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ute sprain of the ankle requires comprehensive history taking and physical examination in diagnosing the type of severity and deciding on the plan of treatment. Literature supports functional treatment a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grade I and II injuries. During the acute phase, the goal of t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능적 치료는 3단계로 나뉘며, 최종적으로는 손상된 인대의 자연적 치유 과정을 이루어 환자의 재수상을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선 1단계(phase one) 치료는 족관절의 부종과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PRICE (protection, rest, ice, compression, and elevation)로 대표되는 안정가료를 시행하는 것을 말하며, 1단계 치료는 환자의 압통과 부종이 감소하여 체중부하 보행을 할 수 있을 때 까지의 시간이다.
  • 하나의 외상 또는 질환에 대하여 근거 중심의 진단과 치료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다 보니 검사 및 치료에 소요되는 비용이 중복되는 부작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문헌 고찰을 통해 족관절의 급성 염좌에 대하여 근거에 기반한 올바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 방침을 알아보고자 한다.
  • 한편, 자기공명영상 검사는 급성손상 시 최소 2주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환자가 지속적으로 통증을 호소하며 족관절 운동 범위의 회복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외측부 인대의 손상 이외에 다른 문제들 즉, 거골의 골연골 병변이나 원위 경비인대 결합의 손상(high ankle sprain), 거골하 관절의 인대 또는 비골건의 손상과 같은 동반 손상의 유무를 감별하기 위해 시행한다.12,13)비골건의 손상은 족관절 염좌 환자에게서 종종 동반되며, 이의 기질 내 파열이나 아탈구는 기능적 불안정성(functional ankle instability)의 중요한 이유가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성 염좌의 특징은 무엇인가? 족관절에 과도한 내번력이 가해져 외측 인대 복합체의 손상이 유발되는 급성 염좌는 근골격계 손상에서 다수의 빈도를 차지하고 있는 외상이다. 급성 염좌를 수상한 환자들 중 10%에서 30%는 재손상을 경험하며, 특히 운동선수의 경우 재손상의 비율이 80% 까지 높게 보고되는 등 만성적인 족관절의 불안정으로 이행하기도 한다.
급성 염좌를 겪은 환자들 중 어느 정도가 재손상을 경험하는가? 족관절에 과도한 내번력이 가해져 외측 인대 복합체의 손상이 유발되는 급성 염좌는 근골격계 손상에서 다수의 빈도를 차지하고 있는 외상이다. 급성 염좌를 수상한 환자들 중 10%에서 30%는 재손상을 경험하며, 특히 운동선수의 경우 재손상의 비율이 80% 까지 높게 보고되는 등 만성적인 족관절의 불안정으로 이행하기도 한다.1-3) 흔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합병증을 유발할 수있는 족관절의 급성 염좌는 정형외과뿐만 아니라 다른 임상과는 물론, 한의학 및 침술치료 등의 대체의학 분야에서도 진단과 치료를 시행하고 있고, 진단 이론 및 치료 방법 또한 혼재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족관절의 급성 염좌에 대한 검사 및 치료에 소요되는 비용이 중복되는 경우가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3) 흔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합병증을 유발할 수있는 족관절의 급성 염좌는 정형외과뿐만 아니라 다른 임상과는 물론, 한의학 및 침술치료 등의 대체의학 분야에서도 진단과 치료를 시행하고 있고, 진단 이론 및 치료 방법 또한 혼재해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나의 외상 또는 질환에 대하여 근거 중심의 진단과 치료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다 보니 검사 및 치료에 소요되는 비용이 중복되는 부작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문헌 고찰을 통해 족관절의 급성 염좌에 대하여 근거에 기반한 올바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 방침을 알아보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Denegar CR, Miller SJ 3rd. Can chronic ankle instability be prevented? Rethinking management of lateral ankle sprains. J Athl Train. 2002;37:430-5. 

  2. Kobayashi T, Gamada K. Lateral ankle sprain and chronic ankle instability: a critical review. Foot Ankle Spec. 2014;7:298-326. 

  3. van Rijn RM, van Os AG, Bernsen RM, Luijsterburg PA, Koes BW, Bierma-Zeinstra SM. What is the clinical course of acute ankle sprain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m J Med. 2008; 121:324-31. 

  4. O'donoghue DH. Treatment of ankle injuries. Northwest Med. 1958;57:1277-86. 

  5. Balduini FC, Vegso JJ, Torg JS, Torg E.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of ligamentous injuries to the ankle. Sports Med. 1987;4:364-80. 

  6. Dias LS. The lateral ankle sprain: an experimental study. J Trauma. 1979;19:266-9. 

  7. Bachmann LM, Kolb E, Koller MT, Steurer J, ter Riet G. Accuracy of Ottawa ankle rules to exclude fractures of the ankle and midfoot: systematic review. BMJ. 2003;326:417. 

  8. Jackson DW, Ashley RL, Powell JW. Ankle sprains in young athletes. Relation of severity and disability. Clin Orthop Relat Res. 1974;(101):201-15. 

  9. Griffith JF, Brockwell J. Diagnosis and imaging of ankle instability. Foot Ankle Clin. 2006;11:475-96. 

  10. Lee KT, Park YU, Jegal H, Park JW, Choi JP, Kim JS. New method of diagnosis for chronic ankle instability: comparison of manual anterior drawer test, stress radiography and stress ultrasound.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14;22:1701-7. 

  11. Hua Y, Yang Y, Chen S, Cai Y. Ultrasound examination for the diagnosis of chronic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injury. Acta Radiol. 2012;53:1142-5. 

  12. Kwon DG, Sung KH, Chung CY, Park MS, Kim TW, Lee SH, et al. Associations between MRI findings and symptoms in patients with chronic ankle sprain. J Foot Ankle Surg. 2014;53:411-4. 

  13. Seah R, Mani-Babu S. Managing ankle sprains in primary care: what is best practice? A systematic review of the last 10 years of evidence. Br Med Bull. 2011;97:105-35. 

  14. Strauss JE, Forsberg JA, Lippert FG 3rd.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and associated conditions: a rationale for treatment. Foot Ankle Int. 2007;28:1041-4. 

  15. Franson J, Baravarian B. Lateral ankle triad: the triple injury of ankle synovitis, lateral ankle instability, and peroneal tendon tear. Clin Podiatr Med Surg. 2011;28:105-15. 

  16. Kaikkonen A, Kannus P, Jarvinen M. Surgery versus functional treatment in ankle ligament tears. A prospective study. Clin Orthop Relat Res. 1996;(326):194-202. 

  17. Povacz P, Unger SF, Miller WK, Tockner R, Resch H. A randomized, prospective study of operative and non-operative treatment of injuries of the fibular collateral ligaments of the ankle. J Bone Joint Surg Am. 1998;80:345-51. 

  18. Shrier I. Treatment of lateral collateral ligament sprains of the ankle: a critical appraisal of the literature. Clin J Sport Med. 1995;5:187-95. 

  19. Pijnenburg AC, Bogaard K, Krips R, Marti RK, Bossuyt PM, van Dijk CN. Operative and functional treatment of rupture of the lateral ligament of the ankle. A randomised, prospective trial. J Bone Joint Surg Br. 2003;85:525-30. 

  20. Pijnenburg AC, Van Dijk CN, Bossuyt PM, Marti RK. Treatment of ruptures of the lateral ankle ligaments: a meta-analysis. J Bone Joint Surg Am. 2000;82:761-73. 

  21. Brooks SC, Potter BT, Rainey JB. Treatment for partial tears of the lateral ligament of the ankle: a prospective trial. Br Med J (Clin Res Ed). 1981;282:606-7. 

  22. Clark BL, Derby AC, Power GR. Injuries of the lateral ligament of the ankle. Conservative vs. operative repair. Can J Surg. 1965;8:358-63. 

  23. Gronmark T, Johnsen O, Kogstad O. Rupture of the lateral ligaments of the ankle: a controlled clinical trial. Injury. 1980;11:215-8. 

  24. Korkala O, Rusanen M, Jokipii P, Kytomaa J, Avikainen V. A prospective study of the treatment of severe tears of the lateral ligament of the ankle. Int Orthop. 1987;11:13-7. 

  25. Evans GA, Hardcastle P, Frenyo AD. Acute rupture of the lateral ligament of the ankle. To suture or not to suture? J Bone Joint Surg Br. 1984;66:209-12. 

  26. Kerkhoffs GM, Handoll HH, de Bie R, Rowe BH, Struijs PA. Surgical versus conservative treatment for acute injuries of the lateral ligament complex of the ankle in adult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7;(2):CD000380. 

  27. Karlsson J, Sancone M. Management of acute ligament injuries of the ankle. Foot Ankle Clin. 2006;11:521-30. 

  28. Snook GA, Chrisman OD, Wilson TC. Long-term results of the Chrisman-Snook op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the lateral ligaments of the ankle. J Bone Joint Surg Am. 1985;67:1-7. 

  29. Sommer HM, Arza D. Functional treatment of recent ruptures of the fibular ligament of the ankle. Int Orthop. 1989;13:157-60. 

  30. Beynnon BD, Renstrom PA, Haugh L, Uh BS, Barker H. A 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investigation of the treatment of first-time ankle sprains. Am J Sports Med. 2006;34:1401-12. 

  31. Kerkhoffs GM, Struijs PA, Marti RK, Blankevoort L, Assendelft WJ, van Dijk CN. Functional treatments for acute ruptures of the lateral ankle ligament: a systematic review. Acta Orthop Scand. 2003;74:69-77. 

  32. Weber JM, Maleski RM. Conservative treatment of acute lateral ankle sprains. Clin Podiatr Med Surg. 2002;19:309-18. 

  33. Kerkhoffs GM, Struijs PA, Marti RK, Assendelft WJ, Blankevoort L, van Dijk CN. Different functional treatment strategies for acute lateral ankle ligament injuries in adult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2;(3):CD002938. 

  34. Bleakley CM, McDonough SM, MacAuley DC, Bjordal J. Cryotherapy for acute ankle sprains: a randomised controlled study of two different icing protocols. Br J Sports Med. 2006;40:700-5. 

  35. Bleakley C, McDonough S, MacAuley D. The use of ice in the treatment of acute soft-tissue injury: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m J Sports Med. 2004;32:251-61. 

  36. Thompson C, Kelsberg G, St Anna L, Poddar S. Clinical inquiries. Heat or ice for acute ankle sprain? J Fam Pract. 2003;52:642-3. 

  37. Dalton JD Jr, Schweinle JE. Randomized controlled noninferiority trial to compare extended release acetaminophen and ibuprofen for the treatment of ankle sprains. Ann Emerg Med. 2006;48:615-23. 

  38. Petrella R, Ekman EF, Schuller R, Fort JG. Efficacy of celecoxib, a COX-2-specific inhibitor, and naproxen in the management of acute ankle sprain: results of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J Sport Med. 2004;14:225-31. 

  39. Moran M. Double-blind comparison of diclofenac potassium, ibuprofen and placebo in the treatment of ankle sprains. J Int Med Res. 1991;19:121-30. 

  40. Kim KH, Ryu JH, Park MR, Kim YI, Min MK, Park YM, et al. Acupuncture as analgesia for non-emergent acute non-specific neck pain, ankle sprain and primary headache in an emergency department setting: a protocol for a parallel group, randomised, controlled pilot trial. BMJ Open. 2014;4:e004994. 

  41. van den Bekerom MP, van der Windt DA, Ter Riet G, van der Heijden GJ, Bouter LM. Therapeutic ultrasound for acute ankle sprain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1;(6):CD0012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