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에너지 넥서스기반 국내 댐 가능최대 수열에너지 산정
Estimation of the Probable Maximum Water Thermal Energy in Korean Dams based on the Water-Energy Nexus Concept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60 no.2, 2018년, pp.45 - 53  

정영훈 (Department of Construction & Disaster Prevention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mand for essential resources including water, energy and food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population growth and urbanization.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cept of water-energy-food nexus has been introduced, and many countries have been trying to acquire the Nexus technology th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러한 월별 저수량은 수열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해 용수를 사용한다면 다음 월의 댐 저수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영향을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에 실제 월별 댐 저수량에 기반하여 월별로 수열에너지를 최대로 회수할 수 있는 가능최대 수열에너지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댐 저수량은 WAMIS (http://www.
  • 그렇다면, 식량생산이나 다른 인간생활에 에너지를 공급하는데 있어 국내 지표수를 가장 많이 담고 있는 댐에 내재되어 있는 수열에너지는 얼마나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에서 본 연구는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댐의 월별 저수용량에 대한 수열에너지를 산정하여 가능최대 공급 수열에너지를 산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4대강 수계에 위치한 댐들 가운데 저수용량이 가장 큰 댐에 대하여 월별 댐 저수량 및 댐의 수온과 대기온도의 차이를 바탕으로 월별 가능 최대 공급 수열에너지를 산정하였다.
  • 국내 해수, 하천 수, 하수처리시설, 지하수열, 농업용 저수지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었으나, 국내 지표수를 가장 많이 보유한 댐을 대상으로 한 수열에너지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댐을 대 상으로 수열에너지를 산정하여 댐이 보유한 수열에너지의 양과 특성을 분석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물-에너지 넥서스의 접근방법가운데 하나로 댐에 잠재되어 있는 월별 가능최대 수열에너지를 산정하였다. 수열에너지는 이미 오래전부터 연구되기 시작했으나 국내에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 또한, 온도차를 대부분 히트펌프 열교환기의 출·입구의 온도차인 3~5 ℃를 적용했지만 본 연구에서는 가능최대 수열에너지를 산정하기 위해서 대기온도와 댐 수온의 온도차이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능최대 수열에너지를 산정하기 위해서 실질적으로 댐의 유입과 방류로 인하여 댐에 저수되어 있는 월별 저수량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월별 저수량은 수열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해 용수를 사용한다면 다음 월의 댐 저수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국내 댐은 총 85개로 K-water, 한국수력원자력,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WAMIS). 본 연구에서는 댐 수원이 클수록 수열에너지량이 많아지는 것을 고려하여 국내 4대강 각 유역에서 가장 큰 저수용량을 가지는 다목적 댐들을 선택 하여 이 댐들이 가지는 수열에너지를 산정하였다 (Fig. 1). 저수용량은 유역별로 한강 유역은 소양강댐, 금강 유역은 대청댐, 영산강-섬진강 유역은 섬진강댐, 낙동강 유역은 안동댐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이 댐들을 본 연구의 대상 댐으로 선정하였다 (Table 2).
  • 본 연구에서는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열에너지를 산정한 것이 아니라 월별 댐 저수량에 대한 가능최대 수열에너지를 산정하였다. 따라서 에너지수요가 있는 곳의 특성에 맞추어 냉방 혹은 난방용 에너지를 공급에 대한 댐의 역할이 달라질 수 있으며, 가능최대 수열에너지는 저수량에 근거하였기 때문에 댐 운영에 따른 실질적인 에너지회수율에 비하여 과대산정된 값이며 히트펌프에 따라 이용가능 수열에너지의 양은 변할 수 있다.
  • 그러나 히트펌프의 조건 및 성능에 따라 수열에너지의 양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히트펌프의 성능 및 조건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월별 댐 저수용량에 근거한 가능최대 수열에너지 산정에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월별 가능최대 수열에너지 양은 히트펌프를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이용가능한 에너지양보다 훨씬 클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열에너지를 산정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하는 인자는 무엇인가? 수열에너지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댐의 수온과 대기온도의 차이와 더불어 활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이 중요한 인자이다. 따라서 댐 수원의 이용은 댐 수열에너지의 활용을 높일 수 있다.
대기온도와 수온의 차이는 어떤 지표를 나타내는가? 수열에너지를 산정하는데 있어서 대기온도와 수온의 차이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온도차는 냉방시스템과 난방시스템에 공급할 수 있는 에너지를 선택할 수 있는 지표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수온이 대기온도보다 낮으면 냉방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으며, 수온이 대기온도보다 높으면 난방시스템에 활용될 수 있는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물-에너지-식량 넥서스는 어떤 개념인가?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자원공급은 국제 자원시장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자원 소비에 있어 그 효율성을 높여 자립적으로 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물-에너지-식량 넥서스 (Water-Energy-Food Nexus)는 자원간 상호의존성을 분석하여 자원 생산 공급 소비의 과정을 연계함으로써 자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개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en, X., G. Zhang, J. Peng, X. Lin, and T. Liu, 2006. The performance of an open-loop lake water heat pump system in south China, Appl. Therm. Eng. 26: 2255-2261. DOI: 10.1016/j.applthermaleng.2006.03.009 

  2. Kavanaugh, S. P., 1989. Design considerations for ground and water source heat pumps in southern climates, ASHRAE Trans. 95(1): 1139-1149. 

  3. KEMCO, 2016a. New & Renewable Energy Statistics 2015, Korea Energy Agency, Korea. 

  4. KEMCO, 2016b. Industry Statistics of New & Renewable Energy 2015, Korea Energy Agency, Korea. 

  5. KIER, 2005. The Optimization of Demonstration Network Plant Using Unutilized Energy Resources, 6-116.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6. Kim, J., Y. Ryoo, and M. Park, 2015. Analysis of Available Capacity and Relevant Legal System for the Use of Temperature Difference Energy in a Rural Community. New & Renewable Energy, 11(3): 21-27 (in Korean). 

  7. Kindaichi, S., D. Nishina, L. Wen, and T. Kannaka, 2015. Potential For Using Water Reservoirs As Heat Sources In Heat Pump Systems, Applied Thermal Engineering, 76: 47-53. DOI:10.1016/j.applthermaleng.2014.10.091 

  8. Mitchell, M. S., and J. D. Spitler, 2013. Open-loop direct surface water cooling and surface water heat pump systems-A review, HVAC&R Res., 19: 125-140. DOI: 10.1080/10789669.2012.747374 

  9. Park, J. T., and K. C. Chang, 2002. An Investigation on Quantity of Unused Energy Using Temperature Difference Energy as Heat Source and Its Availability, Korean Energy Engg. J., 11(2): 106-113 

  10. Peer, T., and W. S. Joyce, 2002. Lake-source cooling, ASHRAE J. ,44(4): 37-39. 

  11. Rockstrom, J., W. Steffen, K. Noone, A. Persson, F. S. III. Chapin, E. F. Lambin, T. M. Lenton, M. Scheffer, C. Folke, H. J. Schellnhuber, B. Nykvist, C. A. de Wit, T. Hughes, S. van der Leeuw, H. Rodhe, S. Sorlin, P. K. Snyder, R. Costanza, U. Svedin, M. Falkenmark, L. Karlberg, R. W. Corell, V. J. Fabry, J. Hansen, B. Walker, D. Liverman, K. Richardson, P. Crutzen, and J. A. Foley, 2009. A safe operating space for humanity. Nature, 461: 472-475. doi:10.1038/461472a 

  12. Takeshi, K., T. Hiroo, and M. Hisashi, 1993. Possibility of Utilization of River Water as the Heat Source/Sink of Heat-Pump Systems: Part I. In Proceedings of the Annual Conference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499-500. Tokyo, Japan.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