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질의 산림일자리 평가 기준 및 지표 개발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a and Indicators of Decent Forest Jobs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7 no.4, 2018년, pp.446 - 455  

한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장주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김기동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전현선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 산림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자리의 양과 질, 사회적 가치의 측면에서 산림일자리가 얼마나 양질인가를 평가하기 위한 3대 기준과 11개 지표를 개발하였다. 기준 및 지표의 중요도와 가중치는 산림일자리위원회, 학계 등 일자리 관련 전문가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을 통해 설정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35명의 전문가들은 '일자리 창출 잠재력'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선택하였으며, '일자리 질'이 '사회공헌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갖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지표의 가중치는 일자리 창출 잠재력의 '정책적 의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일자리 질의 '고용 안전성'을 다음으로 높게 인식하였다. 반면 일자리 질의 '임금 수준'은 가장 낮은 가중치를 나타내었다. 개발된 기준과 지표는 신규 산림일자리는 물론 기존의 산림일자리에 대한 양질의 일자리 평가 수단으로써 활용이 가능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respect to the quantity, quality and social value of forest jobs, we have developed three major criteria and 11 indicators for evaluating decent forest jobs. The importance and weighted value of the criteria and indicators were investigated through a survey which was conducted on 50 experts inv...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자리의 양과 질, 사회적 가치의 측면에서 산림일자리가 얼마나 양질인가를 평가하기 위한 3대 기준과 11개 지표를 개발하였다. 산림일자리 관련 전문가들은 ‘일자리 창출 잠재력’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선택하였으며, ‘일자리 질’이 ‘사회공헌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갖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 산림일자리가 정책의 방향을 명확히 담아 양질의 일자리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개별 산림일자리의 내용과 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자리의 양과 질, 사회적 가치의 측면에서 새롭게 창출되는 산림일자리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과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정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 선정된 기준과 지표, 가중치는 양질의 산림일자리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기 위한 목적을 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일자리의 상대적 평가나 정책 마련에 개발된 기준과 지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도출된 가중치를 적용한 지수화 작업을 Song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일자리가 정책의 방향을 명확히 담아 양질의 일자리로 전환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산림일자리가 정책의 방향을 명확히 담아 양질의 일자리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개별 산림일자리의 내용과 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자리의 양과 질, 사회적 가치의 측면에서 새롭게 창출되는 산림일자리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과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정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산림청에서 제시한 『산림일자리 종합 대책』(KFS, 2017)의 중요한 목표는 무엇인가? 산림청은 『산림일자리 종합 대책』(KFS, 2017)을 통해 안정적 장기 일자리 비중을 확대1)하는 등 양질의 산림일자리 창출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을 제시하였다. 고용의 질개선과 사회적 가치 제고는 산림일자리 정책의 중요한 목표다. 산림청은 급여가 낮고 단기고용 위주의 공공 재정일 자리의 비중을 낮추고 양질의 민간일자리 비중을 높이는 재정투자 및 고용창출 계획을 추진 중이다(KFS, 2017).
국제노동기구(International Labour Office: ILO)는 양질의 일자리를 무엇으로 정의하는가? 국제노동기구(International Labour Office: ILO)는 양질의 일자리를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하는 것으로, 근무조건이 적절하며 일과 생활 간의 균형이 가능하고 차별이 없는 일자리”로 정의한다(ILO, 2002). 양질의 일자리 증진은 유엔의 2030 어젠다에도 포함된 17개 지속가능발전 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중 하나다(UN,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onnet, J., Figueiredo, J.B. and Standing, G. 2003. A family of decent work indexes. International Labour Review 142(2): 213-238. 

  2. Han, H., Chang, C.Y., Kim, K.D., Bae, J.S., and Jeon, H.S. 2018a. Prospects and Policy Directions for Forest Jobs. pp. 47-72. In: Kim, K.H., Jung, B.H., Kim, K.D., Lee, H.S., Won, H.K., Lee, S.J., Chang, C.Y., Lim, J.H., Bae, J.S., Jeon, H.S., Seol, A., Ko, D.S., Lee, B.D., Kim, D.Y., Woo, C.S., Han, H., Kwon, C.G., Chung, H.G., Choi, J.Y., Beon, S.Y., En, J.H., Chung, D.Y., Choi, H.T., Kim, Y.H., and Lee, J.H. (Eds.), 2018. Forest.Forestry Outlook.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Republic of Korea. pp. 261. (in Korean) 

  3. Han, H., Kim, K.D., Chang, C.Y., Bae, J.S. and Jeon, H.S. 2018b. Development of Indicators for Evaluating Decent Forest Jobs and Its Political Applications. Forest Policy Issue No. 100.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Republic of Korea. pp. 21. (in Korean) 

  4. ILO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2002. Decent Work and The Informal Economy. pp. 129. 

  5. ILO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2013. Decent Work Indicators: Guidelines for Producers and Users of Statistical and Legal Framework Indicators. pp. 257. 

  6. Kim, J.-S., Kim, J.M. and Sung, J.H. 2005. A study on developing the index for forest sustainability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94(3): 183-190. (in Korean) 

  7. Kim, J.-S., Sung, J.H. and Kim, J.M. 2006. Developing forest sustainability indices of provinces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95(6): 696-704. (in Korean) 

  8. Kim, S.H., Jeong, B.H. and Kim, J.G. 1999. Analysis on Decision Making and Application. Youngji publishers. pp. 487. (in Korean) 

  9. KFS (Korea Forest Service). 2017. A Comprehensive Plan for Forest Jobs. pp. 167. (in Korean) 

  10. KIAT and KIET (Korea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Technology and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2016. Prediction on Market and Personnel demand in New Promising Industries for the Future of Korea. pp. 34. (in Korean) 

  11. Phang, H.N. and Lee, S.H. 2006. A study on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good job".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0: 93-127. (in Korean) 

  12. Phang, H.N., Lee, Y.M., Kim, K.H., Kim, H.J. and Lee, S.H. 2007. The Quality of Employ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Indicators at Personal, Enterprise, and Macro Level. Korea Labor Institute Research Report 2007-02. pp. 243. (in Korean) 

  13. Presidential Committee on Jobs. 2017. A Five-year Road map for Job Policies of Korea. pp. 63. (in Korean) 

  14. Ritter, J.A. and Anker, R. 2002. Good jobs, bad jobs: worker's evaluations in five countries. International Labour Review 141(4): 331-358. 

  15. Song, M., Bae, J.S. and Seol, M.H. 2014. Development of the forest carbon sink index on afforestation and reforestation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3(1): 137-146. (in Korean) 

  16. UN (United Nations). 2015. Transforming Our World: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pp. 35.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