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지적 관점의 여성장애인 모성권(임신과 출산,자녀양육)보장을 위한 장애인복지관의 역할
Supporting plan of disabled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 Securing the Maternity Rights (Pregnancy·Childbirth·Child Rearing) of Disabled Women from a Gender-Sensitive Perspectiv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2, 2018년, pp.97 - 107  

최선경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건복지부가 실시한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의하면 여성장애인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서비스 기관이 장애인복지관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여성장애인의 모성권 보장을 위한 장애인복지관의 역할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장애인복지실천 현장에서 모성권 보장을 위한 프로그램은 미비한 수준이며, 실태조사 역시 파악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이 제공해야 할 모성권 관련 프로그램 필요성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첫째, 보건복지부의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문헌자료를 추가하여 여성장애인의 모성권 관련 애로사항과 필요한 서비스를 분석하고 둘째, 모성권을 보장해야 하는 법적 근거와 법적근거에 기반한 현존하는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법적인 근거에 기반한 모성권 관련 프로그램은 존재하고 있으나 여성장애인이 경험하는 모성권 관련 애로사항과 이를 해결 할 수 있는 실질적 지원서비스는 미비한 수준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지역거점의 장애인 복지관은 성인지적 관점을 바탕으로 여성장애인의 모성권 확립을 위한 중심적 역할로서 임신, 출산, 양육에 대한 기초상식 정보제공을 위한 매뉴얼 개발, 출산관련 상담서비스 지원, 자조모임 활성화 추진, 가족을 위한 개별화된 프로그램, 의료기관 연계, 사례관리 지원 등의 구체적인 서비스 지원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2017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habilitation centers for the disabled appeared to be the service agency that disabled women use the most. This means that rehabilitation centers for the disabled hold an important role in...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모성권 보장을 위한 다음과 같은 장애인복지관의 지원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가 시행한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여성장애인의 모성권 관련 주요 실태를 파악하고, 선행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모성권(임신, 출산, 양육)관련 애로사항을 추가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장애인 복지관에서 제공해야 할 모성권 관련 프로그램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이 여성장애인의 모성권 확립을 위한 구심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어떠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지에 관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보건복지부가 2017년도에 조사한 장애인실태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문헌자료를 추가 분석하고, 모성권 관련 법적 근거와 이를 바탕으로한 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장애인복지관이 여성장애인의 모성권확립을 위해 어떠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지에 관한 공식적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모성권보장을 위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이 어떠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는지의 역할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이를 통해 법적근거와 법적근거에 기반한 현존하는 모성권 관련 서비스를 파악한다. 셋째,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여성장애인의 모성권 보장을 위해 장애인복지관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에 관한 지원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둘째, 여성장애인의 모성권과 관련한 법적근거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한 장애인복지관 등의 모성권 관련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법적근거와 법적근거에 기반한 현존하는 모성권 관련 서비스를 파악한다. 셋째,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여성장애인의 모성권 보장을 위해 장애인복지관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에 관한 지원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첫째, 보건복지부의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여성장애인의 모성권 관련 문헌자료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여성장애인이 모성권과 관련하여 어떠한 애로 사항을 경험하고 필요한 서비스는 무엇인지를 분석한다. 둘째, 여성장애인의 모성권과 관련한 법적근거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한 장애인복지관 등의 모성권 관련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한다.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가 시행한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여성장애인의 모성권 관련 주요 실태를 파악하고, 선행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모성권(임신, 출산, 양육)관련 애로사항을 추가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장애인 복지관에서 제공해야 할 모성권 관련 프로그램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전국가구평균소득 100% 이하인 1-3급 만 18세 미만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가정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장애아 가족 양육지원사업은 1가정당 연 528시간의 돌봄서비스, 휴식지원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장애여성의 모성권 보장을 위한 대표적인 육아관련 돌봄서비스로서 보건복지부가 주관하고 있으며, 장애아동 가족의 일상적인 양육부담을 경감하고 보호자의 정상적인 사회활동을 돕기 위하여 돌봄 및 일시적 휴식지원 서비스를 제공으로 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추진배경은 그 동안의 장애인 정책이 단편적인 차원에서 장애당사자만의 생활안정과 사회활동지원에 초점을 두었다면, 전 생애 주기 관점에서 장애아 가족 전체를 위한 지원이 강조되어야 함이 추진배경이라 할 수 있다[2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장애인의 성별에 따른 차별적 경험의 문제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즉 임신․출산․양육과 같은 생애주기의 중요한 국면에서 남성장애인과는 또 다른 현실적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 다[7]. 성별에 따른 차별적 경험의 문제가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는다면 장애인의 권리문제는 결국 남성장애인 의 권리를 대변하는 정도에 그치고 말 것이며, 그 속에서 여성장애인은 더 주변화 될 수밖에 없다[8]. 그 동안 장애 인 복지와 관련된 지원방안은 대부분 남성장애인 경험 중심의 생활실태와 문제인식으로 성인지적 관점에서의 여성장애인 특수성은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14].
여성장애인의 모성권 보장을 위해 장애인복지관 역할이 중요한 이유는? 보건복지부가 실시한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의하면 여성장애인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서비스 기관이 장애인복지관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여성장애인의 모성권 보장을 위한 장애인복지관의 역할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모성이란? 모성이란 어머니가 되기 위한 일련의 사건으로 임신 과 출산, 육아 등으로 인한 사회적 결과를 통칭해서 사용하고 있다[1]. 따라서 모성권은 개인의 문제를 넘어 사회적문제로 귀결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H. J. Suh & M. S. Jang. (2018). A Discourse on Maternal Right Security for Women with disabilities. Ewha Journal of Gender and Law, 10(2), 177-211. 

  2. M. O. Kim. (2002).Experience on Life of Disabled Women. Korean Family Welfare, 10(0), 9-36. 

  3. S. H. Jung, W. H. Lee & K. M. Lee. (2016). Research on Pregnancy and Childbirth Support Policy to Promote Maternal Rights of Women with Disabilities. Korean Disabled People Development Institute, 10(2), 9-44.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Survey of disabled people in 2017. 

  5. E. J. Lee. (2016). Nurses' of Caring for Disabled Women during Pregnancy and Childbirth. Korean J Women Health Nurs, 22(4), 308-321. 

  6. S. A. Hong & Y. M. Lee. (2009). Parenting and Social Supports: Disabled mothers experiences of raising children. Jounal of Asian Women, 48(1), 119-157. 

  7. M. O. Kim, E. K. Kim & S. A. Part. (2013).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Child-rearing Experiences of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 Rural Communit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4(4), 5-29. 

  8. J. H. Song, S. H. Choi & Y. M. Lee. (2003). A study of the Korean disability policies for gender mainstreaming -focused on health, education, and employment policy. Situation and welfare, 15, 163-196. 

  9. S. G. Kim & I. S. Shim. (2007). A Study on the Effects of Satisfaction of the Maternity Experiences to Quality of Life among Women with Disability. The Women's Studies, 72(1), 73-107. 

  10.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0). Survey on the programs and use of women with disabilities in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11. S. W. Kang. (2015). Factors affecting the happiness of married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Wellness, 10(2), 117-126. 

  12. M. J. Son. (2014). A Limitation by Social Law on the Protection of maternity in a Gender Perspective. Law Studies, 54, 309-325. 

  13. M. S. Park, J. W. Han & I. J. Song.( 2003). Gender Perspective and Welfare Policies for Women: Survey Result of Public Officials in Seoul City.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19(3), 179-214. 

  14. J. Y. Lee & J. H. Choi. (2017). The Actual Situation and Future Tasks of Maternal Right of Women with Disabilities in Jeollabuk-do. Policy Briefs of Jeonbuk Researchers. 

  15. B. C. Choi .(2011). A Qualitative Study on Difficulties Perceived by Disabled Women: Pregnancy, Childbirth and Mothering.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54(4), 323-347. 

  16. M. S. Koh. (2015). Study on Service Utilization for Household and Child CareamongMothers with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6(1), 371-396. 

  17. J. I. Kim, I. Y. Park & M. Y. You. (2006). Development of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 care information provision model for women with disabilities.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8. H. K. Oh & E. R. Palk. (2003). A Study on Affected Factors of Fertility of Woman with Disabilities. Critical Social Welfare Academy, 16, 247-284. 

  19. W. J. Gang & K. S. Park. (2011). The Factors Influencing Utilization of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for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social social research, 31(2), 146-179. 

  20. B. S. Kwon. (2005).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Housework Sharing and Home-helper Service Needs for Women with Disabilities in Daegu. Korean Family Welfare, 15(5), 7-40. 

  21. J. S. Kim & S. Y. Lee. (2013).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the Deaf on the Life Satisfaction. Korea Welfare for the Disabled, 22, 25-26. 

  22. E. J. Lee. (2016). Nurses' of Caring for Disabled Women during Pregnancy and Childbirth. Korean J Women Health Nurs, 22(4), 308-321. 

  23. H. Y. Park. (2003). A Study on the Discrimination of Women with Celebral Palsy in their Gender/Sexuality Experience.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4. Y. C. Chang, S. H. Kim, S. Y. Yun & S. J. Kwon. (2006). Analysis of Welfare Need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Life Cycl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6-17. 

  25. Development of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care manual by type of disabled women -Research report focusing on visual, auditory and intellectual disability. (2010). NamseoulUniversity Industry Collaboration Foundation. 

  26.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Welfare. (2017), Survey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Disabled. 

  27. http://www.law.go.kr 

  28. http://www.bokjiro.go.kr 

  29. Disabled Welfare Programs and Services: Women with Disabilities Disabled Welfare Program and Usage Survey. (2010). Ministry of Gender Equality 

  30. http://www.fwc.or.kr 

  31. J. B. Yang & S. J. Kim. (2011). A Narrative Study on the Life Experiences of Married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6(3), 35-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