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우울과 의사소통능력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NS addiction, Depression and Communication skill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6, 2018년, pp.405 - 413  

권명진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  김지현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  정선경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우울 및 의사소통능력 정도를 알아보고 SNS 중독경향성 관련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2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10월 11일부터 11월 24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LSD와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이 되었고 다중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SNS 중독경향성 차이는 연령(t=2.47, p=.044), SNS 사용시간(F=10.20, p<.001), SNS 사용 장소(t=2.54, p=.01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을 보면, SNS 중독경향성은 우울과 양의 정적상관관계를 보여 우울이 높을수록 SNS 중독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냈다. 의사소통능력과 SNS 중독경향성은 유이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의 SNS 중독경향성의 영향변수로는 우울(${\beta}=.265$, p<.001), SNS 사용시간(${\beta}=.265$, p<.001)이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SNS 중독경향성을 15.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며, 대학생의 SNS 중독을 조기 선별할 수 있는 검사의 필요와 취약 그룹에 대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이 요구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NS addiction tendency, depression, and communication skill among university students. Subjects were 200 associate nursing students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from October 11 to November 24, 20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SNS 중독경향성과 우울, 의사소통능력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관계를 확인함으로서 간호대학생의 SNS 사용에 따른 정신건강 문제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우울과 SNS의 가상세계 몰입의 관계는 무엇인가요? 기존 연구결과 우울은 SNS 중독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어 SNS 중독 경향이 높은 집단에서 우울도 높게 나타났으며 우울정도가 심할수록 SNS 이용 행태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2-13]. 즉 대인관계에 만족하지 못하는 등 우울한 정서가 심해질수록 SNS의 가상세계에 더욱 몰입하게 되며, 이러한 SNS의 가상세계 몰입으로 현실세계의 대인관계에 불만족과 외로움이 더욱 가중되어 우울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대학생의 경우 외로움과 우울을 해결하기 위해 실제 대인관계보다 직접적 대면접촉을 요구하지 않고 SNS이용에 몰입하는 경향이 더 강하고[14], 이는 실제 대인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대학생의 SNS 이용이 청소년보다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대학생은 청소년기에 비해 증가된 대인관계 및 사회적 교류를 성숙하고 효율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부담이 있는데, 이를 능숙하게 처리할 능력은 부족하다. 시간적, 공간적 편리함을 제공하고 신속하게 친화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SNS 이용은 특히 활동반경이 크게 확대되고 대인관계의 폭이 증가한 대학생들에게 이러한 문제를 매우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인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그 이용빈도와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6].
SNS 이용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은 무엇인가요? SNS 이용은 간편하게 인맥관리를 할 수 있고, 시공간을 초월하여 타인과 소통할 수 있는 긍정적 기능이 있다[7]. 그리고 부정적 사고나 감정을 분산시키고 외로움, 슬픔 또는 불안과 같은 감정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는 반면 무분별한 정보의 확산, 사생활의 노출, 대화의 단절, 몰입, 중독 등과 같은 역기능도 존재한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Mobile Apps in APAC: 2016 Report, 2016. https://apac.thinkwithgoogle.com/intl/en/articles/mobile-apps-in-apac-2016-report.html. 2016. 

  2. Statistical Korea, 2016 Youth Statistics. http://kostat.go.kr/, 2016. 

  3. Y. H. Kim, "SNS (Social Network Service) use analysis", KISDI STAT REPORT, 15, pp. 7-12, 2015. 

  4.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Internet Usage Survey", 2015.[cited 2016. Feb]. https://isis.kisa.or.kr(accessed Feb. 26, 2016) 

  5. H. S. Kim, H. S. Kim, J. S. Kim, A. N. Shin, "Trend Analysis of ICT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Levels of Korean Students based on OECD PISA Data", Informatization policy, vol. 24, no. 4, pp. 17-43, 2017 

  6. K. P. Hong, H. S. Je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NS Addiction Tendency and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7, no. 1, pp. 34-67, 2017. DOI: http://dx.doi.org/10.15709/hswr.2017.37.1.34 

  7. S. M. Kim, K. H. Suh, " Relationships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20, no. 3, pp. 587-603, 2015. DOI: http://dx.doi.org/10.17315/kjhp.2015.20.3.006 

  8. H. S. Choi, H. K. Lee, J. C. Ha, "The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on mental health, campus life and personal relations -Focusing on K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23, no. 5, pp. 1005-1015, 2015. 

  9. K. P. Hong, H. S. Je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NS Addiction Tendency and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7, no. 1, pp.34-67, 2017.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7.37.1.34 

  10. Y. N. Seong, M. H. Hyun.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 Student's Motives for Using SNS and SNS Addiction Tendency: Focused on Facebook,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vol. 24, no. 4, pp.257-263, 2016. DOI: https://doi.org/10.17547/kjsr.2016.24.4.257 

  11. E. J. Oh, A. S. Aha. A Study on the Mental Health,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SNS Addiction Tendency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1, vol. 9, no. 1, pp. 547-561, 2017. DOI http://dx.doi.org/10.22143/HSS21.8.1.31 

  12. Y. K. Oh,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NS Addiction tendency on Loneliness,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Suppo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Counseling Graduate University, 2012. 

  13. E. J. Choi, W. S. Yeom, S. W. Lee, S. Kim, C. A. Lee, C. H. Kim,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witter and Facebook users", HCL, 2012, 1, pp. 911-916, 2012. 

  14. H. S. Jeon, K. P. Hong., "Relationship of user characteristics of SNS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vol. 30, no. 1, pp.41-47, 2017. DOI: http://dx.doi.org/10.21493/kscg 

  15. S. M. Kim, Smartphone use level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e,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2014. 

  16. K. M. Kim, H. C. Kim,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the SNS Addiction of Adolescent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vol. 21, no. 2, pp. 477-495, 2013. 

  17. P. A. Kirschner, A. C. Karpininski, Facebook and academic performanc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12, no. 4, 451-455, 2010. DOI: https://doi.org/10.1016/j.chb.2010.03.024 

  18. Y. E. Kwon, J. M. Lee, "The Influence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SNS Ad -diction Tenden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control",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35, no. 2, pp. 17-29, 2017. DOI: http://dx.doi.org/10.7466/JKHMA.2017.35.2.17 

  19. R. B. Rubin. "Communication competence : Ess -ay to commemorate the 75th anniversary of the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pp. 94-129, 1990. 

  20. J. Y. Shin. The effect of creative dance programs o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in university students, Kookmin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8. 

  21. L. Radloff,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pp. 385-401, 1977. DOI: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22. M. J. Cho, K. H. Kim,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32, no. 3, pp. 381-399, 1993. 

  23. H. Y. Kim. "Comparisons of Depression, Marital Intimacy, Sexu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Sexual Active or Inactive Groups of Post-menopausal Marri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22, no. 3, pp. 258-267, 2015. DOI: https://doi.org/10.7739/jkafn.2015.22.3.258 

  24. S. Y. Jung, J. N. Ki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19, no. 1, pp. 147-166, 2014. DOI: https://doi.org/10.17315/kjhp.2014.19.1.008 

  25. E. Y. Koh, E. H. Kim. "The impacts of anxiety and depression on smartphone addic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5, pp.419-429, 2017. DOI: https://doi.org/10.14400.2017.15.5.419 

  26. G. Y. Cho, Y. H. Kim. "Factors influencing SNS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6, pp. 1138-1150, 2014.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14.26.1.166 

  27. S. H. Cho, K. H. Suh. "An exploratory study on factors related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focus on covert narcissism,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sense of alienation", Journal of Korean Psychology.: Health, 18, pp. 239-250, 2013. 

  28. O. S. Lee, M. J. Kim, "The relationship among smartphone addiction, emotional intellig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ommunication skill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7, pp. 319-328. 2017. DOI: http://dx.doi.org/10.14400/kjhp.2017.15.7.319 

  29. M. Y. Moon. "Correlation social nerworking service addiction and mental social health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vol. 24, no. 4, pp. 243-251, 2016. DOI: http://dx.doi.org/10.17547/kjhp.2016.24.4.243 

  30. Y. M. Park. A study on adult's smart phone addiction and mental health, Master's thesis, Sangii University, 2011. 

  31. I. S. Lee. "A study on the smartphone addiction, anxiety, depression and self control of work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ulticultural Health, vol. 4, no. 1, pp. 19-27, 2014. 

  32. O. S. Lee, M. J. Kim. "The ralationship among smartphone addiction, emotional intellig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ommunication skill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7). pp. 319-328, 2017. DOI: https://doi.org/10.14400.2017.15.7.3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