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 현황 분석 및 방향 제언
An Analysis and Directional Suggestion for Digit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3, 2018년, pp.41 - 51  

이지혜 (미디어랩서울) ,  김정화 (고려대학교 문화ICT융합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향후 변화될 교육의 방향에 대응하여 국내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의 방향도 변화해야 함을 논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라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의 개념과 유형을 논하고, 해외의 대표 사례들을 분석하여 각 유형별 프로그램의 특정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에서는 아직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현재 국내의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 프로그램은 대부분 문화유산에 대한 소개를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문헌과 대표 사례연구를 통해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이 학습자의 역사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며 디지털 리터러시와 같은 교육적 능력도 함양하는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즉,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은 단순히 기존의 문화유산 교육에 디지털 기기가 추가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문화유산 교육의 본질을 디지털 속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접목하여 문화유산에 대한 지식교육뿐만 아니라 미래 교육이 지향하는 인포멀 러닝의 다양한 형태로 도출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의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에 대한 분석 및 미래 방향성에 대한 제언을 통해 앞으로 미래형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의 기초연구가 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discusses the necessity for change in the domestic digit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following, this research analyzes definition and categories of digit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longside with several case studies of global institution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out...

주제어

참고문헌 (16)

  1. http://www.nmc.org/nmc-horizon 

  2. http://elearningindustry.com 

  3. S. Shep, etc, Exploring Digital Technology and Historical Thinking in Undergraduate Learning and Teaching at VUW, VUW Press, 2013. 

  4. D. Throsby, Economics and Cul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5. D Harvey, "Heritage pasts and heritage presents: temporality, meaning and the scope of heritage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Vol.7, No.4, pp.319-338, 2001. 

  6. http://www.unesco.org 

  7. 디지털문화유산영상관 전시운영방안 연구, 한국문화재청, p.4, 2013. 

  8. M Vaart and C Ray, "Domus:An On-Gallery Digital Museum Experience in Two Parts" Engaging Spaces: Interpretation, Design and Digital Strategies, NODEM 2014 Proceedings, p.194-201, 2014. 

  9. 97문화유산의 해 사업결과 보고서, 문화체육부 문화재관리국, 1998. 

  10. 문화유산 교육 현황 및 발전방향, 월간 문화재, 한국 문화재청, 2013년 12월호 

  11. L. Viinikkala, O. Helmo, T. Korkalainen, T. Makila, S. Helle, V. Panni, J. Arimaa, F. Saukko, J. Paakyla, S. Jokela, T. Lehtonen, and O. Leskinen, "The Luostarinmaki Adventure An Augmented Reality Game in an Open-air Museum," Engaging Spaces: Interpretation, Design and Digital Strategies, NODEM 2014 Proceedings, pp.232-243, 2014. 

  12. J.Suh, J. Ahn, H. Kim, and J. Kim, "Evaluation of an Interactive Multimedia Exhibit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South Korea," NODEM 2014 Proceedings, pp.276-285, 2014. 

  13. D. Walsh, P. Clough, and J. Foster "User Categories for Digital Cultural Heritage" http://ceur-ws.org/Vol-1611/paper6.pdf accessed on 14th Feb 2018. 

  14. M. Gatsch, F. Kayali, R. Mateus-Berr, T. Mikeska, and K. Seirafi, "Mobile Technology and Museum Education for Schools Theory, Study Results & Use Cases from the Project Art.Lector," NODEM 2014 Proceedings, pp.171-176, 2014. 

  15. S. Lopez and A. Ramos, "Museu d'Art Contemporani de Barcelona(MACBA), Barcelona," Museums and the Web 2010 https://www.museumsandtheweb.com/mw2010/papers/lopez/lopez.html accessed on 17th Feb. 2018. 

  16. R. Parry and M. Ortiz-Williams, "How Shall We Label Our Exhibit Today? Applying the Principles of On-Line Publishing to an On-Site Exhibition," Museums and the Web 2007 https://www.museumsandtheweb.com/mw2007/papers/parry/parry.html accessed on 20th Feb. 201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