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대학병원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여성의 산과적 결과 비교
Comparison of Obstetric Outcomes between Married Immigrant and Korean Pregnant Women in University Hospital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3, 2018년, pp.279 - 287  

이은숙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  문희 (순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산과적 결과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한국여성의 결과와 비교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출산건강에 효과적인 간호중재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된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일 대학병원 분만실에서 분만한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여성 총 302명으로 하였으며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자료분석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과 표준편차,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산과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여성 모두 조기양막파열, 임신성고혈압, 양수이상, 내과적 질환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이주여성의 경우에는 연령, 배우자의 연령, 직업, 헤모글로빈 수치, 태반이상 등이 추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의 산과적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들 영향 요인들을 고려한 산전관리프로그램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obstetric outcom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he Korean women'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for the married immigrant women. The subjects were 302 married immigra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산과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해 보고 이를 한국여성의 결과와 비교, 분석을 통해 결혼이주여성의 출산건강에 효과적인 간호중재 수립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산과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한국여성의 산과적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이들의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결혼이주여성의 특징은 무엇인가? 결혼이주여성은 결혼이라는 특수한 관계로 맺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임신과 출산의 시기가 매우 짧다. 결혼이주여성의 대부분은 한국에 들어온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곧바로 임신을 경험하게 되는데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후 첫 임신까지 걸린 기간은 1년 미만이 83.
한국여성과 결혼이주여성의 출산결과는 어떻게 다른가? 최근에 한국사회에서도 결혼이주여성의 출산이나 신생아 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산전관리실태[10], 임신과 출산 건강관리 실태[5] 등의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Kim[11]은 한국여성과 결혼이주여성의 출산결과를 비교한 결과 한국여성에게서 태어난 신생아보다 출생시체중이 적고 1분 아프가 점수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의 출산이나 신생아 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들은 한국에 정착하면서 겪는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사회문화적 차이,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받고 있으며 이는 임신 및 출산의 결과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6]. 실제로 자신이 태어난 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에서의 임신은 출산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L. S. Hong. (2017). A Convergence Study on Social Support and Life's Satisfaction oh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J.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6), 359-368. 

  2. J. R. Lim, Y. K. Han & H. H. Kim. (2017). The Relationship of Acculturative Stress, Self-esteem and Oral Management Ability of Vietnam Marriage Migrant Women. J.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6), 109-119. 

  3. Korea National Statistics. (2015). Office, Marriage rate of Korean men and foreign woumen Population movement study. http://www.kosis.kr. 

  4. H. R. Kim. (2009). Maternal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Marriage Based Women Immigrant in Korea and Policy Directions. Health Welfare Policy Forum, 50-64. 

  5. G. H. Jeong, H. J. Koh, K. S. Kim, S. H. Kim, H. H. Kim, H. S. Park, Y. S. Lee, Y. R. Han & K. W. Kim. (2009). A Survey on Health Management of during Pregnancy, Childbirth, and the Postpartum of Immigrant Women in a Multi-cultural Family. Korean J. Women Health Nurs, 15(4), 261-269. 

  6. H. I. Jang, J. S. Choi, E. S. Song & Y. Y. Choi. (2013). Changes in Birth Rate, Perinatal Risk Factors and Outcome in Newborns in Multi-cultural Family: Ten-year Experience in One Center. Neonatal Med, 20(1), 146-154. 

  7. G. S. Pedersen, L. H. Mortensen, M. Gerster, J. R. Edwards & A. M. N. Andersen. (2012). Preterm Birth and Birth weight-for-Gestational Age among Immigrant Women in Denmark 1978-2007: A Nationwide Registry Study Nationwide Registry Study. Paediatric and Perinatal Epidemiology, 26, 534-542. 

  8. P. Phadungkiatwattana, J. Rujiwetpongstorn, T. Tansathit & N. Srisantiroj. (2011). Pregnancy Outcomes of Southeast Asian Immigrant Pregnant Women Compared with Thai Pregnant Women in Rajavithi Hospital. J Med Assoc Thai, 94(2), 147-151. 

  9. F. Diani, G. Zanconato, Fabiola Foschi, Anna Turinetto & M. Franchi. (2003). Management of the Pregnant Immigrant Woman in the decade 1992-2001.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 23(6), 615-617. 

  10. I. D. Jang, N. M. Hwang, M. S. Yoon & S. M. Park. (2010). Current Status and Factors Affecting Prenatal Care by Married Immigrant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16(4), 326-335. 

  11. M. J. Kim. (2011). A Comparative Study on Birth Outcomes between Korean Women and Immigrant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17(4), 407-414. 

  12.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7). National multicultural family survey in 2015. http://www.mogef.go.kr. 

  13. D. H. Seol. (2005). Foreign Wive'sLife in Korea: Focusing on the Policy of Welfare and Health.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01-148. 

  14. I. H. Baek, C. S. Kim, S. L. Lee & J. I. Kim. (2011). Clinical Feature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Their Babies in Perinatal Period :Comparison with Native Parturient Women and Neonates. Korean J Perinatol, 22(1), 14-21. 

  15. H. Y. Lee, G. C. Park, M. K. Kim & O. K. Lee. (2013). Factors Influencing on Perinatal Outcomes of Asian Marriage Immigrant Women :Ten-year Experience in a Single Center. Korean J Perinato, 24(3), 168-179. 

  16. J. H. Cho, H. S. Ahn & H. S. Bae. (2009). The Use of Iron Supplements of Pregnant Women and Pregnancy Outcome. Korean J Community Nutr., 14(3), 327-339 

  17. Y. W. Song, J. H. Shin, Y. S. Yoon, H. C. Jeong, H. E. Yim, B. M. Choi, J. H. Lee, H. J. Kim, Y. S. Hong & J. W. Song. (2010). Perinatal Complications of Mothers and Neonates Resulting from Inadequate Prenatal Care. Korean J Perinatol. 21(4), 347-355. 

  18. S. Gennaro. (2005). Overview of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Pregnancy Outcomes in Minority Populations. Am J Obstet Gynecol, 192, S3-S10. 

  19. H. O. Park, J. W. Lim, H. S. Jin, J. W. Shim, M. H. Kim, C. S. Kim, E. R. Kim, S. Y. Kim, S. K. Park & J. J. Lee. (2009). Comparative Study of Newborns of Asian Immigrant and Korean Women.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52(10), 1119-1126. 

  20. M. S. Kramer. (1987). Determinants of Low Birth Weight: Methodological Assessment and Meta-analysis. Bull World Health Organ, 65(5), 663-737. 

  21. R. L. Naey &, E. C. Peters. (1982). Working during Pregnancy: Effects on the Fetus. Pediatrics, 69, 724-727. 

  22. Y. D. Shin, T. Y. Lee, Y. S. Lee & D. B. Lee. (1994). Effect of Maternal Job Activity on Preterm Delivery, Low Birth Weight and Spontaneous Abortion.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1), 69-84. 

  23. D. A. Savitz, E. A. Whelan, A. S. Rowland & R. C. Kleckner. (1990). Maternal Employment and Reproductive Risk Factors. Am J Epidemiol.. 132(5), 933-945. 

  24. R. L. Goldenberg, J. F. Culhane, J. D. Iams & R. Romero. (2008). Epidemiology and Causes of Preterm Birth. Lancet, 371, 75-84. 

  25. S. M. Kim. (2014). The Effect of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on Birth Outcom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6. L. Zeng, M. J. Dibley, Y. Cheng, S. Dang, S. Chang, L. Kong & H. Yan. (2008). Impact of micronutrient supplementation during pregnancy on birth weight, duration of gestation, and perinatal mortality in rural western China: double blind cluster randomised controlled tria. BMJ, 337, 1211-1214. 

  27. S. M. Choi. (2016). Effect of Parental Foreign-Born Status on Birth Outcomes in Korea, 2010-2012. Health and Science, 41, 131-1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