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HPV 백신 접종의도와 융복합적 관련요인
Convergence Related Factors and HPV Vaccination Intention for Mothers with Children Elementary School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3, 2018년, pp.311 - 319  

오윤정 (송원대학교 간호학과) ,  이은미 (송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하여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접종의도와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G광역시 소재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 132명으로 자료수집은 2017년 7월 1일부터 2017년 8월 30일까지 이루어졌고, 자료분석SPSS 23.0 Program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대상자의 초등학생 자녀 94.7%가 HPV 백신을 접종하지 않았으며, 그 이유로 백신에 대해 잘 모르거나 부작용에 대한 걱정, 비용부담 등인 것을 나타났다. 대상자의 HPV 백신에 대한 접종태도는 접종의도 중 가장 중요한 예측요인이었고 지각된 행위통제, 주관적 규범도 유의한 예측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HPV 백신에 대한 정확한 지식제공을 통해 접종태도와 실천행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ttempte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intention of human papilloma virus vaccination among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daughters. The subject of study is 132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ly 1 to August 30 in 2017, and a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HPV 백신 접종 권장연령인 11-12세를 포함한 남녀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TPB를 바탕으로 하여 HPV 백신 접종에 대한 의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녀에 대한 접종률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발병률이 높은 15-34세 연령군의 자궁경부암 발생률을 낮추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계획된 행위이론를 바탕으로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HPV 백신 접종의도와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계획된 행위이론을 바탕으로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HPV 백신 접종에 대한 의도와 접종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자녀에 대한 접종률 향상과 자궁경부암 발생율 감소에 기여하고자 수행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계획된 행위이론을 바탕으로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HPV 백신 접종의도를 파악하고 HPV백신 접종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HPV 인지여부는 백신접종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본 연구 대상자들의 71.
  • 본 연구는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HPV 백신 접종의도와 HPV 백신 접종 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 지역 소재 백신접종을 하지 않은 어머니를 주 대상으로 이루어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자녀에 대한 실제 예방접종행위를 예측하는데 제한이 있다.
  • 이에 HPV 백신 접종 권장연령인 11-12세를 포함한 남녀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TPB를 바탕으로 하여 HPV 백신 접종에 대한 의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녀에 대한 접종률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발병률이 높은 15-34세 연령군의 자궁경부암 발생률을 낮추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PV는 어떻게 감염되는가? HPV 감염으로 인한 자궁경부암 및 기타 생식기암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개발된 HPV 백신은 HPV 16, 18형과 관련성이 있는 침습적 암 예방에 높은 효과를 보이고 있다[6]. HPV 감염은 주로 성적 접촉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질병관리본부에서는 HPV 백신 접종대상 연령을 만9-26세로 권고하며 첫 성경험 평균 연령을 고려하여 만15-17세를 접종연령의 최적시기로 규정하고 있다[7]. 또한 세계보건기구는 성생활 시작 전인 만9-13세를 접종연령으로 제시하고 있고 대부분의 백신접종 허가국에서도 만 11-12세에 접종하는 경우가 많다[5.
계획된 행위이론이란 무엇인가? 계획된 행위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 TPB)은 특정 행위의 의도를 예측하고 관련요인을 분석하는데 활용되는 이론[15]으로 TPB에 근거하여 HPV 백신 접종 의도를 연구한 국내외 선행연구에 따르면 HPV 백신 접종에 대한 개인적 태도, 주관적 규범 및 지각된 행위 통제가 HPV 백신 접종의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8,14,16,17]. 특히 딸에 대한 어머니들의 HPV 백신 접종에 대한 태도는 접종의도의 예측요인으로 가장 중요하고[18], 부모의 HPV 및 백신 관련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HPV 백신 접종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19].
인유두종 바이러스의 특징은 무엇인가? 인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HPV)로 인한 감염은 자궁경부암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자궁경부암의 70%에서 검출되고 있다[4]. 대부분의 HPV는 자연적으로 소멸되지만 특히 HPV 16, 18형은 고위험군으로 분류되어 지속적 감염 시 자궁경부암, 질암, 항문암 등을 유발시키고 자궁경부암을 발생시키는 HPV 유형의 99%를 차지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 H. Jang & J. I. Sook.. (2016). Converged study on the nurses'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cancer pain management in one c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6), 115-142. 

  2. L. A. Torre, F. Bray, R. L. Siegel, J. Ferlay, J. Lortet-Tieulent & A. Jemal. (2015). Global cancer statistics. CA Cancer J Clin, 65(2), 98-109. 

  3.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 r(2014). Occurrence status by carcinoma.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 cer_040102000000. 

  4. E. J. Crosbie, M. H. Einstein, S. Franceschi & H. C. Kitchener. (2013). Human papillomavirus and cervical cancer. Lancet. 382(9895), 889-899. http://dx.doi.org/10.1016/S0140-6736(13)60022-7. 

  5. B. G. Kim. (2015). Current knowledge of cervical cancer vaccination.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8(4), 313-318. 

  6. M. D. S. Wong, A. Lee, K. L. K. Ngai, J. C. Y. Chor & P. K. Chan. (2013). Knowledge, attitude, practice and barriers on vaccination against human papiloma virus infection: A cross-sectional study among primary care physicians in Hong Kong.. Public. Library of Science. 8(8), 71827.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71827 

  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Trends in HPV vaccination and vaccine efficacy. http://cdc.go.kr/CDC/info/CdcKrInfo0301.jsp?menuIdsHOME001-MNU1154-MNU0005-MNU0037&cid61045 

  8. K. E. Lee. (2014). Factors associated with intention to receive human papilloma virus vaccine in undergraduate women: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J Korean Acad Fundam Nurs, 21(4), 457-465. http://dx.doi.org/10.7739/jkafn.2014.21.4.457 

  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The 12th youth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statistics. https://yhs.cdc.go.kr/new/pages/pds1.asp 

  10. B. G. Kim et al. (2007). Recommendation guideline of Korean Society of Gynecologic Oncology and Colposcopy for quadrivalent human papillomavirus vaccine. Journal of Gynecologic Oncolgy, 18(4), 259-283. 

  11. S. Francesch et al. (2009). Differences in the risk of cervical cancer and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by educational level. British Journal of ancer, 1, 865-870. 

  12.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017).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Medical Information. HPV.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277 

  13. K. A Choi, J. H. Kim, K. S. Lee, J. K. Oh, S. N. Liu & H. R. Shin (2008). Knowledge of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and acceptability of vaccination among adult women in Korea.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51(6), 617-623, 

  14. H. M. Park & H. E. Oh(2014). Factors associated with the intention of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among mothers of junior high school daughter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Society, 14(8), 307-318. 

  15. D. E. Montano, D. Kasprzyk & S. H. Taplin. (1997).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2nd ed. San Francisco : Jossey-Bass. 

  16. N. M. Askelson, S. Campo, J. B. Lowe, S. Smith, L. K. Dennis & J. Andsager. (2010).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predict mothers' intentions to vaccinate their daughters against HPV. The Journal of School Nursing, 26(3), 194-202. 

  17. G. S. Ogilvie, V. P. Remple, F. Marra, S. A. McNeil, M. Naus & K. Pielak. (2008). Intention of parents to have male children vaccinated with the human papillomavirus vaccine.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84(4), 318-323. 

  18. M. N. Askelson, C. Campo, B. J. Lowe, S. Smith & K. L. Dennis. (2010).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predict mothers' intentions to vaccinate their daughters against HPV. The Journal of School Nursing, 26(3), 194-202. 

  19. M. Pitts, A. Smith, S. Croy, A. Lyons, R. Ryall & S. Garland. (2009). Singaporean men's knowledge of cervical cancer and human papillomavirus(HPV) and their attitudes towards HPV vaccination. Vaccine, 27(22), 2989-2993. 

  20. M. S. Yoo. (2014). Knowledge level of human papillmavirus, cervical cancer and vaccination status among mothers with daughters in high school.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1), 105-115. 

  21. J. S. Park & E. J. Lee. (2011). Predictors of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7(4), 346-358. 

  22. S. H. Kim & M. H. Sung. (2017). Factors Influencing HPV-related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Women Health Nurs, 23(2), 126-134. 

  23. H. R. Lee & Y. J. Oh. (2015).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the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in some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612), 235-244. 

  24. J. L. Shim. (2016).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for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among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gir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Gwangju. Korea. 

  25. H. W. Kim & H. Y. Ahn. (2007). Study on the knowledge of human papilloma viru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Women Health Nurs, 13(1), 13-20. 

  26. W. H. Park. (2014). Knowledge of Parents on HPV Vaccination to their Daughters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Accept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gi University, Daejeon, Korea. 

  27. Ajzen, I. (2004).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http://www.people.umass.edu/aizen/tpb.html. 

  28. S. K. Kim. (2007). Configuration of a vaccination-behavior model for mothers with infants. Unpublished doctor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9. K. N. Lee, K. H. J. Chang, S. S. Cho, S. H. Park & S. T. Park.. (2017). Attitudes regarding HPV vaccinations of children among mothers with adolescent daughters in korea. Korean Med Sci, 32(1), 130-134. 

  30. H. W. Kim. (2011). Factors influencing mother's acceptance of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to prevent cervical cancer in their daughters. Korean J Women Health Nurs, 17(2), 137-147. 

  31. Y. M. Jang, J. S. Han & Y. S. Moon. (2015). Convergence study of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HPV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about human papilloma virus(HPV) vaccination among health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9), 313-321. 

  32. J. E. Moon & M. O. Song. (2017). A convergence study about the performance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of hospital nurses-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5), 117-125. 

  33. Y. H. Ko. (2016). Physical activity, social support and participation of women knowledge about cervical cancer screening, the screening attitude multiplicative influence of cervical cancer scree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7), 439-4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