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 여학생의 음주실태, 음주동기와 문제음주의 상태 비교
Comparison of Fe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in the State of Drinking, Drinking Motives, and Problem Drinking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8, 2018년, pp.183 - 192  

김종임 (중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 여학생의 음주실태, 음주동기와 문제음주의 상태 비교를 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지역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4월부터 5월까지이며, 분석대상은 181명 이었다. 자료 분석은 정상음주 군과 문제 음주 군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사용하였고, 문제음주와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였으며, 문제음주 관련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음주횟수, 마시는 속도, 음주동기, 생활스트레스, 음주문제발생경험이 문제음주에 대한 위험비가 높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음주횟수로 볼 때 음주횟수가 일 년에 1-4회인 군보다 일주일에 2-3회인 군에서 문제음주에 대한 위험비가 21.53배 높았으며, 음주동기는 음주동기가 낮은 군 보다 음주동기가 높은 군에서 5.96배, 음주문제발생경험은 음주문제발생경험이 낮은 군에 비해 음주문제발생경험이 높은 군에서 8.80배 문제음주에 대한 위험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여대생의 문제음주 관련 요인은 음주횟수, 마시는 속도, 음주동기, 생활스트레스, 음주문제발생경험이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음주실태와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주기적인 절주교육, 문제음주선별과 예방프로그램을 통해 문제음주가 될 위험성을 낮추고, 건전음주문화 정착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fe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with respect to drinking habit, drinking motives, and drinking problems. (Ed note: confirm edited version; original is a bit unclear in intent) Subjects include nursing college students in some areas, and data were collected 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상 음주 군과 문제음주 군으로 분류하여 간호대 여학생들의 음주실태, 음주동기와 문제음주의 상태 비교를 통해 정상음주 군과 문제음주군의 특성과 문제음주 관련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간호대 여학생의 문제음주에 효과적인 예방 및 건강교육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AUDIT-K를 이용하여 정상음주 군과 문제음주군의 특성을 파악하고,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대 여학생의 문제음주를 개선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총 181명의 간호대 여학생 중 정상 음주군은 61.
  • 본 연구는 간호대 여학생의 음주문제발생경험, 생활스트레스, 음주동기, 우울과 문제음주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 여학생의 정상음주 군과 문제음주군의 특성을 살펴보고, 문제음주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 여학생의 음주실태, 음주동기와 문제음주의 상태 비교를 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지역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4월부터 5월까지이며, 분석대상은 181명 이었다.
  • 또한 최근 20대 여성의 음주율이 높아지고 있어 간호대 여학생에서도 음주문제가 심각할 것으로 예상되나 간호대 여학생의 음주형태에 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며, 미래 건강 요원이 되어 대상자의 음주습관[11] 형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될 간호대 여학생의 음주실태와 문제음주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실제 문제음주발생 및 예방적 차원에서 개입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는 일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상 음주 군과 문제음주 군으로 분류하여 간호대 여학생들의 음주실태, 음주동기와 문제음주의 상태 비교를 통해 정상음주 군과 문제음주군의 특성과 문제음주 관련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간호대 여학생의 문제음주에 효과적인 예방 및 건강교육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제음주란? 음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문제가 일어나는 경우를 문제음주라 하는데, 문제음주는 심각한 부정적 결과를 초래 할 수 있으므로 문제음주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조기에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문제음주관련 선행연구로 음주동기, 흡연경험, 음주기대, 스트레스에 대한 지각, 자기 효능감 등[10-12]으로 보고되고 있다.
20대 여성의 음주문제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큰 이유는? 여성의 음주는 남성보다 신체적, 정신적 피해가 심각하며, 또한 음주로 인한 생활관리 문제, 폭력, 성문제 등에 쉽게 노출될 수 있고[6], 건강에 대한 인식부족과 대학 생활 중 일상화된 음주문화로 인하여[7],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폭음률도 다른 연령층과 비교하여 볼 때 가장 높아 20대 여성의 음주문제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학생들의 음주의 목적은? 학생들의 음주는 대부분 친교를 위한 사회적 행동으로, 알코올에 대한 자신의 소화능력을 고려하지 않고 과도하게 술을 마시는 경우는 많은데[8], 이로 인해 신체건강문제, 학업문제, 정신건강, 일상생활 부적응과 같은 개인적인 문제와 폭력 등 무절제한 행동양상으로 불쾌한 경험, 교통사고, 자살과 같은 사고 등 사회적인 문제로 이어져[9] 대학생의 문제음주로 인한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으며, 특히 여성 음주율의 증가로 인한 사회경제적문제와 건강을 위협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J. Joo, "Korean culture of heavy drinking and directions on policy related to alcoholism",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Welfare Administration, Vol.19, No.1, pp.73-115, 2009. 

  2. R. A. Breslow, P. M. Guenther, W. Juan, B. I. Graubard, "Alcoholic beverage consumption, nutrient intakes, and diet quality in the US adult population, 1999-2006",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Vol.110, No.4, pp.551-562, 2010. DOI: https://dx.doi.org/10.1016/j.jada.2009.12.026 

  3. B. J. Kim, B. S. Kim, J. H. Kang, "Alcohol consumption and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men: A 3-year follow-up study", Circulation Journal, Vol.76, No.10, pp.2363-2367, 2012. DOI: https://dx.doi.org/10.1253/circj.CJ-12-0315 

  4. K. H. Suh, S. A. Yang, "The rule of alcohol use as coping method with stressor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 Youth Research, Vol.18, No.1, pp.331-352, 2011. 

  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5(From: Https://knhanes.ods.go.kr/knhane 

  6. H. S. Rhu, M. J. Back, "Factors Influencing the drinking behavior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Vol.23, No.3, pp.307-315, 2012. 

  7. M. Kim, K. Shin, "A Study of the smoking university and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Vol.3, No.4, pp.23-27, 2015. 

  8. E. L. Son, S. D. Ko, "Drinking behavior and factors that affect problem drinking among korean female high-school Students", Korean Society of Alcohol Science and Health Behavior, Vol.12, No.2, pp.155-162, 2011. 

  9. B. M. Bewick, B. Mulhern, M. Barkham, K. Trusler, A. J. Hilll, W. B. Stiles, "Changes in undergraduate student alcohol consumption as they progress through university", BMC Public Health, Vol.8, No.1, Article ID 163, 2008. DOI: https://dx.doi.org/10.1186/1471-2458-8-163 

  10. H. E. Kim, K. Park, E. H. Jung, J. Y. Han, "The Effects of perceived stress, dysfunctional metacognition on problematic drinking of female university student, Paper presented at", Korean psychology association conference, Vol.1, pp.340-341, 2009. 

  11. B. H. Jeon, C. W. Kim, S. E. Kim, S. J. Lee, D. H. Lee, H. Noh, "Does The Drinking Behavior of Interns and Residents Affect Their Attitudes Toward the Screening, Brief Intervention and Referral to Treatment (SBIRT) Regarding Alcoho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21, No.4, pp.495-503, 2010. 

  12. P. H. Park, M. H. Chon, G. Y. Cho, D. H. Kim, "A Comparison of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nd mental health between two groups of korea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7, No.1, pp.110-119, 2011. DOI: https://dx.doi.org/10.5977/JKASNE.2011.17.1.110 

  13.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39, No.2, pp.175-191, 2007. DOI: https://dx.doi.org/10.3758/BF03193146 

  14. H. U. Shin, "The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motives and drinking problem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5, No.1, pp.93-109. 1999. 

  15. W. M. Cox, E. Klinger, "A Motivational model for alcohol use",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97, No.2, pp.168-180, 1990. DOI: https://dx.doi.org/10.1037/0021-843X.97.2.168 

  16. M. L. Cooper, "Motivations for alcohol use among adolescent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our-factor model", Psychological Assessment, Vol.6, No.2, pp.117-128. 1994. DOI: https://dx.doi.org/10.1037/1040-3590.6.2.117 

  17. B. U. Lee, C. H. Lee, P. G. Lee, M. J. Namk, "AUDIT :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Korea Academy of Addiction Psychiatry, Vol.4, No.2, pp.83-92. 2000. 

  18. J. S. Kim, M. K. Oh, B. K. Park, M. K. Lee, G. J. Kim, "Screening criteria of alcoholism by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AUDIT) in Korea", Korean J Fam Med, Vol.20, No.9, pp.1152-1159, 1999. 

  19. H. W. Shin, "Effects of personality and drinking motivation on drinking problems",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al Thesis, 1998. 

  20. K. K. Chon, K. H. Kim, J. S. Yi,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5, No.2, pp.316-335, 2000. 

  21. L. S. Radloff, CES-D(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1977. 

  22. K. K. Chon, S. J. Choe, B. C. Yang.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in the korean version",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Vol.6, No.1, pp.59-76. 2001. 

  23. E. Y. Do, Y. R. Hong, "Factors affecting pregnant women's drinking",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1, No.3, pp.284-307, 2011. 

  24. J. H. Kim, S. Lee, J. Chow, J. Lau, A. Tsang, J. Choi, S. M. Griffiths, "Prevalence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binge drinking, alcohol abuse, and Alcohol dependence: A population study of Chinese adults in Hong Kong", Alcohol and Alcoholism, Vol.43, No.3, pp.360-370, 2008. DOI: https://dx.doi.org/10.1093/alcalc/agm181 

  25. S. Lemke, T. K. Schutte, P. Brennan, "Gender differences in social influences and stressors linked to increased drinking",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 Vol.69, pp.695-702, 2008. DOI: https://dx.doi.org/10.15288/jsad.2008.69.695 

  26. J. A. Oliver, M. D. Blank, K. J. Van Rensburg, D. A. Mac Queen, T. H. Brandon, D. J. Drobes, "Nicotine interactions with low-dose alcohol: pharmacological influences on smoking and drinking motivat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No.1222, No.4, pp.1154-1165, 2013. DOI: https://dx.doi.org/10.1037/a0034538 

  27. M. S. Yun, H. S,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job preparing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moderating effect of problem drinking",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19, No.3, pp.109-137. 2011. 

  28. S. H. Lee, S. E. Chung, "Drinking experienc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Women's Health, Vol.12, No.1, pp.1-19, 2011. 

  29. M. R. Kong, Y. J. Chung, "A Story on the influence of college life stress on the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Focus on the college of Pyongtaek City",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Vol.19, No.1, pp.1-22, 2013. 

  30. S. H. Chung, "Factors influencing problem drinking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Mental Health Social Work, Vol.27, pp.176-198, 2007. 

  31. B. Y. Jung, Relations of stress with drinking behavior and drinking related proble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