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에서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지, 교육경험이 그 시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Awarenes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the Ability to Execut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mong Korean Adults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3 no.4, 2018년, pp.234 - 249  

이재광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  김정우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  김건일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  김근형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  김동필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  김유리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  문성균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  민병주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  유화영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  이채림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  정원영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  한창훈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  허인호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  박정희 (건양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이무식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심폐소생술의 인지, 교육경험, 시행능력 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인구학적요인, 지역적 요인, 의료 현황, 교육적 경험 등이 심폐소생술 시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4년도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했다. 이 자료는 대한민국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2014년 7월 기준 시, 군, 구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 중, 조사에 참여한 228,712명에서 보건소별로 평균 900명(목표오차 ${\pm}3%$)으로 고려하여 표본을 추출해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R 통계프로그램 3.1.3.을 사용하여 카이제곱검정, 상관분석,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 등으로 이루어졌다. 심폐소생술의 시행능력은 남성에서(3.34배), 젊은 층에서(1.06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1.61배), 화이트 칼라 직업일수록(1.14배), 소득수준이 높을수록(1.07배), 급만성질환 및 사고중독의 비경험자일수록(0.91배), 고혈압 비진단자 일수록(1.12배), 당뇨병 비진단자 일수록(1.16배, 이상지질혈증 비진단자 일수록(0.86배), 뇌졸중 비진단자 일수록(1.54배), 주관적 건강이 높을수록(1.08배, 1.16배), 비고령사회일수록(0.90배), 심폐소생술 교육경험이 높을수록(3.25배), 심폐소생술 마네킹 실습경험이 있을수록(4.30배) 유의하게 더 높았다. 분석결과, 개인 및 지역사회 요인과 심폐소생술 인지, 교육경험 등은 심폐소생술 시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환경에 적합한 심폐소생술 교육정책 마련에 적극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병원 전단계 심폐소생술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impact of awarenes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the ability to execut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mong Korean adults. This study used original data of 2014 Community Health Data Survey. 228,712 participants in this s...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대한민국 국민들의 심폐소생술 인지, 교육경험 및 시행능력 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심폐소생술 인지, 교육경험, 마네킹 활용 교육경험 그리고 다양한 개인 특성변수 및 의료현황과 지역 변수 등이 심폐소생술 시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고자 시도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심폐소생술 시행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교육이 필요한 대상자선정에 도움을 주고 체계화된 교육과정 및 교육 평가의 필요성을 제안하여, 대한민국 국민들의 심폐소생술 인지도와 교육경험 증가를 시킬 수 있는 정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 최근 심장정지로 인한 사망이 증가함에 따라 심장정지 생존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목격자 심폐소생술 시행의 중요성이 제기되었다[4]. 이 연구는 심폐소생술 교육의 필요성과 더불어 인지를 높이고 시행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의 중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심폐소생술의 인지, 교육경험, 시행능력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인구학적 요인, 지역적 요인, 의료현황 등이 이들에게 각각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 이 연구는 심폐소생술의 인지, 교육경험, 시행능력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인구학적요인, 지역적 요인, 의료 현황, 교육적 경험 등이 심폐소생술 시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 세계적으로 단일 질환으로서 사망원인 1위는? 전 세계적으로 단일 질환으로서 사망원인 1위는 심혈관질환이다[1]. 한국에서는 2017년 전체 사망 원인 중 심장질환이 차지하는 비율이 10.
급성 심장정지 생존율에는 어떤 요소가 영향을 주는가? 급성 심장정지 생존율에는 성별, 연령 등 개인요인과 심장정지가 바로 목격되었는지, 심장정지 환자가 바로 목격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상황요인, 심장정지신고 후 응급실 도착까지 소요 시간 등의 병원 전 단계요인, 응급의학 전문의 수 등의 병원 요인, 지역의 사회경제적 수준 등의 지역 요인과 같이 다양한 요소가 영향을 준다[5]. 이와 같이 급성 심장정지 생존율에 작용하는 요인들은 다양하다.
지역요인의 사회경제적 수준은 우리나라에서 한계를 보이므로 어떠한 요인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한가? 그리고 지역요인의 사회경제적 수준은 자본주의체제인 우리나라에서 복지로 사회경제적 수준을 높이는 것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황요인(심장정지 환자가 바로 목격된 경우)과 병원 전 단계 요인(목격자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경우)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로 심폐소생술이 적절히 이루어진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급성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 퇴원율이 약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top 10 causes of death. 2017.1. Available from : URL :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10/en/ 

  2. Statistics Korea. 2017 Annual report on the causes of death statistics. 2018 (Korean) 

  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6-2017 Sudden cardiac death statistics. 2018 (Korean) 

  4. Benjamin EJ, Virani SS, Callaway CW. Chamberlain AM, Chang AR, Cheng S et al.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18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18;137:e67-e492 

  5. Jeong SY, Kim CW, Hong SO. The factors influencing survival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with cardiac etiology. JKAIS 2016;17(2):560-569 

  6.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Government integrated computing center press release. 2016. 10. 25 (Korean) 

  7. Yu IS. What to do to improve emergency care.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0;169(6):45-57 (Korean) 

  8. Benjamin EJ, Blaha MJ, Chiuve SE, Cushman M, Das SR, Deo R et al.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17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17;135(7):e323-341 

  9. McNally B, Robb R, Mehta M, Vellano K, Valderrama A, Yoon P et al.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surveillance-Cardiac Arrest Registry to Enhance Survival (CARES), United States, October 1, 2005-December 31, 2010. MMWR 2011;60(SS08);1-19 

  10. Shimamoto T, Iwami T, Kitamura T, Nishiyama C, Sakai T, Nihiuchi T et al. Dispather instruction of chest compression-only CPR increases actual provision of bystander CPR. Resuscitation 2015;96:9-15 

  1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ntroduction of standard training program for CPR. 2014. 11. 6 (Korean) 

  1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Establishment of base for spreading CPR. 2015 (Korean) 

  13. Ahn MW, Yoon HD, Kim SW, Lee MH. Report on awareness and satisfaction survey of major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2015. Korea Centr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6 (Korean) 

  14. Sasson C, Meischke H, Abella BS, Berg RA, Bobrow BJ, Chan PS et al. Increas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rovision in communities with low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rates: a science advisory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for Healthcare providers, policy makers, public health departments, and community leaders. Circulation 2013;127(12):1342-1350 

  15. Lee BC. The current statu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for school. J Korean Soc Emerg Med 2012;23(4):470-478 (Korean) 

  16. Yang YJ, Kwon IS. Nursery teachers'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ability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hild Health Nurs Res 2014;120(4):304-313 (Korean) 

  17. Lee IS, Baek ML. The effectivenes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targeted for policeman. Korean J Emerg Med Ser 2001;5:53-61 (Korean) 

  18. Lee JE, Koh BY, Lee IM, Choi KM, Park SI, Ahn HG. The evaluation of bas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targeted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 Emerg Med Ser 2003;7(1):43-53 (Korean) 

  19. Lee WW, Cho GH, Choi SH, Ryu JY, You JY, You KC. The effect of basic life support education on laypersons' willingness and self-confidence in performing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orean J Emerg Med Ser 2009;20(5):505-509 (Korean) 

  20. Lee MH, Choi SH, Park MJ. Effect of CPR Training for lay trainees on their knowledge and attitude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7;14(2):198-203 (Korean) 

  21. Lee CH, Ji HK. A study on comparison of educational evaluation by people in general in association with the revision of the CPR guidelin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ulticultural Health 2013;3(1):801-809 (Korean) 

  22. Hong WP, Lee JE, Kim TY. Description : Direction and methodology of CPR education for the general public (Delphi method questionnaire). J Korean Soc Emerg Med 2013;2:323-324 (Korean) 

  23. Jang CW. Education Evaluation of basic CPR on guard major collegian in Gwangju and Jeonnam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2011;7(4):266-272 (Korean) 

  24. Abella BS, Aufderheide TP, Eigel B, Hickey RW, Longstreth WT Jr, Nadkarni V et al. Reducing barriers for implementation of bystander-initiat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for healthcare providers, policymakers, and community leader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irculation 2008;117(5):704-709 

  25. Bilger MC, Giesen BC, Wollan PC, White RD. Improved retention of the EMS activation component (EMSAC) in adult CPR education. Resuscitation 1997;35(3):219-224 

  26. Reder S, Cummings P, Quan L. Comparison of three instructional methods for teach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use of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to high school students. Resuscitation 2006;69(3):443-453 

  27. Ruijter PA, Biersteker HA, Biert J, Goor HV Tand EC. Retention of first aid and basic life support skills in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 Medical Education Online 2014;19:24841 

  28. Parnell MM, Larsen PD. Poor quality teaching in lay person CPR courses. Resuscitation 2007;73(2):271-278 

  29. Michael Huplf, Selig HF, Nagele P. Chest compression-only CPR:a meta-analysis. Lancet 2010;376(9752):1552-1557 

  30. Lee YK, Nho TH, Park YS, Lee MJ, Hwang SO, Cha KC et al. Enhanced strategies through national tri-temporal analysis of public capacity prepared for layperson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orean Soc Emerg Med 2016;27(6):549-555 (Korean) 

  31. Emergency Medical Services Act. (Amendment 2016.5.29., Law No. 14218) (Korean) 

  3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urveillance and quality management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2006, 2007, 2008, 2009, 2010, 2012 (Korean) 

  3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Developed a standard education program for CPR. 2012 (Korean) 

  34. ALA CODE 16-40-8:Alabama Code-Section 16-40-8, 1983 

  35. Pennsylvania Code 24 P.S. 12-1205.4, 2000 

  36. Stromsoe A, Andersson B, Ekstrom L, Herlitz J, Axelsson A, Goransson KE et al. Education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Sweden and its clinical consequences. Resuscitation 2010;81(2):211-216 

  37. Baek HS, Park SS. A comparison of accuracy in artificial respiration and chest compression depending on position, gender, and weight of a victim giv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1;11(5):280-290 (Korean) 

  38. Han JS, Ko IS, Kang KS, Song IJ, Moon SM, Kim SH. The effectivenes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targeted for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Fundam Nurs 1999;6(3);493-506 (Korean) 

  39. Kim SS. The effect of bas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06;23(4):155-171 

  40. Kim SH, Nho WY, Lee MJ, Hwang SO, Cha KC, Cho GC, Choe Michael SP. National survey of training methodology between experience and needs for layperson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orean Soc Emerg Med 2015;26(6);534-542 (Korean) 

  41. Shin EY, Song CG. Emergency response strategy for mitigating industrial disasters on construction sites. Journal of the KOSOS 2015;30(6):85-93 (Korean) 

  42. Kang KH, Yang HJ, Lee G, Youn ST, Yim J, Im JS, Yeom SR. Predictor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for layperson. Korean Soc Emerg Med 2006;17(6):539-544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