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이주여성과 일반기혼여성 우울 비교 연구: 충남 소재 A군 거주자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depression between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Korean married women living in A town, Korea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22 no.4, 2021년, pp.61 - 75  

김연수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이수진 (백석예술대학교 보건복지학부) ,  백경원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level of depress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Korean married women living in A town.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women living in A town. Marriage immigrant women were purposively sampled subjects who visit...

주제어

참고문헌 (30)

  1. 김도희, 이경은. (2010). 결혼이주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경로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5(2), 5-25. 

  2. 김연수. (2014). 여성결혼이민자의 우울 영향요인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2(11), 575-583. 

  3. 김종기, 전진환. (2009). 국내 MIS 연구에서 구조방정식모형 활용에 관한 메타분석.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9(4), 47-75. 

  4. 노소영, 김은영. (2012). 농촌거주 결혼이주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4(4), 370-379. 

  5. 박민희, 양숙자, 지연경. (2015). 여성결혼이민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9(2), 298-311. 

  6. 백경원, 김연수, 이수진. (2021). 2020 금산군 안전도시 조성 기본조사 및 정책개발 연구-제 1권 사업추진전략개발. 금산: 금산군청. 천안: 백석대학교 보건복지안전증진연구소. 

  7. 변성원. (2011). 여성결혼이민자의 우울에 관한 연구 동향. 한국농촌간호학회지, 6(2), 69-77. 

  8. 보건복지부.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ㆍ복지지원 정책 방안. 세종: 보건복지부. 

  9. 보건복지부. 2008. 제2차 자살예방 종합 대책(2009-2013). 세종: 자살예방대책추진위원회. 

  10. 안인영 외 14명. (2017). 일개 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관계위기와 우울증상. 생물치료정신의학, 23(3), 199-205. 

  11. 양옥경. 김연수. (2007)a. 서울거주 여성결혼이민자의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6, 79-110. 

  12. 양옥경, 김연수. (2007)b. 축약형 가족관계척도 구성과 타당도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2), 103-129. 

  13. 오병훈. (2006). 노인우울증의 진단과 치료. 임상노인의학회지, 7(1), 83-92. 

  14. 이혜경. (2005).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한국인구학, 28(1), 73-106. 

  15. 임수진, 오수성, 한규석. (2009).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요인: 광주,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14), 515-528. 

  16. 임혁. (2010).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신건강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4, 189-221. 

  17. 임현승. (2010). The Impact of Acculturative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of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 In Korea: An Examination of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한국가족복지학, 15(2), 27-45. 

  18.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SE-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19. 정기선, 한기은. (2009). 국제결혼이민자의 적응과 정신건강. 한국인구학, 32(2), 87-114. 

  20. 정혜란, 김미원. (2014). 학대경험이 노인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대처양식의 조절효과. 노인복지연구, 63, 7-33. 

  21. 조맹제, 김계희. (1993). 주요 우울증 환자 예비평가에서 CES-D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 32(3), 381-399. 

  22. 조원섭, 유승현. (2017). 결혼이주여성의 우울스트레스 증상과 그 영향요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중심으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4(1), 47-65. 

  23. 통계청. 2020. 2019년 문화 인구동태 통계, 통계청 보도자료. 

  24. 하주영, 김운지. (2013). 결혼이주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9(4), 254-264. 

  25. 한건수. (2006). 농촌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 39(1), 195-243. 

  26. 현경자, 김연수. (2012).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 적응 스트레스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효과: 사회적 지지의 직접 및 조절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7(4), 653-677. 

  27. Hovey JD. (2000).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Mexican Immigrants.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6(2), 134-151. 

  28. Lee YH et al. (2008).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n an urban community.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3(3), 303-315 

  29. Oei TP, Kwon SM. (2007). Evaluation of the integrated cognitive model of depression and its specificity in a migrant population. Depress Anxiety, 24(2), 112-123. 

  30. Zelkowitz P et al. (2004).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pregnant immigrant women. Transcultural Psychiatry, 41(4), 445-464.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