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비형식 과학 교육 연구 경향 분석: 교육적 관점을 중심으로
Trend Analysis of Informal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 Korea: Focus on Educational Perspectives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2 no.3, 2018년, pp.293 - 307  

장은진 (서울대학교)

초록

이 연구에서는 앞으로 비형식 과학 학습 연구가 추구해야 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기존의 비형식 과학 학습 관련 연구들이 다루어온 교육적 관점을 각 분야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근 6년간 발행한 비형식 과학 학습 관련 학술지 144편을 대상으로 하여 각 연구에서의 교육적 관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학적 실천 참여나 정서 고양, 지식의 이해에 관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졌지만,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대한 연구는 드물게 이뤄지는 등 몇 가지 교육적 관점에 치우쳐서 연구가 이뤄진 경향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경향은 각 분야 세부 매체별에서도 나타났는데, 치우친 양상은 매체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형식 교육의 보조가 아닌 비형식 과학 학습 그 자체로서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보고, 추구하고자 하는 바를 깊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 매체별 연구에 있어서 다양한 교육적 관점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direction of informal science education research by analyzing them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s of informal science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144 journals related to informal science education that have been issued in the l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렇기에 각 매체별로 비형식 과학 학습이 그 목적을 다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비형식 과학 교육의 교육적 관점에서 관련 연구가 지금까지 다뤄온 관점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정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비형식 과학 교육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야 할 6가지의 교육적 관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국내 비형식 과학 학습 관련 연구가 어떤교육적인 관점을 다뤄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최근 6년간 비형식 과학 학습 관련 연구에서 다루는 교육적 관점을 세부 분야별로 살펴보았는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이 연구에서는 비형식 교육 관련 연구 전반에서 다뤄온 교육적 관점과 각 분야별로 다뤄진 교육적 관점을 분석하였다. 교육적 관점의 경우 앞서 Table1에서 제시한 교육적 관점을 기준으로1) 정서 고양, 2) 지식의 이해, 3) 기술의 습득, 4) 과학 본성에 대한 이해, 5) 과학적 실천, 6) 정체성 확립 등으로 각 논문의 교육적 관점을 분석하였다.
  • 이렇게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현재 비형식 과학 학습의 교육적 관점을 다루는 데 있어서 문제는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점에 보다 관심을 가져야 하는 지 살펴보았다. 단, 이 연구에서는 최근 6년간의 비형식 과학 학습 관련 국내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기에, 시기에 따른 교육적인 관점의 변화와 같은 측면에 대해 알아보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 지금까지 현재까지의 국내 비형식 과학 학습 관련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교육적 관점에 대해 살펴 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몇 가지 시사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를 보완하여, 학교에서 이뤄지는 과학 교육의 보조로서가 아닌, 비형식 교육 그 자체로서의 가치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형식 과학 교육이 추구하는 교육적관점에 관한 연구는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가? 비형식 과학 교육이 추구해야 하는 교육적 관점에 대한 연구는 크게 평생 교육을 포함한 비형식 교육으로서의 일반적인 비형식 교육 매체의 교육적 관점과, 학교교육의 연장으로서 과학 교육의 일부로서 비형식 교육의 교육적 관점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평생 교육을 포함한 비형식 교육에 대해서 Kim(2009)은 박물관 교육의 특징을 제시하며 비형식교육은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하고, 지식과 가치를 전달하며, 평생교육을 위한 전문적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여 자아실현의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교육적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포괄적 학습 목표란 무엇인가? 또한 Baik(2005)은 비형식 교육의 교육적 목적은 학습자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데 있다고 했으며, HooperGreenhill(2007)은 비형식 학습의 포괄적 학습 목표(Generic Learning Objects)를 통해 비형식 교육의 교육적 관점을 제시하였다. 포괄적 학습 목표란 다양한 비형식 교육 기관에서 문화나 매체 특성에 관계없이 추구할 수 있는 목표로1)지식과 이해, 2) 기술, 3) 태도와 가치, 4) 기쁨•동기•창의성, 그리고5) 비형식 교육 활동 실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Farahani, Mirzamohamadi & Noroozi(2014)는 포스트모더니즘 사회에서 비형식 교육이 추구해야 하는 목표로서 교육적 관점을 크게 삶의 질 향상을 주장하였고, 그에 따른 부수적인 목표로 문제해결 능력과 물리적 힘 또는 협업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 비판적 시민 의식 등을 제시하였다.
비형식 과학 학습 연구가 추구해야 할 방향을 모색하기위해 분석한 내용은 무엇인가? 이 연구에서는 앞으로 비형식 과학 학습 연구가 추구해야 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기존의 비형식 과학 학습 관련 연구들이 다루어온 교육적 관점을 각 분야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근 6년간 발행한 비형식 과학 학습 관련 학술지 144편을 대상으로 하여 각 연구에서의 교육적 관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학적 실천 참여나 정서 고양, 지식의 이해에 관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졌지만,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대한 연구는 드물게 이뤄지는 등 몇 가지 교육적 관점에 치우쳐서 연구가 이뤄진 경향이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bd-El-Khalick, F., Waters, M., & Le, A. P. (2008). Representations of nature of science in high school chemistry textbooks over the past four decad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5(7), 835-855. 

  2. Baik, Y. (2005). Museum Education in the Age of Multimedia. Seoul: Yekyong. 

  3. Beer, V. (1990). The problem and promise of museum goals. Curator: The Museum Journal, 33(1), 5-18. 

  4. Bell, P., Lewenstein, B., Shouse, A. W., & Feder, M. A., (Eds.). (2009). Learning Science in Informal Environment.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5. Crane, V., Chen, M., Bitgood, S., Serrell, B., Thompson, D., Nicholson, H., Weiss, F., & Campbell, P. (1994). Informal Science Learning: What the Research Says About Television, Science Museums, & Community-Based Projects. Research Communications, Limited. 

  6. Deci, E. L., & Ryan, R. M. (2010). Selfdetermination. New York, NT: John Wiley & Sons, Inc. 

  7. Druger, M., &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NSTA]. (1988). Science for the fun of it: A guide to informal science education. Washington, DC: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8. Duschl, R. A., Schweingruber, H. A., & Shouse, A. E. (Eds.). (2007).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9. Ellenbogen, K. M., Luke, J. J., & Dierking, L. D. (2004). Family learning research in museums: An emerging disciplinary matrix? Science Education, 88(Suppl. 1), s48-s58. 

  10. Falk, J. H. (2016). Identity and the museum visitor experience. Oxford, UK: Routledge. 

  11. Falk, J. H., & Dierking, L. D. (2000). Learning from museums: Visitor experiences and the making of meaning. Lanham, MD: AltaMira Press. 

  12. Falk, J. H., & Dierking, L. D. (2013). The museum rxperience tevisited. Walnut Creek, CA: Left Coast Press, Inc. 

  13. Farahani, M. F., Mirzamohamadi, M. H., & Noroozi, N. (2014). The study on features of informal education in postmodernism.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36, 559-563. 

  14. Fenichel, M., & Schweingruber, H. A. (2010). Surrounded by science.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15. Hidi, S., Renninger, A., & Krapp, A. (2014). Interest, a motivational variable that combines affective and cognitive functioning. In A. Renninger, S. Hidi, & A. Krapp (Eds.). The role of interest in learning and development. New York, NT: Psychology Press. 

  16. Hooper-Greenhill, E. (2007). Museums and education: Purpose, pedagogy, performance. Oxford, UK: Routledge. 

  17. Holland, D., Lachicotte, W., Skinner, D., & Cain, C. (1998). Identity and agency in cultural world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8. Hull, G. A., & Greeno, J. G. (2006). Identity and agency in nonschool and school worlds. Counterpoints, 249, 77-97. 

  19. Kim, C., Shin, M., & Lee, S. (2010). Understanding Informal Science Learning. Seoul: Bookshill. 

  20. Kim, D.-H., & Hong, S.-H. (2015). Development of field learning area on geology units in elementary science at Jeju-do - Focused on the unit of 'Strata and Fossils' -,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6(2), 24-45. 

  21. Kim, J. (2009). Theory and Practice of Museum Education. Seoul: Moonumsa. 

  22. Kim, M.-H., Jeong, D.-H., Park, Y.-S., & Chung, W.-K. (2016). Exploring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development on exhibits at the nuclear information hall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7(6), 373-386. 

  23. Kim, J.-M., Yoo, M.-H., & Kwak, S.-J. (2017). Exploring 5 years old children's experience through science exhibits and connected activities in science museum.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21(4), 131-168. 

  24. Kim, S. K., Park, E. J., Kim, C. J., & Choe, S. U. (2016).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astronomical exhibits: Focus on exhibit characteristics and earth science curriculum reflected in exhibi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6), 925-934. 

  25. Kim, Y., Paik, S.-H., Choi, S. Y., Kang, N.-H., Maeng, S., & Joung, Y. J. (2015). Analysis on the trends of science education studies related to students' science learning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4), 751-772. 

  26. Kwon, H., Kang, H., & Kwon, N. (2017). The development of experiential places and a task-based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in 3-4th grade curriculum of 2009.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6(3), 273-285. 

  27. Lederman, N. G. (199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31-359. 

  28. Lederman, N. G. (2007). Nature of science: Past, present, and future. In S. K. Abell, & N. G. Lederman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pp. 831-879).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9. Marsick, V. J., & Volpe, M. (1999). The nature and need for informal learning. Advances in Developing Human Resources, 1(3), 1-9. 

  30.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 Science Curriculum. Notification No.2015-74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31.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1).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32. Nickels, A. L. (2008). An exploration of visitors' conservation attitudes, expectations, and motivations at three informal education institutions in Newport, Oreg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s://ir.library.oregonstate.edu/xmlui/handle/1957/9100. 

  33. Ryu, J. & Kim, M. J. (2016). Linking School Curriculum with Education in Science Museum.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2(3), 73-98. 

  34. Schibeci, R. A. (1989). Home, school, and peer group influences on student attitudes and achievement in science. Science Education, 73(1), 13-24. 

  35. Schiefele, U. (1991). Interest, learning, and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26(3-4), 299-323. 

  36. Seo, Y. M., & Kim, N. H. (201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ores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6(5), 285-313. 

  37. Duschl, R. A., Schweingruber, H. A., & Shouse, A. W. (2007).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38. Stocklmayer, S. M., Rennie, L. J., & Gilbert, J. K. (2010). The roles of the formal and informal sectors in the provision of effective science educat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46(1), 1-44. 

  39. Wellington, J. (1991). Newspaper science, school science: friends or enem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3(4), 363-372. 

  40. Wellington, J., & Ireson, G. (2013). Science learning, science teaching. Oxford, UK: Routledg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