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의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dementia prevention behaviors in older Koreans enrolled in senior welfare center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7 no.1, 2021년, pp.39 - 48  

임경춘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김명숙 (강원대학교 간호대학) ,  고하나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on the preventive behaviors of dementia in older Koreans enrolled in senior welfare center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dementia prevention. Methods: A total of 182 older Korean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hich employed a cross-sectio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치매예방행위에 영향 미치는 요인들의 관계 탐색을 목적으로 일반적 특성, 프로그램참여 정도, 심리적 특성, 치매관련 특성을 포함하여 치매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지역사회 노인 맞춤형 치매예방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의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대상자 맞춤형 치매예방 중재 및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서울시 5곳의 노인복지관에 등록된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치매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 노인복지관 프로그램 참여 정도, 심리적 특성, 치매관련 특성을 포괄하여 통합적으로 치매예방행위와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노인복지관에서의 치매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특정 대도시(metropolitan) 소재 노인복지관 이용자를 대상자로 편의선정하고 있어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을 참여하지 않는 노인 등과 농촌과 도서 등 취약지역의 노인복지관 이용자들을 포함하지 못하며, 일부 연구 도구의 신뢰도가 다소 낮았다는 점에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치매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포괄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치매예방행위는 우울 증상, 노인복지관 프로그램 이용 정도, 치매에 대한 태도, 수면장애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따라서 65세 이상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일반적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복지관 프로그램 참여, 우울과 자아존중감 등의 심리적 특성 및 치매관련 지식과 태도, 치매관리 자기효능감, 치매발병에 대한불안감 등의 치매관련 특성을 포함하여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치매예방을 위한 대상자 맞춤 중재 및 가이드라인 개발과 치매예방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의 일반적 특성, 노인복지관 프로그램 참여 정도, 심리적 특성과 치매관련 특성을 조사하여 치매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 치매예방을 위한 대상자 맞춤 중재 및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을 대상으로 치매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lzheimer's Disease International. World Alzheimer report 2019: Attitudes to dementia [Internet]. London: Alzheimer's Disease International; 2019 [cited 2019 Sep 20]. Available from: https://www.alzint.org/resource/world-alzheimer-report-2019/ 

  2.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Korean dementia annual report 2019 [Internet]. Seongnam: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2020 [cited 2020 Mar 4]. Available from: https://www.nid.or.kr/info/dataroom_view.aspx?bid208 

  3.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action plan on the public health response to dementia 2017-2025. Geno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 

  4. Gim E. Yu TG. A evaluation of dementia care center's efficiency by DEA: Focused on Seoul dementia centers. Social Welfare Policy. 2019;46(2):203-229.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elfare facilities for older adults 2020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 [cited 2020 Jun 18].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55052&page1 

  6.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urvey of Korea older adults 2017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cited 2017 Nov]. Available from: http://www.korea.kr/common/download.do?tblKeyEDN&fileId212421 

  7.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global network for age-friendly cities and communities: looking back over the last decade, looking forward to the next.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WHO/FWC/ALC/18.4. 

  8. Middleton LE, Yaffe K. Targets for the prevention of dementia.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2010;20(3): 915-924. http://doi.org/10.3233/JAD-2010-091657 

  9. Kim YH, Kwon YC. The effect dementia knowledge and attitude o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of adult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2020;6(3):9-17. http://doi.org/10.17703/JCCT.2020.6.3.9 

  10. Ko SJ, Shin SH. Effects of dementia knowledge, self-efficacy and depression o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in elderly couples: Dyadic data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2):276-286. http://doi.org/10.4040/jkan.2013.43.2.276 

  11. Kang N, Yoo N, Song M, You M. The effect of knowledge on dementia and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o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among the Korean older people living alone.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2015; 40(3):9-19. 

  12. Lee KW, Kim AL. Senior citizens' relationships between dementia knowledge, dementia anxiety,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in community.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Wellness. 2018;13(4):357-367. http://doi.org/10.21097/ksw.2018.11.13.4.357 

  13. Jung YM, Kim JH. Comparison of cognitive levels, nutritional status, depression in the elderly according to living situa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34(3):495-503. 

  14. Oh JJ, Song MS, Kim S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sleep scale 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8;28(3):563-572.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lderly health welfare business guide 2018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cited 2018 Apr 1].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44404&page1 

  16. Kee B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6;35(2):298-307. 

  17.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 p. 1-340. 

  18. Jon B J.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974;11(1):107-130. 

  19. Cho HO. A study on public's knowledge of and attitude towards dementia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1999. p. 1-58. 

  20. Kong EH, Jeong YS. The effects of dementia education program for the aged. Journal of Korean Academic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1;22(3):252-261. 

  21. Lee YW, Woo SM, Kim OR, Lee SY, Im HB. Relationships between dementia knowledge, attitude, self-efficacy and preventive behavior among low income middle-aged women.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2009;21(6):617-627. 

  22. Song MS, Kang KJ, Ko HN, Kim MS, Ryu SA, Park YH, et al. Gerontological nursing. 2nd ed. Seoul: JMK; 2020. p. 1-288. 

  23. Ji X, Fu Y. The role of sleep disturbances i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with sleep complaint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21;36(1):96-105. https://doi.org/10.1002/gps.5401 

  24. Tsutsumimoto K, Nakakubo S, Kim M, Kurita S, Ishii H, Shimada H, et al. Impact of social frailty on Alzheimer's disease onset: A 53-month longitudinal cohort study.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2019;70(2):587-595. https://doi.org/10.3233/JAD-181178 

  25. Choi YH. Improvement of infrastructure for senior center to operate elderly-friendly community care services. 2018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Spring Congress; 2018 June 15; Daebang-dong Women's Plaza. Seoul: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2018. p.152-164. 

  26.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Prevention of dementia 3.3.3 [Internet]. Seongnam: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2020 [cited 2021 Jan 4]. Available from: https://www.nid.or.kr/notification/prevention.aspx 

  27. SunWoo HM.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behavior on dementia among community older adult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4. p. 15-25. 

  28. Gellis ZD, McClive-Reed KP, Brown E. Treatments for depression in older persons with dementia. Annals of Long-term Care. 2009;17(2):29-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