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일반계 고등학교 과학과제 연구 수업의 주제 선정을 위한 실천 매뉴얼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actice Manual Focused on Science Topic Selection Stage in General High School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2 no.3, 2018년, pp.371 - 389  

김애라 (구미선산고등학교) ,  박다혜 (대구관남초등학교) ,  박종석 (경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주제 선정부터 결론 도출까지 학생 주도적으로 이루어지는 과학 탐구가 포함된 학생 연구 활동에서 학생과 교사들이 공통적으로 '주제 선정 단계'를 특히 어려워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주제 선정 단계'를 중심으로 한 과학과제 연구 수업 실천 매뉴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및 문헌들을 통해 이론적 기조가 되는 내용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내용이 실제 수업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실천적 지식에 근거하여 4단계 16차시 분량의 수업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각 단계는 <오리엔테이션>, <소논문 리뷰 & 발표>, <다양한 정보원에서 과학 연구주제 찾기>, <최종 과학 연구주제 작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3단계 '다양한 정보원에서 과학 연구주제 찾기'에서 영상, 신문기사, 과학잡지, 전통지식, 속담, 일상생활, 교과서 실험 속 연구주제 찾기의 세부 수업 활동을 통해 과학적 의문을 찾고 이를 연구주제로 발전시키도록 한다. 개발된 내용은 경상북도 G시 읍면지역의 일반계 S고등학교 2학년 자연반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실험반은 개발된 수업 실천 매뉴얼에 따라, 대조반은 기존의 일반적인 과제 연구수업 단계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고, 학생들이 작성한 최종 과학 연구주제 작성지, 과학적 문제발견 능력 검사,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 수업 의견 조사지를 통해 적용된 수업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실험반에서는 교과서 실험, 속담, 유튜브 영상, 신문 기사, 개인별 WHY NOTE 등 다양한 정보원을 통해 최종 연구주제를 선정했으며, 과학 연구 주제의 조건을 이해하고 연구 제목에 변인을 드러내 표현하였다. 그러나 대조반에서는 일부 학생들이 선정한 연구주제의 연구 범위가 구체적이지 못하거나 학생 수준에서 연구할 수 있는 범위인지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작성했으며, 학생들에게 자율성을 최대한 많이 부여하다 보니 과제연구 활동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선행 연구물을 그대로 작성해서 제출하는 모둠이 많았다. 둘째, 과학적 문제발견 능력 검사 결과 대조반은14.84점에서 13.40점으로 1.44점 감소했으나(p>.05), 개발된 수업 실천 매뉴얼을 적용한 실험반의 경우 14점에서 25.42점으로 11.42점 증가(p<.05)하며, 하위 영역인 융통성, 정교성, 독창성 모두 점수가 상승함을 보였다. 셋째,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에서도 대조반의 경우 119.38점에서 116.96점으로 사전에 비해 사후 0.42점 감소(p>.05)하였으나, 실험반의 경우 119.80점에서 126.96점으로 10점 증가(p<.05)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주제 선정 단계' 중심 과제연구수업 실천 매뉴얼은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들이 과학과제 연구 수업을 할 때 수업의 안내서 및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적 문제 발견 능력을 향상시키고 과학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students and teachers commonly have difficulty in 'selecting the topic' in many activities including student-led research that is conducted from topic selection to the drawing of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anual for science teaching re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주제 선정 단계’를 중심으로 한 과학과제 연구 수업을 실천하고, 실천에 근거한 교수·학습 지도 전략을 ‘수업 실천 매뉴얼’로서 개발하여 적용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주제 선정 단계’를 중심으로 한 과학과제 연구 수업을 실천하고, 실천에 근거한 교수·학습 지도 전략을 ‘수업 실천 매뉴얼’로서 개발하여 적용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주제 선정 능력, 창의성, 과학적 태도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개발한 수업 실천 매뉴얼 활용의 효과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이는 학생 주도적인 연구 활동에서 학생과 교사가 가장 어려워하는 ‘주제 선정 단계’의 수업 안내서가 되어 과학과에서 최근 강조하고 있는 학생들의 역량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효율적인 과제연구 과정은? 과제연구 과정은 계획 단계 30%, 수행 단계 50%, 표현 단계 20% 비율로 운영되는 것이 효율적이다(A research group supporting science major schools, 2017). 이를 참고하여 Figure 1과 같이 과제 연구 수업을 한 학기 단위(1학기 기준)로 운영하고자 할 때 적용할 수 있는 단계를 나타내었다.
실제 과제 연구에서 학생과 교사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단계는 ‘주제 선정’인 것으로 나타난 이유는? 실제 과제 연구에서 학생과 교사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단계는 ‘주제 선정’인 것으로 나타났다(Kim,2015; Jung, 2014; Lee, 2012). 이는 학생들의 ‘연구하고 싶은 주제’와 교사들의 ‘연구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주제’의 차이 때문이다(Kim, 2015). 이와같이 학생 주도적인 과학 탐구에서 주제 선정 단계는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어려운 일임은 분명하다.
문제 해결 못지않게 연구주제의 선정은 매우 중요한 이유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치 있는 문제나 연구주제를 생성하고 선택하는 것은 문제 해결에 앞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며, 창의적이고 우수한 산출을 위해서 꼭 필요한 부분이다. 모든 연구의 출발점은 연구주제 선정이기 때문에 문제 해결 못지않게 연구주제의 선정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Ryu & Park,2014; Zion & Mendelovici,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 research group supporting science major schools. (2017). Guide to the research on science major schools. Seoul: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2. Fraser, B. J. (1981). TOSRA: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handbook. Hawthorn, Victoria: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3. Hur, M. (1993). Survey on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ce courses of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3(3), 334-340. 

  4. Jang, S. (2016). Find a topic of study for high school students. Gyeonggido: bookk Publication Co. 

  5. Jeon, K. (2017).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structional strategies using the group investigation and advanced laboratory equipment (GI-ALE) for the science-gifted students' collective intelligence implementation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6. Jeong, H., Shin, M., Park, J., & Heo, N. (2004). Rethinking the high ability students to foster their scientific research skill: Through an experimental designing test.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8), 674-683. 

  7. Jo, K. (1997). Measures to protect power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from lightning thunder. The proceedings of KIEE, 45(7), 18-24. 

  8. Jung, H. (2014). The effect of 'research' classes on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ce -related attitudes for high school students in science -Focused schools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9. Kang, E. (2014). The change of view toward science after taking research project in general high school class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ungbuk, Korea. 

  10. Kim, H. (2015). A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n paper writing and phase-based strategies for teaching science paper writing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1. Kim, J. (2000). Case analysis on the proc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setting scientific inquiry problem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2. Kim, S. (2004). Development of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cientific creativity and the variables related to creativity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3. Kim, S., Kim, B., Seo, H., Kim, Y., & Park, J. (2011). Improvement of students' problem finding and hypothesis generating abilities: Gifted science education program utilizing Mendel's law.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1(4), 1033-1053. 

  14. Kim, Y. (2009). Effects of project program on students' problem solving skills and attitude or interesting for science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class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5. Kwak, J., Paek, J., Jeong, S., Kim, J., Kim J., & Kwon, O. (2014).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dried ginger powder on improvement of nausea and vomiting associated with early pregnancy or motion sickn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47(1), 45-50. 

  16. Kwon, J., & Kim, B. (1994).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of the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4(3), 251-264. 

  17. Lee, B., Son, J., Lee, K., Park, J., Shim, K., & Lee, S. (2015). Study on model of 'science inquiry' textbook for studentsled inquiry and research. Seoul: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18. Lee, H. (2012).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teachers' experience supervising science fair (Master's thesis).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9.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 Science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5-74 of the MOE. Sejong: Author. 

  20. Park, E. (2017). The influence and change perception of Nature of science in high school students conducting research project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1. Park, Y., Jeong, H., & Lee K. Y. (2011). Exploring students' ability of 'Doing' scientific inquiry: The case of gifted students in science.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2), 225-238. 

  22. Ryu, S. (2008). Analysis of problem-finding activ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finding and problem solving of the scientifically - gift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23. Ryu, S., & Park, J. (2008).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cientific problem-finding for scientifically-gifted stud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2), 139-149. 

  24. Ryu, S., & Park, J. (2014). Analyzing the trend and creativity of entry in chemistry sector of national science exhibition.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8(6), 622-629. 

  25. Shin, S. (2006). Analyzing the scientific curiosity in concern with everyday living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recorded on the WHY NOTE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26. Yoon, H., & Park, S. (2010). The change of middle school students’ motivation for investigation through the extended science investiga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 137-154. 

  27. Zion, M., & Mendelovici, R. (2012). Moving from structured to open inquiry: Challenges and limits.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23(4), 383-39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