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스터화 반응을 이용한 신갈나무 바이오오일 품질 개선
Upgrading of Quercus mongollica bio-oil by esterification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5 no.4, 2018년, pp.975 - 984  

채광석 (국립산림과학원 목재화학연구과) ,  이형원 (국립산림과학원 목재화학연구과) ,  정한섭 (국립산림과학원 목재화학연구과) ,  이재정 (국립산림과학원 목재화학연구과) ,  주영민 (국립산림과학원 목재화학연구과) ,  이수민 (국립산림과학원 목재화학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급속열분해 바이오오일은 사용 용도를 제한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많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낮은 산도, 불안정성, 수분과 산소 함량, 식성 증가, 저장동안에 중합 및 낮은 발열량이 적용을 제한하는 주요 특징이다. 에스터 반응을 이용한 공비 수분 제거는 이 모든 특성을 개선할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오일의 특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0.3~1.4 mm 크기의 신갈나무 시료 500 g을 $550^{\circ}C$에서 2초 동안 급속열분해하여 바이오오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바이오오일을 감압(100 hPa) 조건에서 30 min 동안 비휘발성 알콜인 n-butanol 처리하였다. 제조 오일의 수분, 점도, 고위발열량, 산도, FT-IR 및 GC/MS을 분석하였다. 수분은 91.4 % 감소(from 31.5 % to below 2.7 %), 점도는 65.8 % 감소(from 36.5 to 12.5 cP), 발열량은 96.8 % 증가(from 3,918 to 7,712 kcal/kg), 산도는 1.3 증가했다(from 2.7 to 4.0). FT-IR 및 GC/MS 분석결과 불안정한 산성물질, 알데히드, 케톤 및 저급 알콜이 안정된 목표 물질로 변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험 수행 과정에서 급속열분해 바이오오일의 수분 함량이 상당히 감소했다. 이렇게 개선된 품질 개선된 급속열분해 바이오오일은 표준보일러와 열병합발전소(CHP)의 연료로 이용이 가능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ast pyrolysis bio-oil has unfavorable properties that restrict its use in many applications. Among the main issues are high acidity, instability, and water and oxygen content, which give rise to corrosiveness, polymerization during storage, and a low heating value. Esterification and azeotropic wat...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감압증류를 이용해 바이오오일의 품질을 개선시킨 것에 추가하여 알콜을 첨가하여 공비 수분제거 처리를 하였다. 국내에서 생산하는 목질 계 바이오매스 중 많은 양이 생산되는 신갈나무를 이용하여 바이오오일을 제조하고 품질을 개선 시켜 미래 수송용 바이오연료와 고품질의 석유화학 물질 생산에 기여하기 위해 물리 및 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속열분해는 무엇인가? 2017년 유가회복과 미국의 파리협약 탈퇴 등으로 전세계적인 화석연료 감축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으나, 글로벌 에너지 시장은 궁극적으로 에너지 믹스(Energy Mix)의 변화라는 목표로 향해 나아갈 것으로 예측되어진다. 그 중에 급속열분해는 목재, 산림 잔유물 및 기타 재생 가능하고 비식용 바이오매스를 바이오오일 또는 열분해 오일이라 불리우는 갈색 액체로 만드는 저비용 열적 액화 방법이다. 바이오오일은 열과 전기를 생산하기위해 태워지거나 수송연료나 화학물질과 같은 고부가 물질을 생산하기 위해 품질개선이 필요하며 장래에 고갈되는 화석연료를 일부 대체 할수 있다.
급속 열분해의 약점은 무엇인가? 바이오오일은 열과 전기를 생산하기위해 태워지거나 수송연료나 화학물질과 같은 고부가 물질을 생산하기 위해 품질개선이 필요하며 장래에 고갈되는 화석연료를 일부 대체 할수 있다. 지금까지 연구되어진 다양한 변환 기술 중에 급속열분해는 수송용 연료와 고품질의 석유화학 물질을 만들기 때문에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으나, 급속 열분해의 중요한 약점은 역시 높은 산소 함량, 산성도에 의한 불안정 때문에 현재 사용하는 석유계 물질과 혼합이 어렵다. 그러므로 산소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품질개선 기술이 필요하다[1-4].
급속열분해 바이오오일의 단점은 무엇인가? 급속열분해 바이오오일은 사용 용도를 제한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많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낮은 산도, 불안정성, 수분과 산소 함량, 식성 증가, 저장동안에 중합 및 낮은 발열량이 적용을 제한하는 주요 특징이다. 에스터 반응을 이용한 공비 수분 제거는 이 모든 특성을 개선할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 S. Chea, H. S. Jeong, , B. J. Anh, J. J. Lee, Y. M. Ju and S. M. Lee, "Fuel characteristics of Yellow Poplar bio-oil by catalytic pyrolysis", J. of Korean Oil Chemists' Vol.34, No.1 pp.1-11 (2017). 

  2. K. S. Chea, T. S. Jo, S. M. Lee, H. W. Lee and Y. K. Park, "Fuel Characteristics of Quercus variabilis bio-oil by Vaccum Distillation", J. of Korean Oil Chemists' Vol.33, No.1 pp.75-82 (2016). 

  3. K. M. Kim, B.S. Kim, K. S. Chea, T. S. Jo, S. D. Kim and Y. K. Park, "Ex-situ Catalysis Pyrolysis of Korea Native Oak Tree over Microporous Zeolites", J. of Korean Chem. Eng, Vol.27, No.4 pp.407-414 (2016). 

  4. J. K. Kim, J. Y. Park, E. S. Yim and J. H. Ha, "Research Trend of Bio-oil Production from Biomass by using Fast Pyrolysis", J. of Korean Oil Chemists' Vol.31, No.3 pp.453-465 (2014). 

  5. K. S. Chea, T. S. Jo, S. H. Choi, S. M. Lee, H. W. Hwang and J. W. Choi, "Properties of Quercus variabilis bio-oil prepared by sample preparation", J. of Korean Oil Chemists' Vol.32, No.1 pp.83-91 (2015). 

  6. S. K. Joo, I. G. Lee, H. W. Lee, K. S. Chea, T. S. Jo, S. C. Jung, S. C. Kim, C. H. Ko and Y. K. Park, "Catalytic Conversion of Pinus Densiflora Over Mesoporous Catalysts Using Pyrolysis Process", Nanoscience and Nanotechnology, Vol.16, No.2 pp.1616-1619 (2016). 

  7. F. H. Mahfud, I. Melian-Cabrera, R. Manurung, H. Heeres, "Upgrading of Flash Pyrolysis Oil by Reactive Distillation Using a High Boiling Alcohol and Acid Catalysts", J.Biomass to Fuels., Vol.85 (B5) pp.466-472 (2007). 

  8. L. Moens, S. Black, K. M. D. Myers, ; S. Czernik, "Study of the Neutralization and Stabilization of a Mixed Hardwood Bio-Oil". Energy & Fuels, Vol.23, No.5 pp2695-2699 (2009) 

  9. T.Sundqvist, A. Oasmass and A. Koskinen, "Upgrading Fast Pyrolysis Bio-Oil Quality by Esterification and Azeotropic Water Removal", Energy & Fuels,Vol.29, No.4 pp.2527-2534 (2015) 

  10. C. Chiemchaisri, W. Chiemchaisri, T. Kornboonraksa, C. Dumrongsukit, S. Threedeach, H. H. Ngo and S. Vigneswaran, "Particle and microorganism removal in floating plastic media coupled with microfiltration membrane for surface water treatment". Water Sci Technol, Vol.51, No.10 pp.93-100 (2005). 

  11. S. Czernik and A. Bridgwater, "Overview of applications of biomass fast pyrolysis oi"l. Energy & Fuels, Vol.18, No.2 pp.590-598 (2004). 

  12. D. Mohan, C. U. Pittman and P. H. Steele, "Pyrolysis of wood/biomass for bio-oil: A critical review". Energy & Fuels, Vol.20, No.3 pp.848-889 (2006). 

  13. M. Boucher, A. Chaala, H. Pakdel and C. Roy, "Bio-oils obtained by vacuum pyrolysis of softwood bark as a liquid fuel for gas turbines. PartII: stability and ageing of bio-oil and its blends with methanol and a pyrolytic aqueous phase". Biomass Bioenergy, Vol.19 pp.351-350 (2000). 

  14. R. Fahmi, A.V. Bridgwater, I. Donnison, N. Yates and J. M. Jones, "The effect of lignin and inorganic species in biomass on pyrolysis oil yields, quality and stability". Fuel, Vol.87 pp.1230-1240 (2008). 

  15. S. Czernik and A. Bridwater, "Overview of applications of biomass fast pyrolysis oil". Energy & Fuels, Vol.18 pp.590-598 (2004). 

  16. A. Oasmaa, D. C. Elliott and J. Korhonen, "Acidity of Biomass Fast Pyrolysis Bio-oils". Energy & Fuels, Vol.24, No.12 pp.6548-6554 (2010). 

  17. S. Sensoz, D. Angn, S. Yorgun, "Inuence of particle size on the pyrolysis of rapeseed(Brassica napus L.): fuel properties of bio-oil". Biomass and Bioenergy, Vol.19 pp.271-279 (2000). 

  18. L. Caroline, M. Daniel, H. Min, G. Richard, L. Xiang, L. Chun-Zhu, "An FT-IR spectroscopic study of carbonyl functionalities in bio-oils". Fuel, Vol.90 pp.3417-3423 (2011) 

  19. V. Sugumaran, S. Prakash, E. Ramu, A. K. Arora, V. Bansal, V. Kagdiyal, D. Saxena, "Detailed characterization of bio-oil from pyrolysis of non-edible seed-cakes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and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GC-MS) techniques". Journal of Chromatography Vol.1058 pp.47-56 (2017) 

  20. A.V. Bridgewater, "Biomass fast pyrolysis", Thermal Science, Vol.8, No.2 pp.21-49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