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 과일식초의 대사체 분석 및 향기 특성
Metabolome Analysis and Aroma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Fruit Vinegar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6 no.4, 2018년, pp.416 - 424  

최찬영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박은희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류수진 ((주)국순당) ,  신우창 ((주)국순당) ,  김명동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원도에서 생산된 과일을 사용하여 식초를 제조하여, 초산 발효에 의하여 변화되는 주요 대사체 및 향기 성분을 조사하였다. 머루 복분자 식초에서는 초산 발효에 의하여 ${\text\tiny{L}}$-alanine의 함량 변화가 가장 크게 변화하였으며, 초산은 향기 성분 전체 함량 중 43%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초산 발효 후 ethyl acetate, isoamyl acetate 등의 에스테르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오미자 막걸리 식초의 경우 초산발효에 의하여 linalool, hexanoic acid 등이 생성되었고 테르펜류 화합물이 41.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머루 복분자 식초의 경우와 유사하게 ${\text\tiny{L}}$-alanine의 함량 변화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머루 복분자 식초에서는 ethyl acetate, 오미자 막걸리 식초에서는 감귤향을 내는 terpinel-4-ol, 꽃향기를 내는 ${\alpha}$-terpineol 등 테르펜류의 성분들이 각 식초의 향기 특성에 큰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inegar was prepared from the fruits produced in Gangwon province, and major metabolite and aroma components were investigated for acetic acid fermentation. In the case of Meoru-Bokbunja vinegar, the ${\text\tiny{L}}$-alanine content was greatly changed by acetic acid fermentation. Acet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에서 생산된 과일을 사용하여 제조한 식초의 대사체 및 향기 성분을 분석하여 고품질 식초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초의 효능은? 식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으로, 식욕과 소화흡수 촉진, 항산화 활성, 노화방지, 면역기능 향상 등의 생리활성이 보고되었으며, 산미료 뿐만 아니라 건강 음료로서 최근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1]. 국내에서 조미료로 소비되는 식초는 주정을 원료로 사용하는 양조식초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건강관련 기능성이 보고되면서 양조식초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식초 제조에 사용되는 대표적 미생물은? 식초 제조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미생물로는 Acetobacter sp., Gluconobacter sp. 등을 들 수 있으며, 에탄올을 기질로 사용하여 초산을 생산한다. 초산발효는 초산 이외에도 알코올, 에스테르, 유기산 및 아미노산 등의 다양한 물질을 생산하여 식초 마다 고유한 향미를 나타나게 된다[3, 4].
초산발효 과정 중에 생성되는 주요 향기 성분은? 초산발효는 초산 이외에도 알코올, 에스테르, 유기산 및 아미노산 등의 다양한 물질을 생산하여 식초 마다 고유한 향미를 나타나게 된다[3, 4]. 발효 과정 중에 생성되는 주요 향기성분으로는 식초 고유의 향기로 알려진acetic acid, ethyl acetate 등이 있으며, phenylethyl alcohol, phenylethyl acetate, isoamyl acetate 등도 특유의 풍미를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초의 품질은 원료, 발효 및 숙성 방법에 따라 달라지며[5, 6], 최근 정밀기기를 이용한 대사체(metabolome) 및 향기 성분 분석을 통해 제품의 품질 및 원산지 판별 등도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Yeo SH, Lee OS, Lee IS, Kim HS, Yu TS, Jeong YJ. 2004. Gluconacetobacte persimmonis sp. nov., isolaed from Korean traditional persimmon vingar. J. Microbiol. Biotechnol. 14: 276-283. 

  2. Jeong YJ. 2009. Curr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in the Korean vinegar industry. Food Sci. Ind. 42: 52-59. 

  3. Jung YJ, Lee MH. 2000. A view and prospect of vinegar industry. Food Ind. Nutr. 5: 7-12. 

  4. Kim GR, Yoon SR, Lee JH, Yeo SH, Jeong YJ, Yoon KY, Kwon JH. 201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nd volatile components in commercial fruit vinegars. Korean J. Food Preserv. 17: 616-624. 

  5. Na HS, Choi GC, Yang SI, Lee JH, Cho JY, Ma SJ, Kim JY. 2013.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commercial fermented vinegars made with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Preserv. 20: 482-487. 

  6. Lee SW, Kwon JH, Yoon SR, Woo SM, Jang SY, Yeo SH, et al. 2010. Quality characteritics of brown rice vinegar by differrent yeasts and fermentation condi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66-1372. 

  7. Hur SH, Kim SW, Min BW. 2015. Discrimination of cultivars and cultivation origins from the sepals of dry persinnob using FT-IR spectroscopy combined with multivariate analy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20-26. 

  8. Pinu FR, Edwards PJ, Jounanneau S, Kilmartin PA, Gardner RC, Villas-Boas SG. 2014. Sauvignon blanc metabolomics: grape juice metabolite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varietal thiols and others aroma compounds in wines. Metabolomics 10: 556-573. 

  9. Lee JI, Park YJ, Gu EJ, Kim DW, Song SH, Jang GJ, et al. 2015. GC/MS-based metanolomics analysis of Yershinia enterocolitica and its growth media. J. Agricul. Life Sci. 49: 199-207. 

  10. Zhuang B, Bi ZM, Wang ZY, Duan L, Lai CJ, Liu EH. 2018. Chemical profiling and quantitation of bioactive compounds in Platycladi Cacumen by UPLC-Q-TOF-MS/MS and UPLC-DAD. J. Pharm. Biomed. Anal. 154: 207-215. 

  11. Cappellin L, Aprea E, Granitto P, Wehrens R, Soukoulis C, Viola R, et al. 2012. Linking GC-MS and PTR-TOF-MS fingerprints of food samples. Chemometr. Intell. Lab. Syst. 118: 301-307. 

  12. Jo YJ, Kim OM, Jeong YJ. 2013. Monitoring of the changes in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oriental melon wine using SPME. Korean J. Food Presev. 20: 207-214. 

  13. Kim KH, Kim AH, Lee JK, Chun MS, Noh BS. 2014. Analysis of flavor pattern of various coffee beans using electronic nose.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1-6. 

  14. Noh BS. 2005.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using electronic nose and its application in food indusrty.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048-1064. 

  15. Lee SW, Yoon SR, Kim GR, Woo SM, Jeong JH, Yeo SH, et al. 2012. Effects of Nuruk and fermentation method on organic acid and volatile compounds in brown rice vinegar. Food Sci. Biotechnol. 21: 453-460. 

  16. Lee SJ, Noble AC. 2003. Characterization of odor-active compounds in Califonian chardonnay wines using GC-olfactometry and GC-mass spectrometry. J. Agric. Food Chem. 51: 8036-8044. 

  17. Park YS, Heo JY, Kim IJ, Heo SJ, Kim KH, Jeong BC, Park SM. 2005.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Vitis amurensis Rupr. collected in Gangwondo.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 226-233. 

  18. Mo HW, Jung YH, Jeong JS, Choi KH, Choi SW, Park CS, et al.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vinegar fermented using Omij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441-449. 

  19. Oh HJ, Lim SB. 2017. Quality changes in kiwifruit wines during fermentation and aging with different yeas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6: 481-489. 

  20. Baek SY, Lee YJ, Kim MD, Lee JH, Mun JY, Yeo SH. 2015. Characterization of ethanol fermentation with wild type yeast strain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3: 228-236. 

  21. Baek SY, Park HY, Lee CH, Yeo SH. 2014. Comparison of the fermented property and isolation of acetic acid bacteria from traditional Korean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21: 903-907. 

  22. Baek CH, Baek SY, Lee SH, Kang JE, Choi HS, Kim JH, Yeo SH. 2015. Characterization of Acetobactor sp. strain CV1 isolated from a fermented vinegar. J. Microbiol. Biotechnol. 43: 126-133. 

  23. Jo YH, Gu SY, Chung NH, Gao Y, Kim HJ, Jeong MH, et al. 2016. Comparative analysis of sensory profiles of commercial cider vinegars from Korea, China, Japan, and US by SPME/GC-MS, Enose, and E-toun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8: 430-436. 

  24. Guth H. 1997. Quantitation and sensory studies of character impact odorants of different white wine varieties. J. Agric. Food chem. 45: 3027-3032. 

  25. Welke JE, Zarus M, Lazzarotto M, Zini CA. 2014. Quantitative analysis of headspace volatile compounds using comprehensive two-dimensional gas chromatography and their contribution to the aroma of Chardonnay wine. Food Res. Int. 59: 85-99. 

  26. Dunk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rics 11: 1-42. 

  27. Ramadan Z, Jacobs D, Grigorov M, Kochhar S. 2006. Metabolic profiling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discriminant partial least squares, and genetic algorithms. Talanta. 68: 1683-1691. 

  28. Worley B, Powers R. 2015. Multivariate analysis in metabolomics. Curr. Metabolomics 1: 92-107. 

  29. Farres M, Platikanov S, Tsakovski S, Tauler R. 2015. Comparison of the variable importance in projection (VIP) and of the selectivity ratio (SR) methods for variable selection and interpretation. J. Chenonet. 29: 528-536. 

  30. Yoon HN. 1999.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vinega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40-1446. 

  31. Lee JW, Do JH. 2000. Chemical compounds and volatile flavor of Rubus coreanum. Korean J. Food Nutr. 13: 453-459. 

  32. Choi SH, Kwak EJ. 2012. Volatile flavor compounds andsensory properties of Yakju fermented with different contents of Meoru (Vitis coignetia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642-648. 

  33. Aznar M, Lopez R, Cacho JF, Ferreira V. 2001.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impact odorants of aged red wines from Rioja. GC-olfactometry, quantitative GC-MS, and odor evaluation og HPLC fractions. J. Agric. Food Chem. 49: 2924-2929. 

  34. Yoon SR, Kim GR, Lee JH, Lee SW, Jeong YJ, Yeo SH, et al. 2010. Volatile compounds and sensory properties of commercial brown rice vinegars fermented with and without ethanol. Korean J. Food Sci. Tech. 42: 527-532. 

  35. Sivet EC, Wang B, Parcsi G, Stuetz RM. 2016. Prioritisation of odorants emitted from sewers using odour activity values. Water Res. 88: 308-321. 

  36. Zhu JC, Wang LY, Xiao ZB, Niu YW. 2018. Characterization of the key aroma compounds in mulberry fruits by application of 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 (GC-O), odor activity value (OAV),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nd flame photometric detection (FPD). Food Chem. 245: 775-785. 

  37. Vogt M, Brusseler C, Ooyen J, Bott M, Marienhagen J. 2016. Production of 2-methyl-1-butanol and 3-methyl-1-butanol in engineered Corynebacteriuk glutamicum. Metab. Eng. 38: 436-445. 

  38. Lee MK, Choi SR, Lee JH, Choi YH, Lee JH, Park KU, et al.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diabetic effect of yacon vineg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79-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