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불안 및 우울 관련 요인: 2015년 지역사회 건강조사를 바탕으로
Factors Related to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Family Caregivers' with Dementia Patients: based on 2015 Community Health Survey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19 no.3, 2018년, pp.65 - 77  

엄태림 (연세대학교원주산학협력단) ,  최보영 (동양대학교 보건의료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health status of family caregivers with dementia patients and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ir anxiety and depression. Methods: Data from 2015 Community Health Survey(n=2,426) was used. A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역 간 비교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자료를 이용하여 전국을 대상으로 치매환자 가족 부양자의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으며, 부양자의 불안 및 우울을 해소하기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불안 및 우울 관련 요인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불안 및 우울 관련 요인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환자 돌봄이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는 이유는? 급격한 인구고령화로 인한 치매인구의 증가로 치매환자 돌봄은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게 되었으며, 치매를 더 이상 개인만의 문제가 아닌 국가 차원에서 관리해야 할 중요한 보건의료과제로 인식하게 되었다. 치매 발병률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높아지기 때문에 인구고령화는 노인 치매환자의 수를 급격히 증가시킨다(김민경과 서경화, 2017; 이영휘 등, 2011).
정부의 치매에 대한 해결 노력은? 정부는 2017년 10월부터 치매환자 및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치매국가책임제를 시행하였다. 치매국가책임제에는 치매질환 본인부담 상한제 도입, 경증치매 장기요양보험 혜택 확대, 치매지원센터 증설을 비롯하여 치매환자의 조호자에 대한 지원 등이 포함되어 있다. 치매국가책임제가 내포하는 가장 큰 의미는 치매환자를 바라보는 인식의 변화이다.
치매 발병률과 연령의 상관관계는? 급격한 인구고령화로 인한 치매인구의 증가로 치매환자 돌봄은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게 되었으며, 치매를 더 이상 개인만의 문제가 아닌 국가 차원에서 관리해야 할 중요한 보건의료과제로 인식하게 되었다. 치매 발병률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높아지기 때문에 인구고령화는 노인 치매환자의 수를 급격히 증가시킨다(김민경과 서경화, 2017; 이영휘 등, 2011). 우리나라는 2017년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강현숙 외 11명. 치매노인을 돌보는 며느리의 삶. 대한간호학회지 1999;29(6):1233-1243. 

  2. 김나영. 외국체계의 운영경험으로 본 노인장기 요양보험제도의 개선방안: 미국사례. 보건복지포럼, 2010;45-56. 

  3. 김민경, 서경화. 국내외 치매관리정책에 대한 비교연구. 국가정책연구 2017;31(1):233-260. 

  4. 김용금. 치매노인의 기능상태가 부양자의 우울 및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5. 박명화 외 6명. 치매환자를 돌보는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 위험도와 영향 요인. 한국가족복지학 2017;22(3):431-448. 

  6. 박용순, 석말숙.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Family Resilience)증진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의 개선방안. 한국사회복지행정학 2002;6:119-144. 

  7. 보건복지부. 제2차 치매관리종합계획. 서울 한국. 2012. 

  8. 보건복지부.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 서울 한국. 2015. 

  9. 서경현, 천경임.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과 건강 및 삶의 질에 대한 사회지원의 중재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09;15(3):339-357. 

  10. 안인숙, 김지혜, 구형모, 김도관. 치매 환자 보호자의 부양 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신경정신의학 2005;44:505-510. 

  11. 유광수. 노인성 치매환자를 간호하는 가족의 부담감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 간호학회지 2001;15(1):125-147. 

  12. 이영휘, 임지영, 김주연, 조효임, 고국진.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과 생활만족도 예측모형. 노인간호학회 2011;13(3):204-214. 

  13. 정원석. 치매 국가책임제 도입에 관한 소고. KIRI 보험연구원 2017;19-22. 

  14. 중앙치매센터. 2017 중앙치매센터 연차보고서 2017;1-124. 

  15. 행정안전부. 17년 8월말 주민등록 인구수 5,175만 명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017년 9월 3일자. 

  16. Carol L. Depression in caregivers of patients with dementia.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003;1058-1059. 

  17. Epstein-Lubow G. Family caregiver health: What to do when a spouse or child needs help. Rhode Island Medical Journal 2009;92(3):106. 

  18. Evashwick CJ. The continuum of long term care: An integrated systems approach. The Gerontologist 1997;37:274-274. 

  19. JOjI O et al. Influence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BPSD) and enviroment of care on caregivers'. Archives of Gerontological and Geriatrics 2005;41:160-168. 

  20. Kenneth EC et al. Patient and caregiver characteristics association with depression in caregivers of patients with dementia.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003;18(12):1006-1014. 

  21. Rachel MH, Ciarn R, Cornelius K, Gill L. Anxiety and depression in family caregivers of people with Alzheimer disease. American Geriatric Psychiatry 2005;13(9):795-801. 

  22. Hooker K, Frazier LD, Monahan DJ. Personality and coping among caregivers of spouses with dementia. The Gerontologist 1994;4(3):386-392. 

  23. Thompson CA et al. Systematic review of information and support interventions for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BMC Geriatrics 2007;7:18-2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