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비동거자녀 지원이 1인가구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비교
Effects of Separated Children Support on Depression in One-Person Households of the Elderl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3, 2018년, pp.265 - 277  

임민경 (신한대학교 간호학과) ,  고영미 (국립정신건강센터 정신건강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양적인 증가 및 사회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1인가구 노인의 성별에 따른 우울 영향요인을 비동거자녀 지원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2014년 노인실태조사자료의 65세 이상 1인가구 노인 2,354명(남자 407명, 여자 1,947명)을 대상으로 성별로 사회인구학적 특성, 건강수준 및 행태, 친인척 및 친구관계, 여가 및 사회활동, 비동거자녀 지원 및 지원유형에 따른 우울 분포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1인가구 남성노인은 도구적일상생활수행능력, 주관적건강상태, 친구 수, 여성노인은 주관적건강상태, 친구 수, 현재 일하는 여부, 만성질환수, 비동거자녀의 정서적 지원 등이 우울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비동거자녀의 정서적 지원은 1인가구 남녀노인의 우울에 차이를 보이는 주요 요인으로 향후 1인가구 노인의 차별화된 정신건강증진 방안 마련 시 고려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if support from separated children as a factor of depression was distinguishable between male and female elderly individuals living in one-person households. This study analyzed data of 2,354 elderly individuals living in one-person households(407 males and 1,947 females) who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비동거자녀로부터 지난 1년간 정서적·도구적·신체적·경제적 지원을 받았는지 여부를 측정하였다.
  • 이 연구는 양적인 증가 및 사회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1인가구 노인의 성별 우울 영향요인을 비동거자녀의 지원 측면에 초점을 두어 비교 분석하였다. 비동거자녀의 지원 및 지원 유형이 1인가구 노인의 우울에 중요 요인으로 작용하는지, 또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는지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1인가구 노인의 차별화된 정신건강증진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실시한 ‘2014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로 전국에서 다단계 추출방법에 의해 선정된 65세 이상 노인 10,6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러한 대표성 이외에도 노인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생활실태와 건강, 자녀와의 관계 및 세대 간 지원, 복지욕구에 관한 설문항목을 풍부히 담고 있어 이 연구 분석에 적합한 자료이다. 조사가 완료된 노인 중 설문에서 현재 혼자 살고 있다고 응답한 65세 이상 1인가구 노인 2,354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가설 설정

  • 앞에서 언급한 비동거자녀의 지원도 노인의 성별에 따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1인가구 노인의 성별 우울 영향 요인들 중 비동거자녀의 지원 및 지원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존재할 것이라는 가설을 기반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증이란? 우울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전체 질병부담 중 6위이며[7], 세계보건기구에서도 우울증으로 인한 질병부담이 2030년에는 가장 클 것으로 예측하였다[8]. 우울증은 슬픔, 좌절, 자신의 가치 부족 등과 같은 감정이 지속되는 것으로[9] 노인에서 흔히 발생하는 정신건강문제이나 정상정인 노화과정은 아니다[10]. 신체적 질병, 배우자의 죽음, 경제적 사정의 악화, 사회 및 가족들로부터 소외와 고립, 일상생활에 대한 자기통제 불가능, 지난 세월의 회환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우울을 경험하며, 자살로까지 이어져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11].
1인가구 노인이 증가되고 있는 배경은 무엇인가? 저출산 및 고령화, 부모부양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도시화 등의 원인으로 1인가구 노인이 증가하고 있다. 노인에서 1인가구 비율은 2005년 17.
1인가구 노인 환경의 보편적 특징은 무엇인가? 2%로 예측된다[1].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으며, 독립적인 생활을 하고자 1인가구를 희망하는 노인들도 증가하는 추세이나 1인가구 노인들의 보편적인 특성은 사회경제적수준이 낮고, 신체적·정신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으며, 삶의 궤적에서 가족과의 부정적 사건(배우자와의 사별, 이혼 및 별거, 자녀와의 관계 단절 등)을 경험하고 있다[2]. 따라서 1인가구 노인 환경의 열악함이 크다는 보고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고, 빈곤, 소외, 우울, 자살, 거동불편 등의 문제를 집약적으로 갖고 있으며[3], 돌봄 문제, 경제적 및 심리적 불안감, 외로움 등의 건강 경제 사회 영역에서 불리한 상황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Issue & Focus. (2015).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00(4), 1-8. 

  2. Y. M. Ko & Y. T. Cho. (2013). Different Influence of Risk Factors on Self-rated Health between the Economically Poor and Non-poor Elderly Populations Living Alone: Based on One Sub-area in Seoul. Korean J Health Educ Promot, 30(2), 41-53. 

  3. K. S. You & H. S. Park. (2003). Comparison of Health Status between Senior People Living Alone and Those Who Live with Their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3(4), 163-179. 

  4. Y. S. Song. (2015). Current Conditions of Single-Household Female Elderly and Improvement Measures at Policy Level. Ewha Journal of Gender and Law, 7(2), 33-72. 

  5.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2014). Natioanal Health Insurance Servic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6. Y. M. Ko & W. J. Lee. (2013). Factors Leading to Drinking among the Female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14(1), 17-32. 

  7. S. S. Bae. (2005). The Burden of Disease in Korea. Health Plan 2020, p. 294. 

  8. WHO. (2008).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2004 update, Geneva : Switzerland. 

  9. N. H. Yee, K. H. Bang & H. S. Song. (2017). Analysis of Change Factors for the Elderly Depression Using Longitudinal Dat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3(3), 13-25. 

  10. J. Yu, J. Li, P. Cuijpers, S. Wu & Z. Wu. (2012).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in Chinese Older Adults: A Population-Based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7(3), 305-312. 

  11. G. S. Jeon. (2008). Gender Differences in Social Factors of Health in Later Lif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8(3), 459-475. 

  12. S. S. Lee & S. H. Kim. (2011). A Study on the Living Conditions and Social Welfare Needs of the Elderly who Lives Alone in the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focused on the Province of Jeollanamdo. Journal of Korean Regional Development, 11(1), 23-60. 

  13. S. Y. Lee & E. J. Kim. (2012). The Social Support Patterns and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ir Friends and Neighbor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6, 137-164. 

  14. S. H. Kim. (2013). Benefits of Volunteering to Physical Health,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Meaning in Life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3(1), 53-66. 

  15. B. Y. Park, H. J. Kwon, M. N. Ha & E. A. Burm. (2016). A Comparative Study on Mental Health between Elderly Living Alone and Elderly Couples: Focus on Gender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0(2), 195-205. 

  16. S. Paramita & B. Anoop. (2015).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Associated Risk Factor among the Elderly in Urban and Rural Field Practice Areas of a Tertiary Care Institution in Ludhiana. In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59(1), 3-8. 

  17. A. Zebhauser, J. Baumert, R. T. Emeny, J. Ronel, A. Peters & K. H. Ladwig. (2015). What Prevents Old People Living Alone from Feeling Lonely? Findings from the KORA-Age-study. Aging & Mental Health, 19(9), 773-780. 

  18. D. B. Kim & S. Y. Park. (2010).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and Suicidal Ddeation : Verifying of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24, 109-129. 

  19. I. G. Oh, Y. S, Oh & M. I. Kim. (2009). Effect of Social Networks on the Depression of Elderly Females in Korea: Analysis of the Intermediating Effect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4(1), 113-136. 

  20. S. Y. Sohn. (2006). A Comparative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its' Affecting Factors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6(3), 601-615. 

  21. H, Jeon & S, Kahng. (2009). Predictors of Depression Trajectory among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9(4), 1611-1628. 

  22. L. S. Leach, H. Christensen, A. J. Mackinnon, T. D. Windsor & P. Butterworth. (2008).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ion and Anxiety across the Adult Lifespan: The Role of Psychosocial Mediator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43(12), 983-998. 

  23. P. C. Lin & H. H. Wang. (2011). Factor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An Analysis of Sex Difference. Aging and Mental Health, 15(8), 1038-1044. 

  24. K. H. Suh & Y. S. Kim. (2003).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9(1), 115-137. 

  25. Y. B. Kim. (2013). The Factor Affecting Depressive Symptom of Elderly in Chuncheon Area Focusing on the Effect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Exchang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Studies, 15(1), 223-244. 

  26. H. N. Kim & H. L. Seo. (2010).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Depression of Lonely Frail Elder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8, 59-82. 

  27. S. Y. Lee. (2011). A Study on the Predictor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s, 30(1), 181-202. 

  28. B. K. Kim, Y. J. Ha & S. S. Choi. (2014). A Vertical Study on the Factors Which are Influenced on Depression of the Aged: Focusing on Physical.Psychological.Social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4(1), 115-132. 

  29. J. C. Barefoot, J. C. Beckham, T. L. Haney, I. C. Siegler & I. M. Lipkus. (1993). Age Differences in Hostility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Psychology and Aging, 8(1), 3. 

  30. J. A. Yesavage & I. S. Javaid. (1986). 9/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Clinical Gerontologist, 5(1-2), 165-173. 

  31. M. J. Cho et al. (1999). Valid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GDS)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8(1), 48-63. 

  32. C. H. Kim. (2003). Gender Differentials of Economic Resources in Old Age.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26(1), 59-77. 

  33. H. S. Jang & Y. J. Kim. (2010). A Study on Physical Health, Economical State and Social Relations of Women Elderly Living Alone in an Island.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17(2), 233-259. 

  34. J. Y. Chon & N. H. Yee. (2011). Depression in the Elderly for the Mediating Effect of Coping Strategies of Family Conflict.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1(4), 1169-1187. 

  35. K. L. Chou & I. Chi. (2000). Comparison between Elderly Chinese Living Alone and Those Living with Others.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33(4), 51-66. 

  36. H. Y. Baek. (2006).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Poverty among the Poor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31, 5-39. 

  37. K. L. Chou, I. Chi, K & W. Boey. (1999). Determinant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Elderly Chinese Living Alone. Clinical Gerontologist, 20(4), 15-27. 

  38. A. C. Mui & D. J. Burnette. (1994). A Comparative Profile of Frail Elderly Persons Living Alone and Those Living with Other.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2(3/4), 5-26. 

  39. E. J. Kim & S. Y. Lee. (2012). The Informal Social Support Patterns and Depression in Rural Elders: Compared to Urban Elders.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Kyungsung University, 28(2), 149-176. 

  40. K. B. Adams, S. Sanders & E. A. Auth. (2004). Loneliness and Depression in Independent Living Retirement Communities: Risk and Resilience Factors. Aging & Mental Health, 8(6), 475-485. 

  41. K. L. Fingerman & K. S. Birditt. (2003). Do Age Differences in Close and Problematic Family Ties Reflect the Pool of Available Relative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58(2), 80-87. 

  42. B. Quoctrung & C. M. Claire. (2015. 12. 24). The Typical American Lives Only 18 Miles From Mom.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from http://www.nytimes.com/interactive/2015/12/24/upshot/24up-family.html?_r0, 

  43. S. K. Kahng & T. Y. Kwon. (2008).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Depressive Symptoms across Lifespan. Mental Health & Social Work, 30(12), 332-355. 

  44. S. B. Jeong & J. Y. Bae. (2017). Rural Area One-person Household Elderly Depression Factors by Gender and Age Group.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Studies, 25(3), 153-174. 

  45. http://www.segye.com/newsView/20171031005590[50]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1/02/0200000000AKR20171102175100017.HTML 

  4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Comprehensive plan on mental health.. Sejo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