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대학병원에 의뢰된 결혼이주 임산부의 10년간 산전, 분만 특성 변화 연구
Study on the Changes of Prenatal and Labor Characteristics of Married Immigrant Women Referred to a University Hospital for 10 yea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3, 2018년, pp.317 - 324  

박경미 (전남대학교병원) ,  문희 (순천대학교 간호학과) ,  이은숙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지난 10년간 C 대학병원에서 분만하였거나 지역병원에서 산전관리를 받다가 의뢰된 결혼이주임산부의 산전 및 분만 특성을 전반기 5년과 후반기 5년 동안의 변화를 파악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산후 모자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C 대학병원에서 분만한 결혼이주여성의 의무기록지를 통해 2016년 9월 7일부터 6주 동안 진행하였으며, 특성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1년을 기준으로 전 후반기 5년으로 구분하였다. 조사기록지는 인구학적 특성, 산전, 분만 관련 특성으로 구성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Independent Sample T-test, Chi-square test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혼이주여성의 산전, 분만 특성 중 전반기에 비해 후반기에 임신시 부적절한 체중 증가, 임신합병증, 조산, 저체중 신생아, 낮은 아프가 점수 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의 이러한 변화를 토대로 이들의 산전, 분만 합병증 예방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산전 후 건강 관리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changes in prenatal and delivery characteristics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maternal health care programs.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or 6 weeks from September 7, 2016 through medical records, and it was divided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난 10년 동안 G지역의 C대학병원에서 분만한 결혼이주 임산부를 대상으로 전반기 5년과 후반기 5년 동안의 산전 및 분만 관련 특성을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C대학병원을 이용한 결혼이주 임산부의 산전 및 분만 특성을 파악하고자 의무 기록지의 자료를 근거로 후향적으로 조사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C대학병원에 의뢰된 결혼이주 임산부의 산전 및 분만 특성을 파악하여 모자 건강관리 유지와 증진을 위한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임산부의 전․후반기 동안의 일반적인 특성을 비교한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지난 10년간 본 대학병원에서 분만하였거나 지역병원에서 산전관리를 받다가 의뢰된 결혼이주임산부의 산전 및 분만 특성을 다문화가족지원법이 시행된 전, 후 시기의 변화를 파악하고 이러한 변화에 알맞은 산후 모자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산부가 어머니로서 새로운 역할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스트레스를 잘 관리해줘야 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임신은 여성의 삶에서 중요한 정상적 발달 과업이나 태아와의 상호 작용을 시도함과 동시에 어머니로서 새로운 역할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스트레스를 겪게 된다. 이는 여성 자신과 태아 건강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가족의 위기 상황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모아의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해 신체적, 심리적으로 잘 적응하도록 도와주는 지지체계가 매우 중요하다[5]. 그러나 결혼이주 여성은 의사소통 장애로 인해 의료진이 제공한 임신·출산 관련 건강관리 방법이나 지시사항을 이해하지 못함으로써 임신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거나 정기적인 산전관리를 잘 이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임신으로 겪게되는 스트레스는? 일반적으로 임신은 여성의 삶에서 중요한 정상적 발달 과업이나 태아와의 상호 작용을 시도함과 동시에 어머니로서 새로운 역할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스트레스를 겪게 된다. 이는 여성 자신과 태아 건강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가족의 위기 상황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모아의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해 신체적, 심리적으로 잘 적응하도록 도와주는 지지체계가 매우 중요하다[5].
결혼이주 여성이 겪는 어려움은? 6%를 차지하고 있다[1]. 결혼이주 여성은 결혼을 목적으로 한국으로 이주함에 따라 새로운 한국 문화에 대한 배경 지식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자국과 다른 언어와 관습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많은 고난을 겪게 되며[2] 특히 한국문화에 적응하기도 전에 임신이 될 경우 ‘주변인’으로서 외로움과 어려움뿐만 아니라 임신으로 인해 설상가상의 스트레스를 겪게 된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tatistics Korea. Marriage rate of Korean men and foreign women; Population movement study, 2016. 

  2. I. S. Jang, N. M. Hwang, M. S. Yoon, S. M. Park, "Current status and factors affecting prenatal care by married immigran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16, no. 4, pp. 326-35, 2010. DOI: https://doi.org/10.4069/kjwhn.2010.16.4.326 

  3. K. S. Bang, B. Y. Huh, M. K. Kwon, "The effect of a postpartum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immigrant mother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 20, no. 1, pp. 11-9, 2014. DOI: https://doi.org/10.4094/chnr.2014.20.1.11 

  4. G. H. Jeong, H. J. Koh, K. S. Kim, S. H. Kim, J. H. Kim, H. S. Park, Y. S. Lee, Y. R. Han, G. Y. Kim, "A Survey on health management of during pregnancy, childbirth, and the postpartum of immigrant women in a multi-cultural famil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15, no. 4, pp. 261-8, 2009. DOI: https://doi.org/10.4069/kjwhn.2009.15.4.261 

  5. D. H. Moon, The comparative study with fatigue, anxiety and stress between full-term and preterm pregnancy, Master's thesis, Jeonnam National University, 2006. 

  6. H. R. Kim, M. N. Hwang, I. S. Jang, G. J. Yoon, B. J. Gang, Reproductive health status and policy tasks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8. Report no. :2008-66. 

  7. G. H. Choi, J. A. Oh, "A study on the multicultural families' childbearing, parenting policies in south korea", The Korea Association for Social Innovation, vol. 4, no. 1, pp. 71-106, 2013. 

  8. H. S. Park, G. E. Bae, D. H. Kim, A. R. Yoon, "Health Status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Busan",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vol. 15, no. 1, pp. 80-88, 2008. 

  9. M. J. Kim, "A comparative study on birth outcomes between korean women and immigran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17, no. 4, pp. 407-14, 2010. DOI: https://doi.org/10.4069/kjwhn.2011.17.4.407 

  10. E. S. Song, Y. R. Choi, "Perinatal Problem and Prognosis of Newborns Born in International Marriage Foreign Mothers",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Fall Conference, p. 188, 2008. 

  11. H. I. Jang, J. S. Choi, E. S. Song, Y. Y. Choi, Changes in Birth Rates, Perinatal Risk Factors and Outcome in Newborns in Multi-cultural Family : Ten year Experience in One Center. Neonatal medicine, vol. 20, no. 1, pp. 146-54, 2013. DOI: https://doi.org/10.5385/nm.2013.20.1.146 

  12. H. Y. Lee, G. C. Park, M. G. Kim, O. G. Lee, "Original articles : Factors influencing on perinatal outcomes of asian marriage immigrant women; Ten-year experience in a single center",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vol. 24, no. 3, pp. 168-79, 2013. DOI: https://doi.org/10.14734/kjp.2013.24.3.168 

  13. I. H. Baek, C. S. Kim, S. L. Lee, J. I. Kim, "Clinical feature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their babies in perinatal period :comparison with native parturient women and neonates", Korean J Perinatol, vol. 22, no. 1, pp. 14-21, 2011. 

  14. H. O. Park, J. W. Lim, H. S. Jin, J. W. Shim, M. H. Kim, C. S. Kim, et al., "Comparative study of newborns of Asian immigrant and Korean women",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 52, no. 10, pp. 1119-26, 2009. DOI: https://doi.org/10.3345/kjp.2009.52.10.1119 

  15. S. H. Park, S. Y. Ku, Y. S. Choi, D. W. Kim, S. Y. Moon, S. H. Kim, "Association between paternal age and preterm birth based on birth certificate data", Korean Journal of Pedinatol, vol. 16, no. 3, pp. 216-21, 2005. 

  16. A. S. Laura, E. C. Mary, S. S. Kelly, P. Geraldine, F. Cynthia, B. P. Cheryl, et al., "Pre-pregenancy body mass index and pregnancy weight gain: Association with preterm delivery", Obestet Gynecol., vol. 96, pp. 194-200, 2000. DOI: https://doi.org/10.1016/S0029-7844(00)00883-8 

  17. S. M. Kim, The effect of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on birth outcome, Master's thesis, Jeonnam National University, 2014. 

  18. D. S. Ludwig, J. Currie, "The association between pregnancy weight gain and birth weight: a within family comparison", Lancet, vol. 18, no. 376, pp. 984-90, 2010. DOI: https://doi.org/10.1016/S0140-6736(10)6075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