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융·복합 메타분석
A convergent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1, 2018년, pp.419 - 432  

김원순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 간호중재 연구방향과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 활용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메타분석연구이다. 연구주제어는 '호스피스', '중재'로 2002년부터 2017년부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외 기타 호스피스 관련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을 검색하여 최종 15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 15편은 메타분석 소프트웨어인 CMA2를 이용하여 출판편향, 효과 크기산출, 비중복 백분위(U 3), 신뢰구간, 동질성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 출판 편향성은 안정적이었으며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 효과 크기는. 99로 유의하였으며 조절 효과는 출판연도 2003~2007년(ES=1.24), 출판형식은 학술지(ES=1.33), 연구자의 주전공은 간호학(ES=1.02), 대상자의 나이 29~30세(ES=1.09), 추후 회기(ES=1.06), 아로마(ES=1.12)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융, 복합적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을 처음 시도한 것에 의의를 두며, 호스피스 중재연구 방향과 프로그램 활용에 구체적 방향을 제시하여 호스피스프로그램 운영에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hospice intervention program and present basic study data using a method of Meta analysis. Fifteen theses from 2002 to 2017 were collected from the on-line database at 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nd other journals related hospice. Main...

Keyword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자는 국내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과 관련한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해 면밀한 검토를 하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연구의 향후 방향성과 더불어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자는 국내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과 관련한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해 면밀한 검토를 하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연구의 향후 방향성과 더불어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중재와 관련한 조절 변인들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자는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융,복합적 변인들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호스피스 대상자와 그 가족을 위한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방향과 프로그램 활용에 구체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자는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융,복합적 변인들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호스피스 대상자와 그 가족을 위한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방향과 프로그램 활용에 구체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호스피스간호와 연구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1998년부터 2017년까지 연구 진행된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한 메타분석연구이다.
  • 셋째, 호스피스 간호중재 연구의 전체 평균 효과 크기는 어떠한가?
  • 본 연구는 호스피스대상자의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하여 1998년부터 2017년까지의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15편을 대상으로 53개의 효과 크기를 산출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또한 국내 호스피스 간호중재 연구는 대부분 단편적인 중재프로그램의 효과성과 하위변인들을 중심으로 분석이 시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단편적인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효과의 분석을 벗어나 융, 복합적인 변인들의 조절 효과 분석결과를 얻고자 처음으로 시도되었다. 더불어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융, 복합적 변인들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운영의 효과적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단편적인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효과의 분석을 벗어나 융, 복합적인 변인들의 조절 효과 분석결과를 얻고자 처음으로 시도되었다. 더불어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융, 복합적 변인들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운영의 효과적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메타분석연구로 시도되었다. 연구주제어는 ‘호스피스’, ‘중재’ 로 2002년 부터 2017년부터 학술연구정보서비스((http://www.
  • 본 연구의 의의는 국내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융합적인 변인들의 조절효과에 관한 메타분석이 처음 시도된 것에 있다. 더불어 국내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개발의 효과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현황은?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은 통증 관리, 임종 관리, 사별 관리, 종교적 서비스 및 상담, 심리·정서적 안정의 통합적인 서비스로 호스피스대상자와 그 가족에게 제공되고 있다〔8〕. 또한 국내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은 2016년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법률제정으로 더욱 활성화되어 호스피스 전문기관에서의 다양한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이 현재 시행되고 있다.
국내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시행은 어떻게 이뤄지고 있나?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은 통증 관리, 임종 관리, 사별 관리, 종교적 서비스 및 상담, 심리·정서적 안정의 통합적인 서비스로 호스피스대상자와 그 가족에게 제공되고 있다〔8〕. 또한 국내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은 2016년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법률제정으로 더욱 활성화되어 호스피스 전문기관에서의 다양한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이 현재 시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국내 호스피스대상자에게 효율적인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향후 호스피스 간호중재에 대한 방향성에 대한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된다.
호스피스 간호 중재의 동향과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는 분석방법은? 메타분석이란 독립적으로 시행된 유사실험연구들을 통합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효과 크기를 구한 후 평균을 얻는 계량적, 수량적 연구방법으로 독립된 연구 간의 비교가 가능하며 평균치의 결과로 상관분석과 매개 효과 분석도 가능하다〔9〕. 따라서 호스피스 간호 중재의 동향과 더불어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적절한 분석이라고 생각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6). 2015 Cause of death statistics in 2016. Statistics Korea. Retrieved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index.board?bmoderead&aSeq356345 

  2.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6). 2015-2065 Future Population Projections. Retrieved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10 

  3.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Korea. (2015).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oul: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Retrieved from http://hospice.cancer.go.kr/home/contentsInfo.do?menu_no430 

  4. National health insurance. (2017). Hospice and palliative care Medical care and survival of patients in the course of dy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Retrieved from http://www.law.go.kr/Hospice and palliative care Medical care and survival of patients in the course of dying/(14013) 

  5. National Cancer Center. (2017). Hospice palliative care status and statistics. National Cancer Center. Retrieved from http://www.hospice.cancer.go.kr/hospice/ 

  6. J. S. Park, S. Y. Yoon & Y. Jung. (2013). The Status of Home-Based Hospice Care in Korea.. Korean J Hosp Palliat Care, 16(2), 98-107. DOI : Doi.org/10.14475/kjhpc.2013.16.2.098 

  7. National cancer management business. (2017). Hospice palliative medical business. National Cancer Center. Retrieved from http://www.ncc.re.kr/ 

  8. Korean Hospice Relief Nursing Society (2015). Hospice palliative care. Seoul: Hyunmunsa. 

  9. M. W. L. Cheung. (2015). Meta-analys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Singapore: John Wiley& Sons, Ltd. 

  10. G. H. Jo, A. R. Park & J. J. Lee. (2015). Integrated palliative care interventions were performed in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Effects on Quality of Life: Meta-analysis, Korean J Hosp Palliat Care, 18(2), 136-147. DOI:http://libproxy.ks.ac.kr/b5c56e7/_Lib_Proxy_Url/dx. doi.org/10.14475/kjhpc.2015.18.2.136 

  11. R. E. Menzies, M. Zuccala, L. Sharpe & I. Dar-Nimrod. (2018). The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on death anxiety: A meta-analysis and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59(1), 64-73. DOI: https://doi.org/10.1016/j.janxdis.2018.09.004 

  12. D. Papadopoulos, A. Papadoudis, M. Kiagia & K. Syrigos. (2018). Nonpharmacologic Interventions for Improving Sleep Disturbances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55(5), 1364-1381. DOI:https://doi.org/10.1016/j.jpainsymman.2017.12.491 

  13. M. Mayahara, J. Wilbur, L. Fogg & S. M. Breitenstein. (2018). Behavioral Pain Intervention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atients: An Integrative Review. Americ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35(9), 45-60. DOI:https://doi.org/10.1177/1049909118775421 

  14. S. S. Oh. (2007). "Meta-analysis : theory and practice, Seoul.: Konkuk University Press. 

  15. W. L. Kleinert, R. S. CoddingCodding, T. Minami & K. Gould. (2018). A Meta-analysis of the Taped Problems Intervention. Journal of Behavioral Education, 27(1), 53-80. DOI:https://doi.org/10.1007/s10864-017-9284-5 

  16. R. Rosenthal & R. L. Rosnow. (1991). Essentials of behavioral research: methods and data analysis. 2nd ed. McGraw-Hill series in psychology. New York: McGraw-Hill. 

  17. L. V. Hedges & J. L. Vevea. (1998). Fixed-and random-effects models in meta-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3(4), 486..DOI:http://psycnet.apa.org/buy/1998-11538-006 

  18. Cohen. (199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 Academic Press. 

  19. M. Borenstein, L. V. Hedges, J. P. T. Higgins & Rothstein. (2009).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West Sussex. UK: Wiley. 

  20. J. Cocoran, P, Dattalo, M. Crowley, E. Brown & L. Grindle. (2011). A systemic review of psychosocial intervention for suicidal adlescent.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3(9), 2112-2118.. DOI:https://doi.org/10.1016/j.childyouth.2011.06.0 

  21. Y. C. Min & P. J. Oh. (2011). A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on cancer pain.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11(1), 83-92. DOI:https://doi.org/10.5388/jkon.2011.11.1.83 

  22. K. H. Jo, A. R. Park & J. J. Lee. (2015). Effects of integrated palliative care intervention on quality of life in terminal cancer patients: A meta-analysis.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8(2), 136-147. DOI:http://libproxy.ks.ac.kr/b5c56e7/_Lib_Proxy_Url/dx. doi.org/10.14475/kjhpc.2015.18.2.136 

  23. P. J. Oh & Y. H. Kim. (2012). Meta-Analysis of Spiritual Intervention Studies on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piritual Outcom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6), 833-842. DOI:http://dx.doi.org/10.4040/jkan.2012.42.6.833 

  24. K. Pische. (2015). Integrative & Holistic Oncology Nursing. Beginnings, 35(3), 18-2 DOI:https://www.ncbi.nlm.nih.gov/pubmed/26357824 

  25. K. H. Park & Y. S. Tae. (2016). Development and Effects of self-efficacy promoting program in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Journal of holistic Nursing Science, 9, 1-15. DOI: http://www.riss.kr/link?idA105460472 

  26. V. A. Lambert & C. E. Lambert. (2008). Nurses' workplace stressors and coping strategies. Indian J Palliative Care, 14(1), 38. DOI: 10.4103/0973-1075.41934 

  27. J. R. Curtis, P. D. Treece, E. L. Nielsen, J. Gold, P. S. Ciechanowski, S. E. Shannon & R. A. Engelberg. (2016). Randomized trial of communication facilitators to reduce familydistress and intensity of end-of-life care.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93(2), 154-162. DOI:https://doi.org/10.1164/rccm.201505-0900OC 

  28. S. H. Ha & E. M. Choi. (2013). A Study on Comparison of Current usage of Informed Consent for Group Counseling. Korea Journal of Counseling,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14(2), 1033-1050. DOI:https I410-ECN-0102-2014-300-001733622 

  29. E. J. Dunn, R. Markert, K. Hayes, J. McCollom, L. Bains, D. Kahlon & G. Kumar. (2018). The Influence of Palliative Care Consultation on Health-Care Resource Utilization During the Last 2 Months of Life: Report From an Integrated Palliative Care Program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Americ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35(1), 117-122. DOI : https://doi.org/10.1177/1049909116683719 

  30. S. Y. Chang. (2008). Effects of aroma hand massage on pain, state anxiety and depression in hospice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4), 493-502. DOI:http://www.dbpia.co.kr/Article/NODE0202664 

  31. Y. S. Park. (2015).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Aromatherapy Hand Massg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 469-479. DOI : 10.14400/JDC.2015.13.1.469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