에 내원하는 스포츠 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실제 내원 환자와 한의사들이 생각하는 치료 범위는 어떤 차이가 있었는가? 한편, 실제로 내원 환자의 스포츠 손상 종류와 한의사들이 생각하는 치료 범위 간에 온도차가 약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원한 환자의 손상 종류는 염좌 및 좌상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그 밖에 타박상, 인대파열, 근육파열이 각각 30% 수준인 반면, 70% 이상의 응답자가 한의약 치료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스포츠 손상의 종류로 염좌, 좌상뿐만 아니라 타박상, 근육, 인대파열, 추간판탈출증을 꼽았다. 특히, 골절, 탈구와 같은 손상은 실제로는 거의 한방의료기관에 내원하지 않으나 2∼30%의 한의사들은 한의약 치료 중재가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현재 스포츠의학의 범주는 어떠한가? 현재 스포츠의학은 이러한 전문 운동선수의 스포츠 관련 외상의 치료와 재활, 예방뿐만 아니라 스포츠를 즐길 수 있도록 노화, 질병,외상 등으로 저하된 체력을 증진하는 것까지 포괄하는 넓은 범주로 접근하고 있다3). 한의학 분야에서는 이러한 스포츠의학의 넓은 개념이 이미 일차 의료기관에서 적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선수 대상 스포츠 손상에 대한 적극적 접근이 학회, 개인 등의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스포츠 손상은 무엇인가? 스포츠 손상은 ‘운동에 의한 모든 급만성 신체손상’1)으로 미국대학체육협회(NCAA;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는‘경기나 훈련 때문에 일어난 손상으로, 트레이너 혹은 의사가 하루 이상 경기나 훈련에 참여할 수 없다고 판단한, 의학적 관찰이 필요한 상태’라고 정의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Min YG, Marathon and a role of a team doctor. korean Journa1 of oriental sports medicine. Korean Journal of Oriental Sports Medicine 2002;2:180-7. 

  2. Dick R, Agel J, and Marshall SW. 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 injury surveillance system commentaries: Introduction and methods. J Athl Train 2007;42:173-82. 

  3. Park, Won Hah. Present and future of sports medicine. JKMA :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 대한의사협회지, vol.54, no.7, 671-.

  4. Jeon M, and Bae S. The study of athlete patients visited korean medical clinic in CheongJu-gym at the 2016 CheonhJu world martial arts masterships. Journal of Sports Korean Medicine 2016;16:51-6. 

  5. Oh M, Lee S, Shin J, and Cho J. The study of patients visited korean medical clinic in athletes'village polyclinic at the 2014 incheon asian paralympic. Journal of Sports Korean Medicine 2016;15:1-6. 

  6. Oh M, Son I, Shin J, and Cho J. The study of patients visited korean medical clinic in athletes'village hospital at the 28 th universiade gwanju korea. Journal of Sports Korean Medicine 2016;16:1-7. 

  7. Park J, Lee S, Shin J, and Cho J. The study of patients visited korean medical clinic in athletes'village polyclinic at the 2014 incheon asian paralympic. Journal of Sports Korean Medicine 2016;15:11-23. 

  8. In pyeongchang olympics, with the first officially recognized korean medicine treatment by IOC. [Internet] 2018. Available from: http://osen.mt.co.kr/article/G1110837806 [updated 02.18;cited 2018.08.30] 

  9. How were the grades of korean medicine poly clinic in pyeongchan winter olympic? [Internet] 2018. Available from: http://www.akomnews.com/?p=394560 

  10. Yang, Changsop, Lee, Eunyoung, Hwang, Eui-Hyoung, Kwon, Ojin, Lee, Jun-Hwan. Management of Sport Injuries with Korean Medicine: A Survey of Korean National Volleyball Team.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 eCAM, vol.2016, 8639492-.

  11. Rosted, Palle. Acupuncture for Treatment of the Yips? - a Case Report. Acupuncture in medicine : journal of the British Medical Acupuncture Society, vol.23, no.4, 188-189.

  12. Wilkerson, Gary. Patient-Centered Care and Conflict of Interests in Sports Medicine-Athletic Trai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athletic therapy & training, vol.17, no.4, 1-3.

  13. Statistics of the top 10 most frequent diseases in korea. [Internet] 2017. Available from:https://endic.naver.com/search.nhn?sLn=kr&query=top%2010 

  14. Watura, C, Barton, C, Webborn, N, Maffulli, N, Morrissey, D. SPORTS INJURIES AT THE OLYMPICS: A REVIEW OF INCIDENCE RELATED DATA FROM PAST GAMES AND THE IMPLICATIONS FOR FUTURE MULTI-SPORT EVENTS.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47, no.17, e4-e4.

  15. Junge, Astrid, Engebretsen, Lars, Mountjoy, Margo L., Alonso, Juan Manuel, Renström, A.F.H., Aubry, Mark John, Dvorak, Jiri. Sports Injuries During the Summer Olympic Games 2008.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37, no.11, 2165-2172.

  16. Brukner P, and Khan K. Brukner & Khan's clinical sports medicine. Sydney: McGraw-Hill; 2012 p. 19-20. 

  17. Beynnon, Bruce D, Renström, Per A, Alosa, Denise M, Baumhauer, Judith F, Vacek, Pamela M. Ankle ligament injury risk factors: a prospective study of college athletes. Journal of orthopaedic research : official publication of the Orthopaedic Research Society, vol.19, no.2, 213-220.

  18. Verhagen, E A L M, Bay, K. Optimising ankle sprain prevention: a critical review and practical appraisal of the literature.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44, no.15, 1082-10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