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과 사회적지지가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NS Addiction tendency and social support on cyber violence in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2, 2018년, pp.407 - 415  

정은영 (광주보건대학교 보건행정과) ,  유은영 (광주보건대학교 보건행정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의 SNS 중독 경향성과 사회적 지지가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된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33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고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SNS 중독 경향성은 평균 $1.81{\pm}0.55$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는 평균 $4.00{\pm}0.78$으로 높은 수준이며, 사이버폭력에서는 평균 $1.38{\pm}0.59$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SNS 중독 경향성 및 SNS 게시 빈도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와 학년에서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중독 경향성이 증가할수록, 사회적 지지가 감소할수록 사이버폭력이 증가하였고, 1학년에 비하여 2학년, 3학년에서 사이버폭력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대학생에 알맞은 사이버 사용 교육 및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하며 자기 통제력을 길러 주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NS addiction tendency and social support on cyber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330 college students and analyzed through SPSS 18.0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대학생의 SNS 중독 경향성, 사회적 지지, 사이버폭력의 정도에 대해 알아본다.
  • 본 연구는 SNS 사용이 활동적인 대학생들을 목표로 SNS 중독 경향성과 사회적 지지가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영향성을 파악하고, SNS로 인한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여 사이버 폭력의 대비를 위한 건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본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에서 중독 경향성이 증가할수록, 사회적 지지가 감소할수록 사이버폭력이 증가하였고, 1학년에 비하 여 2학년, 3학년에서 사이버폭력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SNS 중독 경향성과 사회적 지지가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대학생의 사이버폭력 관계에서 SNS 중독 경향성과 사회적 지지가 조절 효과를 가지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SNS 중독 경향성과 사회적 지지가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그동안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조정은 청소년을 목표로 교육에 집중하였으나 대학생에 대한 교육이 없음을 부각한 바[17], 대학생들은 초·중·고등학생에 비해 시간적인 여유가 많고, 조직적으로 제약이 낮으므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SNS의 중독 실태를 파악하고,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원인을 찾아 대책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SNS의 이용이 활발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SNS의 중독 경향성과 사회적 지지가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SNS로 인한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여 적절한 사용과 사이버폭력을 줄이는데 기초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인관계 지지란 무엇인가? 대인관계 지지는 인식된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 를 나타내는데, 일반적으로 평안한 대인관계를 통해 주고받게 되는 마음, 관심, 논리적 해결을 위한 조언, 자신에 대한 확신 등 모든 사물의 지지와 관심에 대한 도움을 의미 한다[5]. 즉 이는 SNS 사용자를 둘러싼 의미 있는 관계체계로서 가족, 친구, 지인 등을 포함하는 중요한 공동체적 관계로부터 받는 지지자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 라고 볼 수 있다[6].
SNS 이용의 단점은 무엇인가? 7%)이 크게 사용되어 기존 데스크톱에서 스마트폰 중심으로의 변경이 가장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SNS의 지나친 이용은 쉽고 편리한 유대 관리 및 정보 공개라는 긍정적인 것과는 반대로 자료의 오남용, 프라이버시 침해, 의사소통의 단절, SNS의 중독 등의 의도치 않은 현상을 보인다[9]. SNS의 중독 경향성은 스마트폰 중독과 유사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으며, 스마트폰 중독이 정신건강과 대인관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10]과 유사하게 SNS의 중독 경향성 또한 근심과 쓸쓸함을 유발하고 대인관계 만족감에도 영향을 미친다[11].
SNS 중독은 어떤 경향을 나타내는가? 이런 SNS의 지나친 이용은 쉽고 편리한 유대 관리 및 정보 공개라는 긍정적인 것과는 반대로 자료의 오남용, 프라이버시 침해, 의사소통의 단절, SNS의 중독 등의 의도치 않은 현상을 보인다[9]. SNS의 중독 경향성은 스마트폰 중독과 유사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으며, 스마트폰 중독이 정신건강과 대인관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10]과 유사하게 SNS의 중독 경향성 또한 근심과 쓸쓸함을 유발하고 대인관계 만족감에도 영향을 미친다[11]. 또한 박지선[12]은 인터넷 중독이 스마트폰 중독으로 전환될 수 있다고 지목하며 인터넷의 중독 정도가 높고,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길어질수록 스마트폰의 중독이 높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H. O. Jeon. (2016). Effects of academic emotio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n SNS addiction tendency by gender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6), 269-277. DOI : http://dx.doi.org/10.5762/KAIS.2016.17.6.269 

  2.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KISA). (2015). http://isis.kisa.or.kr/board/, http://kisa.or.kr 

  3. K. H. Jeong, J. H. Jeong & J. H. Shin. (2010). The Effects of Corporate 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Activities on Brand, Word of mouth, and Purchase Intention,.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iministration, 8, 1-8. 

  4. S. S. Oh. (2010). A study on the uses and gratifications of twitter and facebook,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5. S. Cohen & H. Hoberman.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1,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DOI :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6. B. N. Kim, E. J. Ko & H. I. Choi. (2013).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 A focus on differences in classifying risk groups, Studies on Korean Youth, 24(3), 67-98. 

  7. M. H. Park. (2014). Relationship of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Self-esteem and SNS Addiction Tendency in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Educational master's thesis. Kyungsung University, Pusan. 

  8.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KISA). (2017). http://isis.kisa.or.kr/board/, http://kisa.or.kr 

  9. G. S. Woo & J. W. Kang. (2011). Usage Gratification, Dependence and Problematic Use of Mobile Type SNS(Social Network Service):Centering on Twitter, Journal of Cyber 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28, 89-127. 

  10. H. S. Choi, H. K. Lee & J. C. Ha. (2012). The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on mental health, campus life and personal relations - Focusing on K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5), 1005-1015. DOI : 10.7465/jkdi.2012.23.5.1005 

  11. Y. K. Oh. (2012).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NS Addiction tendency on Loneliness,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Suppo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counseling University, Seoul. 

  12. J. S. Park. (2012). The Variables in Influencing on Smart 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and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Dankook. 

  13. J. Y. Kang. (2012). The effect of stress and the way of stress coping, impulsivity of employees on smart-phone addiction, Catholic University master thesis, Seoul. 

  14. B. Y. Kim. (2012). The Correlations Among Highschool students' Internet Game Addiction, Smartphone Addiction, the Lack of Sleep and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myuk University, Seoul. 

  15. Y. M. Park. (2011). A Study on Adults' Smart Phone Addiction and Mental Health,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Sangji University, Wangju. 

  16. J. H. Suh. (2012).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personal, parental, peer, and smart-phone usage motivation with Smart-phone addiction in high-school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Master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7. K. S. Oh. (2010). Internet Addiction and Internet Ethics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5B), 2703-2712. 

  18. S. H Cho & K. H. Suh. (2013). An Exploratory Study on Factors Related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Focus on Covert Narcissism,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Sense of Aliena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8(1), 239-238. 

  19. K. P. Hong & H. S. Jeon.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sns addiction tendency and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7(1), 34-67. 

  20. G. H. Jeong. (2017).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al Attachment and Addiction Tendencies on Smartphones on Cyber Violenc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21. H. J. Kim.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Cyber Violence in Youth: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wangwoon University, Seoul. 

  22.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2013). The 2013 Survey of Internet Addicction.. 

  23. D. W. Chol. (2015). Physical activity level, sleep quality, attention control and self-regulated learning along to smartphone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 429-437. DOI : 10.5762/KAIS.2015.16.1.429 

  24. K. H. Hwang, Y. S. Yoo & O. H. Cho. (2012). Smartphone Overuse and Upper Extremity Pain, Anxiety,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10), 365-375. DOI : 10.5392/JKCA.2012.12.10.365 

  25. A. Lepp, J. Barkley & A. Karpinski. (2014). Frequent CellPhone Use Linked to Anxiety, Lower Grade sand Reduced Happiness in Stud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1, 343-350. 

  26. O. H. Im. (2014). Smartphone Addiction and its Relations with Mental Health among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si. 

  27. B. N. Kim, E. J. Ko & H. I. Choi. (2013).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 A focus on differences in classifying risk groups, Studies on Korean Youth, 24(3), 67-98. 

  28. J. G. Kim, J. C. Lee & M. S. Choi. (2016).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on internet addi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Social science review, 35(1), 87-106. 

  29. J. W. Park & M. J. Kwon. (2018). The Convergence Effect of Academic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on SNS Addiction Tendency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4), 453-460. DOI : https://doi.org/10.15207/JKCS.2018.9.4.453 

  30. B. S. Kim & E. H. Jung. (2004). The Relationships of Aggressio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Abilities of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of Adolescents among Addiction to Internet Chatting, The Korea Jounal of Youth Counseling, 12(1), 91-99. 

  31. Ministry of Education. (2018). A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School Violence in 2018, survey.eduro.go.kr/, 

  32. D. W. Choi. (2015). Physical activity level, sleep quality, attention control and self-regulated learning along to smartphone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 429-437. DOI :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4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